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treatment of Tic disorder

소아(小兒) 틱장애에 대한 최근(最近) 치료(治療) 동향(動向)

  • Lee, Iyun-Shil (Dept. of Pediatr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Yoon, Ji-Yeon (Dept. of Pediatr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Han, Jae-Kyung (Dept. of Pediatr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Kim, Yun-Hee (Dept. of Pediatr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이윤실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제1진료실 소아청소년 센터) ;
  • 윤지연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제1진료실 소아청소년 센터) ;
  • 한재경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제1진료실 소아청소년 센터) ;
  • 김윤희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제1진료실 소아청소년 센터)
  • Received : 2013.06.17
  • Accepted : 2013.08.06
  • Published : 2013.08.20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linical studies on Tic disorder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Methods : To figure out the Tic disorder, Korean medical studies from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and Chinese Medical Journals from Wangfang data and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which published in 2008 to 2012 were analyzed. Results & Conclusions : 1. DSM-IV(7 studies), CCMD(3 studies) were frequently used in the diagnosis of tic disorder. 2. The herbs used for the treatment of tic disorder are Uncariae ramulus et Uncus(釣鉤藤), Paeoniae Radix Alba(白芍藥), Poria(白茯苓), Buthus martensi Karsch(全蝎) etc. 3. Acupuncture points frequently used were Paek'oe(GV20), Pungji(GB20), Naegwan(PC6), Sasinchong(EX-HN1), T'aech'ung(LR3), Joksamni(ST36), Hapgok(LI4) and so on. 4. The cause of Tic disorder is connected with liver, heart, spleen, kidney, gall bladder among the internal organs and Fire(火), Wind(風), Dampness(濕) of external causes.

Keywords

References

  1.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한방신경정신의학. 서울, 집문당, 2005, p.677.
  2. 위영만. 우리아이 틱장애. 제이엔씨커뮤니티, 2009, p.29.
  3. 홍강의. 소아정신의학. 중앙문화사, 2012, p.338.
  4. 조수철 외. 틱 장애(Tic disorder).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p.1.
  5. 민성길. 최신정신의학 제4판. 일조각, 2003, pp.568-573.
  6. 김기봉 외. 한방소아청소년의학. 의성당, 2010, pp.580-601.
  7. 강문수, 조이현, 김락형. 틱장애에 대한 한약 대조군 연구의 최근 동향-2007년 중국 임상 논문에서.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8;19(2) :141-149.
  8. 심민, 이종화, 김태헌, 류영수, 강형원. 틱장애의 한의학적 이해에 관한 문헌적 고찰(동의보감 중심으로).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7, 18(2):1-12.
  9. 위영만, 이고은, 정세인, 박보영, 박보라, 유영수, 강형원. 틱장애 아동의 인구학적, 임상적 특성과 한약치료 효과.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2;23(4):69-94.
  10. 김자영, 강현선, 이진환, 성유용, 정다운. 극심한 두통과 불면을 호소하는 만성 운동 틱 장애 환자 1례 보고.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8;19(3):219-229.
  11. 유현영, 김기봉, 민상연, 김장현. DSM-IV에 의해 진단된 일과성 틱 장애, 만성 운동성 틱 장애, 뚜렛 장애 환아의 증례 비교 보고.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7;21(3):71-84.
  12. 양동호, 오경민, 김보경. 사암침을 주로 사용 하여 치료한 빈맥 동반 틱장애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7;18(3):225-236.
  13. 윤지연, 김윤희. 불면을 동반한 틱장애 환아 1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4;18(2):251-261.
  14. 정효창, 성우용, 이승현, 손지형, 한승혜. 뚜 렛장애 患者 1例에 대한 症例報告.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3;14 (2):213-218.
  15. 이승희, 장규태, 김장현. 틱장애를 主訴로 하는 患兒의 症例 報告.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1;15(2):111-119.
  16. 천영호, 김보경. 부주의한 뚜렛장애 환자에게 뉴로피드백을 병행한 치험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8;19(3):277-288.
  17. 송현지, 한재경, 김윤희. 놀이치료를 병행한 틱장애 환아 치험 1례.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6;20(2):115-128.
  18. 周大勇. 针灸治疗抽动-秽语综合征15例. 针灸临床杂志, 2009;25(9):21.
  19. 任义钟. 针药结合治疗抽动秽语综合征30例. 中外健康文摘, 2010;7(16):306-307.
  20. 孙莲雄, 叶晨琳, 邹伟. 针药并用治疗难治性 抽动秽语综合征33例. 针灸临床杂志, 2011; 27 (2):29-30.
  21. 朱静. 针刺治疗抽动-秽语综合征20例. 江西 中医药. 2012;7(7):57.
  22. 纪雪梅, 孙清华, 高维滨. 针刺治疗抽动秽语 综合征30例. 针灸临床杂志, 2012;28(5):25.
  23. 任晓峰, 曾鸿鹄, 陈运生. 涤痰清心方治疗儿 童多发性抽动症32例. 江西中医药, 2009;1 (1):45.
  24. 杨峰丁丽. 琥珀定惊熄风汤治疗小儿抽动—秽 语综合征. 光明中医, 2012;27(9): 1764-1765.
  25. 蒋锴 田美玲. 平肝汤治疗小儿抽动秽语综合 征30例临床疗效观察. 中国医药指南, 2012; 10(34):270-271.
  26. 张晓霞. 抽动散治疗小儿抽动秽语综合征60 例疗效分析. 中国中西医结合儿科学, 2009; 1(2);200.
  27. 李建来. 止抽散治疗小儿抽动症80例临床体 会. 中国中医急症, 2009;18(10):1708.
  28. 李建来. 电针配合心理行为疗法治疗抽动秽 语综合征60例临床研究. 江苏中医药, 2009 ;41(2).
  29. 朱生全. 中医辨证治疗小儿抽动秽语综合征 76例临床观察. 中国中西医结合儿科学, 2009 ;1(1):84.
  30. 郑丽新. 中药治疗小儿抽动秽语综合征53例 临床体会. 中国中西医结合儿科学, 2009 ;1(2):196-197.
  31. 徐佩莉. 中药结合心理辅导治疗小儿抽动秽 语综合征54例疗效观察. 中国中西医结合儿科学, 2009;1(4):166-167.
  32. 朱希伟. 益脑止痉颗粒治疗小儿多发性抽动 症97例疗效观察. 中国中西医结合儿科学, 2011;3(5):398-399.
  33. 王英. 健脾熄风止痉汤治疗小儿多发性抽动 症61例. 浙江中医杂志, 2012;47(5):339.
  34. 张金钊. 中西医结合治疗抽动秽语综合征66 例临床观察. 中国实用神经疾病杂志, 2012 ;15(11):45-46.
  35. APA.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100-105.
  36. 이종우, 김덕고, 정규만. 소아심신증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 1992 ;6(1):55-64.
  37. 신정애, 김락형, 장인수, 김정연. 小兒 틱장애 에 대한 中醫學的 治療 動向. -1995-2002년까지 中醫雜誌를 중심으로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2003;17(1):141-155.
  38. 강문수, 김락형. 틱장애에 대한 침치료의 최근 동향-2005-2007년 중국 임상논문 중심 으로. 대한침구의학회지, 2008;25(2): 179-187.
  39. 위영만, 이고은, 정송화, 이희경, 유영수, 강형원. 틱장애의 한의변증유형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 및 요인분석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2;23(1):59-82.
  40. 천영호, 김원일, 김보경. 한의원에 내원한 틱 장애 환자 292례 증례분석.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1):119-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