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king Photomontage using Transfer Mode

Transfer Mode를 활용하는 포토몽타주제작기법

  • Received : 2013.04.29
  • Accepted : 2013.06.12
  • Published : 2013.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ress imagination which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facts and reproduce the photos as a media to explore the new possibilities for creative expression and the experience of the day-to-day oper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cheme of art genre. The art work for this study using digital images in Autodesk Combustion Workspace as the upper and lower layers were synthesized using the Transfer Mode feature. This study proposed a new photomontage production model, and challenged for the Possibility of a variety of visual representations of media art. Especially the production presents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various video.

본 연구의 목적은 사진을 사실의 묘사와 재현에 국한하지 않고 상상력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미디어로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일상의 경험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위한 기법의 구현에 있다. 포토몽타주 제작기법 연구를 위한 작품의 형성배경으로서 사진과 회화의 다원성 연구를 위한 픽토리얼리즘, 포토몽타주 기법을 탄생시킨 다다이즘에 대한 분석을 위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새로운 시각적 표현 기법의 모색을 위한 작품제작을 병행하여 사진과 회화의 융합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기존의 포토몽타주 제작기법과의 차별성에 대하여 조사하고 Transfer Mode를 활용하는 이미지합성과 다중 레이어의 멀티이미지를 합성하는 포토몽타주 제작기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 언어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이미지를 활용하여 포토몽타주를 제작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돈 애즈, 이윤희, "포토몽타주", 시공사, p.7, 2003.
  2. http://kimweonhee.com
  3. http://blog.naver.com
  4. 임운주, "연상 몽타주에서 나타난 수직적 몽타주 분석 -애니메이션 파프리카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 pp.83-90, 2013(1).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083
  5. 전평국, 김노익, "소비에트 무성영화의 지가 베르토프 영화이론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론을 비교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8, pp.147-158, 2010(8). https://doi.org/10.5392/JKCA.2010.10.8.147
  6. 임운주, "애니메이션 <파프리카>에서 나타나는 연상 몽타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2, 20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