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Biller BM,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hyperprolactinemia. J Reprod Med. 1999;44(12):1075-84.
-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부인과학. 제 4판. 서울:고려의학. 2007: 378-86.
- 정인경. 고프로락틴혈증의 임상적 접근 및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2007;72(6): 698-701.
- 원승희, 곽경필. 만성 정신분열병 여성에서 고프로락틴혈증과 골밀도 및 골대사 표지의 상관. 생물치료정신의학. 2006;12(2):204-14.
- 대한한방부인과학회. 한방여성의학(하). 서울:의성당. 2012:21-30, 47-50, 811-5.
- Yuan HN, et al. A randomized, crossover comparison of herbal medicine and bromocriptine against risperidone-induced hyperprolactinemia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J Clin Psychopharmacol. 2008;28(3):264-370. https://doi.org/10.1097/JCP.0b013e318172473c
- Hasani-Ranjbar S,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of herbal medicines in the management of human drug-induced hyperprolactinemia; potential 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drug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ology. 2010;6(5):691-5. https://doi.org/10.3923/ijp.2010.691.695
- 송호림. 무월경 환자 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 14(3):173-81.
- 임성민 등. 희발월경에서 무월경으로 진행된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222-8.
- 위효선 등. 시상하부-뇌하수체 기능부전으로 진단받은 속발성 무월경 환자 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3):246-56.
- 김지양 등. 호르몬검사를 이용하여 관찰한 속발성무월경 및 과소월경의 치험 4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 22(3):267-76.
- 조진형. 자가면역질환 및 갑상선질환으로 인한 속발성 무월경 환자 2례의 임상보고. 2011;24(3):203-11.
- 김현진 등. 비만을 동반한 희발월경환자 치험 3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4):247-57.
- 조혜숙 등. 사상체질치료를 겸한 희발월경 환자 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4):163-73.
- 김윤상 등. 신경인성 식욕부진으로 인한 희발월경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1):118-27.
- 황경주. 생식내분비학:고프로락틴혈증의 진단과 치료. 대한 산부인과학회 연수강좌. 2008;39:180-90.
- 金定濟. 東洋醫學 診療要覽. 서울:동양의학연구원. 2007:176.
-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본초학. 서울:영림사. 2004:591-3, 597-9, 609-10.
Cited by
- 양하지 이상감각을 호소하는 다발신경병증 환자에 대한 침구-한약 복합한방 치료 치험 1례 vol.41, pp.2, 2013, https://doi.org/10.22246/jikm.2020.41.2.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