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상업공간에서 재료를 통한 공간의 컨버전 소통 방법 연구 - 2008~2012년 국내·외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pace of Conversion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Materials in Commercial Space - Focusing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mercial Spaces in 2008~2012 -

  • 지주연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 서지은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투고 : 2012.10.31
  • 심사 : 2013.01.09
  • 발행 : 2013.04.30

초록

Commercial spaces are very sensitive in terms of trend and uniqueness, and many elements expressing space coexist together with brilliant ideas aiming to attract consumer attention and even induce sudden desire of purchase. Coexistence in space is expressed in various ways and out of those ways, representation by material is especially apparent. The application of material does not individually influence the expression of space, bu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materials applied contribute to the distinction of spac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how conversion is centered to express the distinction of space through materials communicated in space. The detaile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version expression method of material resulted as 'Substitution', 'Contrast', 'Assimilation', 'Creation'. These four was divided and analyzed into 'Time', 'Space', 'Genre'.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such significances were shown as 'Contrast' in 'Time', 'Substitution' in 'Space', and 'Assimilation' in 'Genre'. Second, the conflict due to heterogeneity by conversion of 'Contrast' in 'Time' through past and current materials appeared to induce interest amongst consumers. Third, within 'Space', 'Substitution' of natural/artificial materials was noticeably applied. This is evaluated as a constructive way of expressing natural forms into artificial forms further intending to provoke attention and stimulate emotion. Fourth, in conversion through 'Assimilation' in 'Genre', rather than using materials only from other areas, synchronizing it by combining architectural materials is an effective method. Such results are thought to be a distinctive design method that draws attention of customers by communicating disparate materials in commercial space. Thus,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an elementary resource in designing commercial space with character and high satisfa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Cramer Johannes & Breitling Stefan, Architecture in existing fabric planning design building, Birkhauser, 2007
  2. 권현아,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표면의 인터페이스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3호, 2010
  3. 김미림, 산업유산건축물의 재생.활용을 위한 디자인 특성 연구, 한세대 석논, 2010
  4. 김소진, 까를로스까르파 미술관 건축에 있어서의 컨버전디자인 수법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1호, 2008
  5. 김소희, 마감 재료의 질감 표현을 통한 건축 공간의 긴장도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4호, 2009
  6. 김정호, 현대실내디자인의 혼성(hybrid)적 표현경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논, 2001
  7. 노정은, 신.구요소의 관계유형 분석에 의한 컨버전디자인의 전략과 그 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6호, 2007
  8. 류호창, 디지털 건축에서 나타나는 재료의 기술적 표현 유형 및 특성,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9. 박완아, 트렌드 분석을 통한 모델하우스 단위 세대 디스플레이 계획연구 : Mix & Match개념을 중심으로, 국민대 석논, 2005
  10. 박종민, 실내환경디자인에 나타나는 혼성(hybrid)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석논, 2011
  11. 백경아, 혼성적 공간개념을 적용한 디자인호텔 계획, 홍익대 석논, 2008
  12. 서지은, 마감재를 통한 공간감성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1호, 2012
  13. 서지은, 주거공간 마감재에 대한 오브제개념의 적용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4호, 2010
  14. 서지은, 주거공간의 시각적 차별화를 위한 마감재 혼합적 표현 방법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1
  15. 이곡숙, 공간이미지와 감성어휘에 따른 마감재 표현방법 비교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3호, 2012
  16. 이곡숙, 상업공간에서 마감재 표현에 의한 시각적 촉감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7권 9호, 2011
  17. 이곡숙, 상업공간에서 시지각 공간유도를 위한 재료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1
  18. 이곡숙, 트렌드 '자연'을 위한 아파트 마감재의 표현방법 및 적용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8권 3호, 2012
  19. 조연주, 유휴 산업시설의 컨버전 사례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3호, 2011
  20. 최은정, 현대 실내공간에서 한국성 적용을 위한 혼성 표현기법 및 디자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논, 2002
  21. 최인영, 실내디자인에서 Mix&Match의 속성 및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1호, 2010
  22. 한지연, 혼합 장르적 관점으로 본 컨버전 디자인 호텔의 공간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6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