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zing eighth grade students' errors in the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A case of algebra

중학교 2학년 서술형 평가 문항 반응에서 나타난 오류 분석 :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3.07.10
  • Accepted : 2013.08.19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ighth grade students' errors in the constructed-response item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in schools. By analyzing 99 students' responses to nine constructed-response items, we found several types of students' errors in their responses to the assessment items involving with mathematical reasoning and representations, problems within realistic contexts, and mathematical connections. Not only a single error but also multiple errors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of errors) were discovered. In particular, high achieving students showed more simple errors than multiple errors while low achieving students had more multiple errors in various kinds.

본 연구는 수학과 서술형 평가에서 나타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오류 유형을 문항별, 학습 수준별로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교수 학습 과정을 촉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총 99명의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문항 반응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사고와 표현, 현실 맥락과 연결된 문항 혹은 수학 내용들이 연결된 문항 등에서 다양한 오류가 나타났으며 단일 오류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오류 유형도 발견되었다. 학습 수준에 따라서도 상위 수준의 학생들은 복합적 오류 보다는 단일 오류가, 중하위 수준의 학생들은 복합적인 오류가 더 빈번히 나타났으며 오류 유형도 다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문항의 유형별, 학습 수준별 학생들의 오류 패턴을 보여주는 것으로 향후 학생들의 오류를 수정하고 수학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서술형 평가 문항과 교수법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