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lteration of masculinity Types Shown in Melodramas -From 1992 to 2012-

멜로드라마에 나타난 남성상 유형의 변화 (1992년부터 2012년까지)

  • Received : 2013.05.13
  • Accepted : 2013.06.13
  • Published : 2013.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masculinity types of the male lead appearing in melodrama genre TV series with 2005 as the borderline when we perceived the change of female types in TV drama series. To attain the goal, the paper analyzed the change of the male lead in 74 melodrama series that ranked high from 1992 till 2012 in terms of the ratings. As a result, from 2005, the types of masculinity of the male lead changed significantly. The followings deal with the details of the change: first, about the age of the male lead, those in the 30's or older increased. Second, unmarried men increased. Third, more of them saw men and women equally, and masculinity types setting no role division for men and women increased. Fourth, masculinity types of having more concern over their appearance increased. Fifth, masculinity types of relying on others when a problem occurred increased. Sixth, in relationship with others, passive masculinity types increased. There was no change in men's jobs, economic level, personality, or sexual consciousness. This study result shows that from 2005, stereotyped masculinity types shown in advanced research have disappeared a lot, and the current men image tends to show both male and female features.

TV드라마의 여성상에 변화가 감지되었던 2005년을 기준으로 멜로장르 TV드라마에 등장하는 남성 주인공의 변화상을 알아보기 위해 1992년부터 2012년까지 시청률 상위에 위치한 멜로드라마 74편의 남성 주인공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5년 이후 남성 주인공의 남성상 유형의 변화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변화한 유목은 첫째, 남자 주인공의 연령은 30대 이상이 증가하였다. 둘째, 미혼 남성이 증가하였다. 셋째, 여성을 남성과 동등하게 보거나 여성과 남성의 역할구분을 두지 않는 남성상이 증가하였다. 넷째, 자신의 몸을 치장하는 남성상이 증가하였다. 다섯째, 문제 발생 시 타인을 의존하는 남성상이 증가하였다. 여섯째, 타인과의 관계에서 수동적 남성상이 증가하였다. 남성의 직업과 경제적 수준, 성격과 성의식에는 변화가 없었다. 이는 2005년 이후 선행연구에서 보여 지던 남성상에 대한 고정관념이 많은 부분 사라졌으며 현재의 남성상은 보다 양성화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송민희, "주체의 변화와 여성적 응시-한국 뮤직 비디오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8권, 제4호, 2007.
  2. 김종덕, "한국 TV광고에 나타난 남성성 연구", 광고학 연구, 제18권, 제1호, p.215, 2007.
  3. 최숙,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남성 상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4. 박수현, "드라마 속에 나타난 남성 패션 스타일 분석-제빵왕 김탁구와 자이언트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6권, 제4호, p.164, 2012.
  5. Lacan, Jacque, 1949, 권택영 역, 욕망이론, 문예출판사, p.30, 1994.
  6. 김종덕, "한국 TV광고에 나타난 남성성 연구", 광고학 연구, 제18권, 제1호, pp237-240, 2007.
  7. 최현주, "텔레비전 드라마에 묘사된 성역할 전도와 그 함의-남성 전업주부 드라마 <불량주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4호, 2008.
  8. 박나경,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남성상 연구- 현대 멜로드라마의 남성상 왜곡 현상 고찰,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9. 김종덕, "한국 TV광고에 나타난 남성성 연구", 광고학 연구, 제18권, 제1호, pp.238-239, 2007.
  10. 윤선희, "신데렐라 콤플렉스의 역 전이와 코라 - 페미니즘 정신분석학의 시각에서 텔레비전 드라마 다시 읽기", 한국언론학회, 제29권, 제2호, 2005.
  11. 박나경,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남성상 연구-현대 멜로드라마의 남성상 왜곡 현상 고찰,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
  12. 박부진, "한국 현대 가족에서의 가부장의 지위", 여성․가족생활연구논총, 제7집, 명지대학교, p.14-15, 2002.
  13. Heibrun, Human Sex-role behaviour, New york Pergamon Press, 1981.
  14. Sheila Ruth, Issues in Feminism, An Introduction to women's studies, Mayfield publishing Company, 1995.
  15. 김승현, 한진만, 한국사회와 텔레비전 드라마, 한울아카데미, 2001.
  16. 이화정, "멜로드라마에 나타나는 여성 대립자 유형의 변화-1990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58, 2012.
  17. 이화정, 한국 TV드라마에 재현된 여성 주인공의 여성상 유형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학과 박사학위논문, p.61, 2011.
  18. 이화정, "멜로드라마에 나타나는 여성 대립자 유형의 변화-1990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2권, 제10호, p.59, 2012.
  19. 김종덕, "한국 TV광고에 나타난 남성성 연구", 제18권, 제1호, p.227, 2007.
  20. C. Shilling, The Body and Social Theory, 1993, 임인숙역, 몸의 사회학, 나남출판사, 1999.

Cited by

  1. Gender Display in Music Videos: Gender Image and Sexuality by Genre and Gender vol.14, pp.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