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PA 기법을 활용한 현장소장 역량 요인 도출 및 분석

Analysis of Competency Assessment Using IPA for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 김화랑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통합학과) ;
  • 이나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주택생산공학과) ;
  • 장현승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 투고 : 2012.09.04
  • 심사 : 2012.11.30
  • 발행 : 2013.01.31

초록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건설시장의 변화와 함께 건설기업과 프로젝트를 대표하는 건설현장소장의 직업적 역량 또한 변화하고 있다. 특히 현장소장은 건설공사의 설계부터 시공까지의 프로젝트 전 생애주기에 이르는 단계에 관여하기 때문에 현장소장이 느끼는 사업 역량의 중요도는 건설경기 변화에 중요한 요소로 치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소장들의 업무 수행과정에 있어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역량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역량 수준의 분석(IPA)과 향후 개선이 필요한 역량 항목을 도출하고자 한다. 도출된 분석결과는 (1)대외관리역량에서는 수주영업능력과 정보력, (2)현장관리역량에서는 관리자적 경영마인드와 적극적 돌파력, (3)자기관리역량에서는 사전문제예측능력과 자기계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기업들이 현장소장교육과 지식공유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professional capabilitie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s representatives of construction companies and projects,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have full responsibility over a construction project. Throughout its life cycle, from design through construction to completion, the business capabilities of such managers are regarded as critical elements in the changes in the country's construction econom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ain capabilities of current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and to analysis of its competitiveness using Important-Performance Analysis(IPA). The results of IPA were as follows; (1)capability to win new contracts and capability to collect information of new project are needed for external relation competitiveness, (2)gerentocratic management mind-set and active breakthrough are needed for internal project management competitiveness, and (3)capability to predict issues and self-improvement are needed for self discipline competitiveness. However, this work is still considered to provide the basic data that can help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who plan to educate the project manager's strengthen their medium and long-term capabil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태식 (2001), "책임과 업무분석을 통한 현장소장 CM교육방안", 대한 토목학회 논문집 제21권 제1-D호, pp. 77-86
  2. 김한수.권동혁 (2003), "국내 건설사업 현장소장(PM)의 핵심 사업관리기술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9권 제8 호, pp.163-170
  3. 지봉복 (2006),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경향에 관한 연구, 건설회사 현장소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영덕 (2007), "건설현장소장의 임 파워멘트 지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성환돈(2008)," 건설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현 장소장의 역할",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안성훈(2009)," 건축 프로젝트 현장별 특성을 고려한 현장소장 리더십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ol. 25 No.4
  7. 강지선.김한수 (2010), "건설사업 현장소장의 리더십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1권 제1호, pp.151-159
  8. 박경훈.손창백(2010)," 일반 건설업체 현장 관리자의 직무별 업무수행수준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1권 제3호, pp.115-124
  9. Alexander Styhre (2006). "The bureaucratization of the project manager functio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pp.271-276
  10. Calder, Bobby J. (1977). "Focus Group and the Nature of Qualitative Marketing Research", Vol.2, H.Blumberg et al.(eds.), New York:Wiley
  11. Duke, C. R. & Persia, M. A. (1996). "Performanceimportance analysis of escorted tour evaluations", Journal of Travel and Tourism Marketing, 5(3), pp.207-223. https://doi.org/10.1300/J073v05n03_03
  12. Hammit, W. E., Bixler, D. N., & Noe, F. P. (1996)." Going beyond important-performance analysis to analyze the observance-influence of park impacts", Journal of RecreationAdministration, 14(1), pp.45-62
  13. Low Sui Pheng (2005). "Environmental factors and work performance of project manag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pp.24-37
  14. Mahdi M Abdulsamed Ali, Nicholas Chileshe (2009)." The Influence of The Project Manager on The Sucess of The Construction Projects",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ICCEM / ICCPM, V.3, pp. 345-353
  15. Michael J. Bresen (1984), "Effective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A Review",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Vol. 110, No. 4, pp.420-436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84)110:4(420)
  16. Martilla, J. A. and James, J. c. (1977).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king", 41(1). pp.77-79.
  17. Nunnally, J. C.(1978). Psychometric Theory(2nd), New- York: McGraw-Hill

피인용 문헌

  1. The Analysis on the Unsafe Acts of Laborers at Domestic Construction Sites vol.29, pp.4, 2014, https://doi.org/10.14346/JKOSOS.2014.29.4.132
  2. A Study on Competency Evalu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Electrical Construction Management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vol.15, pp.3,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3.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