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이강래 (2007), 三國史記形成論, 서울: 신서원, p. 17, p. 223.
- 신형식 (2011), 삼국사기의 종합적 연구-한국고대사의 심층적 분석-, 서울: 경인문화사, p. 4.
- 이강래 (2007), 三國史記形成論, 서울: 신서원, pp. 159-163, pp. 177-178.
- 강경구 (1997), 三國史記原典硏究: 借字表記體系的檢討, 서울: 학연문화사, pp. 17-18.
- 김부식 (1931), 三國史記, 京城: 古典刊行會.
- 靑柳綱太郎편 (1975), 原文和訳對照三國史記下, 東京: 名著出版.
- 김정배 교감 (1982), 校勘三國史記(수정 3판),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 조병순 (1984), 增修補註三國史記, 서울: 誠庵古書博物館
- 김부식 저, 이강래 교감 (1998), 원본 삼국사기, 서울: 한길사.
- 김부식 (1997), 삼국사기 3, 이재호 역, 서울: 솔, pp. 15-16.
- 学習院大學東洋文化硏究所편 (1986), 三國史記(鑄字本), 東京: 學習院大學東洋文化硏究所.
- 정구복 외 (1997), 譯註三國史記2-번역편-,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김부식 (1997), 삼국사기 1, 이재호 역, 서울: 솔.
- 김부식 (1998), 삼국사기 II, 이강래 역, 서울: 한길사.
- 이여성 (1947), 朝鮮服飾考, 京城: 白楊堂, pp. 108-109.
- 김동욱 (1979 a), 신라통일기 이후의 복식-흥덕왕 복식 금제와 관련하여-, 증보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아세아문화사.
- 김동욱 (1979 b), 흥덕왕 복식 금제의 연구-신라말기 복식 再構를 중심으로-, 증보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아세아문화사.
- 김동욱 (1982), 신라통일기의 복식, 한국의 복식, 서울:한국문화재보호재단.
- 김희정 (1995), 裳과 裙에 관한 연구-統一新羅時代까지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진구 (1997), 三國史記의 服飾用語硏究(I), 복식문화연구, 5(1).
- 구인숙 (1998), 경주 황성동고분출토 토용의 복식사적 의미, 복식, 13.
- 김진구 (1998), 三國史記의 服飾硏究III-色服의 織物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2).
- 전혜숙 (1998), 신라통일기 정치적 상황과 복식연구-흥덕왕 복식금제에 나타난 복식실태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2).
- 김진구 (1999), 三國史記의 服飾硏究VI-色服의 服飾 附屬品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3).
- 고부자 (2000), 경주 용강동출토 토용복식고, 고고역사학지, 16.
- 권준희 (2001), 신라복식의 변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권준희, 조우현 (2002), 統一新羅內衣, 短衣考, 복식, 52(2).
- 권준희, 조우현, 남윤자 (2002), 統一新羅의 치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3/4).
- 김정진 (2008), 경주 용강동 고분 출토 토용의 복식사적 의의, 한복문화, 11(1).
- 박남수 (2011.12), 신라의 衣生活과 織物생산, 한국고대사연구, 64.
- 석주선 (1971), 한국복식사, 서울: 보진재, pp. 28-29.
- 유희경 (1975),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77-78.
- 김동욱 (1979 a), 신라통일기 이후의 복식-흥덕왕 복식 금제와 관련하여-, 증보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아세아문화사. pp. 19-32.
- 김동욱 (1979 b), 흥덕왕 복식 금제의 연구-신라말기 복식 再構를 중심으로-, 증보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아세아문화사. pp. 87-127.
- 김동욱 (1982), 신라통일기의 복식, 한국의 복식, 서울: 한국문화재보호협회, pp. 69-82.
- 임명미 (1996), 한국의 복식문화(1), 서울: 경춘사, pp. 217-220.
- 유송옥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수학사, pp. 78-79.
- 안명숙, 김용서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예학사, pp. 49-50.
-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p. 80-81.
- 황의숙 외 (2010), 아름다운 한국복식, 서울: 수학사, pp. 55-56.
