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집단지성을 활용한 예비교사들의 과학지식 형성과정 탐색

The Formation Process of Scientific Knowledge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 투고 : 2013.04.29
  • 심사 : 2013.06.24
  • 발행 : 2013.08.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의 집단지성을 활용한 글쓰기활동을 통해 과학지식 형성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논리논술 전공수업을 수강하는 29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정기술이라는 과학주제를 제시하여 이에 대한 지식의 형성과정을 탐색하였다. 이 활동은 학생들의 자유로운 참여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온라인상에서 진행되었으며, 모든 학생들이 충분히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다른 학생들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달이라는 기간 동안 실시되었다. 참여방식은 한 학생이 관련 정보를 제시하면 다음 학생은 기존정보를 읽고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조합 및 수정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실시되었으며 참여횟수는 제한하지 않았다. 또한 질문지를 제시하여 참여자가 해당 글을 수정하거나 정보를 추가한 이유를 기술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크게 4단계의 과정을 통해 집단적 과학지식을 형성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단계는 정보가 팽창하는 단계이며, 두 번째 단계는 가치정보가 축적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 단계는 논리 비판적 사고단계이며, 마지막으로 퇴고단계를 거쳐 예비교사들이 개인의 지성을 더해 과학지식을 형성해 나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집단에 의해서 구성되는 지식은 어떠한 과정을 통해 형성되어 가는지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과정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참여형태 및 사고활동을 탐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집단지성을 활용한 다양한 수업개발을 통해 학생들의 논리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pre-service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information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We selected the 'Appropriate Technology' (A.T.) as the subject for form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Twenty nine pre-service teachers of the course 'Scientific Thinking and Writing in Science Education' were allowed to freely post information whenever they wanted. They presented their full opinions, interacted with each other, and assessed the other' information on the website for a month. The way of posting was as follows. After one pre-service teacher had written the information about A.T. on the website, the other assessed the text and added or modified the writing. This process continued. We analyzed every writing they posted and questionnaire which contained the reason why they modified the text. The result was as follows. Pre-service teachers formed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four stages. First, pre-service teachers started to fi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ject and they just added the information behind the other's writing. In the second stage, information was added, too. But the difference was that the information they selected carried values for having certain views. Third, they organized their writings with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Finally, they revised their overall writing.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could develop their critical thinking and they could learn the way of communication from the process of collective intelligence. We found the forming process of knowledge by collective intelligence, and explored the various involving patterns and thinking activities in the process. Based on this research, we expect the improvement of students'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through the various classes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희, 김찬종, 최승언, 유준희, 박현주, 이신영, 김희백 (2012). 심장 혈액 흐름의 모형 구성 과정에서 나타난 소집단 상호작용과 소집단 규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72-387.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별책3).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3. 김길모, 김성식 (2011). 집단지성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2), 23-32.
  4. 김명준, 이기중 (2010). 커뮤니케이션학 차원에서 본21세기 네트워크 사회에서의'집단지성'. 한국 언론학회, 54(6), 129-149.
  5. 박지영, 김희백 (2011). 초등 예비교사의 사회 속의 과학 쟁점에 대한 논변에서 나타나는 소집단 상호작용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9(4), 653-673.
  6. 송경재 (2008). 네트워크시대의 시민운동연구. 현대정치연구, 2(1), 55-83.
  7. 양미경 (2010). 집단지성의 특성 및 기제와 교육적 시사점의 탐색. 열린교육연구, 18(4), 1-30.
  8. 양미경 (2011). 집단지성의 구현을 위한 협력학습의 원리 탐색. 교육방법연구, 23(2), 457-483.
  9. 윤수종 (2006). 새로운 주체로서 대중과 대중운동의 방향. 진보평론, 28, 10-44.
  10. 윤호성, 이기동 (2011).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한 집단 지성 측정연구. 디지털정책연구, 9(2), 53-63.
  11. 이성미, 이지현 (2012). 적정기술을 활용한 저렴주택 디자인 방안.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31, 155-164.
  12. 이효녕, 조현준 (2010). 두 천문학자 집단의 논증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02-411.
  13. 이희은 (2009). 위키피디어 정보의 기술문화적 함의. 언론과학연구, 9(2), 461-497.
  14. 장경화, 남정희, 최애란 (2012). 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논의구조에 미치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의 효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099-1108.
  15. 정영란, 손대희 (2000). 협동학습 전략이 중학교 생물 학습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11-623.
  16. 조경원 (2004). 중등 교원 양성 교육의 비판적 검토. 교육과학연구, 35(1), 1-19.
  17. 조희정, 강장묵 (2008). 네트워크 정치와 온라인 사회운동. 한국정치학회보, 42(3), 311-332.
  18. 최지연 (2012). 초등학교 실과교육에서 적정기술의 교육적 활용 방안. 초등과학교육연구, 16, 139-156.
  19. 최항섭 (2009). 레비의 집단지성: 대중지성을 넘어 전문가지성의 가능성 모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 26(3), 287-322.
  20. 허태희, 장우영 (2009). 촛불시위와 한국정치. 현대정치연구, 2(1), 33-53.
  21. Blackler, F. (1995). Knowledge, knowledge work and organizations: An overview and interpretation organization studies, 16(6), 1021-1046. https://doi.org/10.1177/017084069501600605
  22. Jenkins, H. (2006).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New York and London: New York University Press.
  23. Johnson, D. W., Johnson, R. T., & Maruyama, G. (1983). Interdependence and interpersonal attraction among heterogeneous and homogeneous individuals: A theoretical formulation and a meta-analysis of the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3(1), 5-54. https://doi.org/10.3102/00346543053001005
  24. Johnson, D. W. & Johnson, R. T. (2009). An educational psychology success story: Social interdependence theory and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38(5), 365-379. https://doi.org/10.3102/0013189X09339057
  25. Leadbeater, C. (2008). WE-THINK: Mass Innovation, not Mass Production. 이순희 역 (2009).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서울: 21세기 북스.
  26. Lederman, N. G. (2003). The Role of Moral Reasoning and Discourse on Socioscientific Issues in Science Education.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ress.
  27. L'evy, P. (1994). L'intelligence Collective, La Decouverte. 권수경 역 (2002). 사이버공간의 인류학을 위하여. 서울: 문학과지성사.
  28.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29.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c Press.
  30. Mesmer-Magnus, J. R. & Dechurch, L. A. (2009). Information sharing and team performance: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4, 535-546. https://doi.org/10.1037/a0013773
  31. Nguyen, N. T. (2008). Inconsistency of knowledge and collective intelligence. Cybernetics and Systems: An International Journal, 39, 542-562. https://doi.org/10.1080/01969720802188268
  32. Nonaka, I. (1994). A dynamic theory of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Organization Science, 5(1), 134-139.
  33. Stasser, G. & Titus, W. (1985). Pooling of Shared and Unshared Information in Group Decision Making: Biased Information Sampling during Discu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 1467-1478. https://doi.org/10.1037/0022-3514.48.6.1467
  34. Streubert, H. J. & Carpenter, D. R. (1999). Qualitative Research in Nursing: Advancing the Humanistic Imperative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35. Surowiecki, J. (2004). The Wisdon of Crowds. 홍대운, 이창근 역 (2004). 대중의 지혜. 서울: 랜덤하우스 중앙.
  36. Ziman, J. (1978). Reliable Knowled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피인용 문헌

  1. 중등학생들이 생각하는 융합인재에 대한 이미지 유형 탐색 vol.33, pp.7,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486
  2.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I-ALE instructional model for the emerging collective intelligence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 vol.5, pp.1, 2013, https://doi.org/10.1186/s41029-019-00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