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정조시대 규장각의 교육적 의의

The Study 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Kyujanggak(奎章閣)

  • 투고 : 2013.01.07
  • 심사 : 2013.02.14
  • 발행 : 2013.02.2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ducational functions of Kyujanggak(奎章閣) during King Jeongjo(正祖) and reflect its significance Kyujanggak was established by King Jeongjo in 1776. The main function of Kyujanggak was keeping and managing Eopil(御筆) and it continued to perform what Jiphyeonjeon(集賢殿) had done. Among the functions of Kyujanggak, there found several critical ones that today's educational institution needs to do: 1) library function including collecting, keeping, and utilizing books 2) education of elites like Chogyemoonsin(抄啓文臣) 3) writing and publishing to encourage writing customs(文風振作) 4) the classic-mat lectures(經筵) to facilitate King's learning.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education is the dynamic force and bulwark, Also, library is the treasure house and center of traditional culture. Especially, Kyujanggak has been estimated to perform the functions of both education and library successfu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actice of Kyujanggak reminds us that the educational mind and leadership of the top leader of nation is the primary and decisive factor in building a strong culture-n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규장각지(奎章閣志)
  2. 일성록(日省錄)
  3. 정조실록(正祖實錄)
  4. 홍재전서(弘齋全書)
  5. 강순애(2005). 奎章閣의 圖書編纂 刊印 및 流通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도연 외 20인(2011). 새로운 대학을 말한다, 서울: 매경출판(주).
  7. 김동배(2009). 군사 정조의 인재정책에 나타난 리더십 연구 -규장각 초계문신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문식(2007). 정조의 제왕학, 경기: 태학사.
  9. 김재춘.변효종(2005). 좋은 수업의 의미에 대한 비판적 검토-, 수산해양교육연구 17(3), 373-382.
  10. 남권희(1983). 奎章閣 書庫의 書目과 藏書變褼 分析: 現存書目을 中心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백범정신선양회(1992). 백범일지, 서울: 하나미디어.
  12. 서범종(2003). 朝鮮時代 讀書堂의 敎育學的 硏究,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설석규(1984). 규장각과 정조의 혁명 정치,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안광래(1986). 甲辰新編 奎章閣志 硏究 -圖書館的 機能과 司書의 役割을 中心으로-,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세열 역주(2005). 奎章閣志, 경기: 한국학술정보(주).
  16. 이이화(1979). 奎章閣小考 -奎章閣志를 중심으로 본 概觀-, 규장각 제3권, 149-165쪽.
  17. 이행숙(1982). 奎章閣藏書의 構成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장홍석(2001). 중등교사가 인식하는 유능한 교사의 자질, 수산해양교육연구 13(1), 37-62.
  19. 정옥자(2001).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서울: 효형출판.
  20. 정옥자(2007). 규장각의 지식기반사회적 의의와 동아시아문화, 조선시대 문화사 (상), 서울: 일지사 388-414쪽.
  21. 정옥자(2012). 지식기반 문화대국 조선, 경기: 돌베개.
  22. 최두진(2009). 정조대의 초계문신 교육제도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한영우(2008). 규장각, 서울: 지식산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