An Effect of Multiple Intelligences-Specific Observation Strategy on Observation Skills,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초등과학 수업에서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활용한 관찰학습이 학생의 관찰능력,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2.10.31
  • Accepted : 2013.05.20
  • Published : 2013.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ultiple intelligences-specific observation strategy on observation skills,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For this study, the observation learning for the multiple intelligences-specific observation strategy was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o examine this learning materials were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4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J located in In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is study w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upil's enhancement of the observation ability(p<.05). Specifically, analysis of elements of the observation abilities, it was effective to increase abilities of classification of statements, qualitative observation and quantitative observation. 2.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group using this developed program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3. there weren't differences between the comparison and experimental groups in term of the scientific attitude. B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increases in the openness, spontaneity and creativity that are the elements of scientific attitude. In conclusion, the Multiple Intelligences Observation Training was useful to develop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observation ability,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cientific attitude(openness, spontaneity and creativity) and better be widely applied to science educa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1단원 '식물의 세계'에서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관찰학습을 적용하기 위해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 전략을 개발하여 과학수업에 관찰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초등학생들의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단원 차시별 관찰 대상 및 주제를 선정하고 다중지능 활용 교수 학습 방법 중 적합한 방법을 추출하여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관찰전략을 활용하는 관찰학습 프로그램 단계를 구상하였으며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에 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관찰학습 프로그램 단계마다 개발한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 중 적절한 전략을 선택하여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수업에 투입하였다. 수업 실시 후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에 관한 사후 검사를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적용한 관찰 능력을 검사에서 학생들의 관찰 능력 수준을 상위단계로 발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관찰 능력 검사의 하위 영역인 진술문 구별하기, 정량관찰, 정성관찰 영역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관찰 전략의 적용은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 이해에 효과적이었으며 초등 과학 생물 영역 성취도 검사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점수가 높은 점수를 받도록 하였다. 셋째, 과학적 태도 검사에서는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인 개방성, 자진성, 창의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은 과학적 태도 변화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끼쳤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적용한 결과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 모든 영역에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 전략은 초등학교의 과학 수업 현장에서 교수 학습 방법의 하나로 제시 될 수 있으며 의미있는 과학수업이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