- 김정호 (2012), 우리옷 역사-2000년, 대전: 글누리, pp. 73-74.
- 諸橋轍次(1984), 大漢和辭典권10 (수정판), 東京: 大修館書店, p. 242.
- 김희정 (1995), 裳과 裙에 관한 연구-統一新羅時代까지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8.
- 정구복 외 (1997), 譯註三國史記2-번역편-,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122.
- 三國史記 卷第33 雜志第2 色服: 平人女...帶只用綾 絹已下
- 김진구 (1999), 三國史記의 服飾硏究VI-色服의 服飾 附屬品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3). p. 343.
- 諸橋轍次(1984), 大漢和辭典권1 (수정판), 東京: 大修館書店, p. 685.
- 민중서림편집국 (1998), 漢韓大字典(제2판), 서울: 민중서림, p. 168.
- 諸橋轍次(1984), 大漢和辭典권2 (수정판), 東京: 大修館書店, p. 750.
- 김동욱 (1979 a), 신라통일기 이후의 복식-흥덕왕 복식 금제와 관련하여-, 증보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아세아문화사. p. 24.
- 김동욱 (1979 b), 흥덕왕 복식 금제의 연구-신라말기 복식 再構를 중심으로-, 증보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아세아문화사. p. 90.
- 김동욱 (1982), 신라통일기의 복식, 한국의 복식, 서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pp. 75-76.
- 김희정 (1995), 裳과 裙에 관한 연구-統一新羅時代까지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1-112.
- 김진구 (1997), 三國史記의 服飾用語硏究(I), 복식문화연구, 5(1). p.4
- 고부자 (2000), 경주 용강동출토 토용복식고, 고고역사학지, 16. p. 453.
- 권준희 (2001), 신라복식의 변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81-182.
- 권준희, 조우현, 남윤자 (2002), 統一新羅의 치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3/4), pp. 170-171
- 박남수 (2011.12), 신라의 衣生活과 織物생산, 한국고대사연구, 64. p. 452.
- 구인숙 (1998), 경주 황성동고분출토 토용의 복식사적 의미, 복식, 13. p. 35.
- 박남수 (2011.12), 신라의 衣生活과 織物생산, 한국고대사연구, 64, p. 463, p. 465, p. 467, pp. 469-470.
- 김정진 (2008), 경주 용강동 고분 출토 토용의 복식사적 의의, 한복문화, 11(1)., p. 17.
- 조효숙 (2006), 옷감과 바느질,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서울: 두산동아, p. 76.
- 김진구 (1998), 三國史記의 服飾硏究III-色服의 織物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2). p. 179.
- 김진구 (1999), 三國史記의 服飾硏究VI-色服의 服飾附屬品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3). p. 344,
- 김진구 (1999), 三國史記의 服飾硏究VI-色服의 服飾附屬品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3). pp. 354-355.
- 권준희, 조우현 (2002), 統一新羅內衣, 短衣考, 복식, 52(2). p. 106.
- 전현실, 강순제 (2011), 고대 한일 관계에서 본 평직 견직물 紬, 絁에 관한 연구, 복식, 61(4), p. 120.
- 김정진 (2008), 경주 용강동 고분 출토 토용의 복식사적 의의, 한복문화, 11(1). p. 19.
- 전혜숙 (1998), 신라통일기 정치적 상황과 복식연구-흥덕왕 복식금제에 나타난 복식실태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2). pp. 188-189, pp. 192-195.
- 김진구 (1998), 三國史記의 服飾硏究 III-色服의 織物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2). p. 176.
- 박남수 (2011.12), 신라의 衣生活과 織物생산, 한국고대사연구, 64, p. 469
- 전현실, 강순제 (2011), 고대 한일 관계에서 본 평직 견직물 紬, 絁에 관한 연구, 복식, 61(4), pp. 119-120.
- 전현실, 강순제 (2011), 고대 한일 관계에서 본 평직 견직물 紬, 絁에 관한 연구, 복식, 61(4), p.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