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리종사자의 대인애착이 직무만족, 직무애착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ulinary Employee's Interpersonal Attachment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Job Attachment

  • 장혁래 (김포대학 호텔조리과) ;
  • 김광수 (부산정보대학 호텔관광계열) ;
  • 안현모 (세명대학교 호텔관광학부) ;
  • 전경철 (경기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투고 : 2011.12.06
  • 심사 : 2013.11.19
  • 발행 : 2013.01.31

초록

본 연구는 2011년 2월 10일부터 2011년 3월 2일까지 서울지역 특급호텔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161부에 대하여 SPSS 17.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성 검증을 실시하고 제시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인애착, 직무만족과 직무애착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안정형 애착은 직무만족과 직무애착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형 애착은 직무만족에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애착 유형에 따라 직무만족과 직무애착과의 상관관계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대인애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결과 안정형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에, 회피형과 불안형은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외식조리종사자의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10 February 2011 until 2 March 2011 targeting culinary workers in deluxe hotels in Seoul. The data from 161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analyzed using SPSS 17.0 for the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test,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mong interpersonal attach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attachment showed that stable attachmen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attachment. Second, unstable attach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Moreover,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attachment by the types of attachment. Third, for the effect of interpersonal attachment on job satisfaction, the stable on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however, avoidant and unstable ones did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culinary work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