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s and the Distribution of Proper Spatial Function for Restoring Urban Streams into Close-to-Nature Streams - A Case Study of Hongjecheon(Stream) in Seodaemun-Gu, Seoul -

도시 내 자연형 하천 조성을 위한 적정 공간기능 배분과 조성방안 연구 -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천을 사례로 -

  • Jung, Tae-Jun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Lee, Kyong-J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Han, Bong-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정태준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3.04.08
  • Accepted : 2013.06.22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hat properly organizes urban close-to-nature streams by evaluating the city park functions, ecological functions and landscape functions required for urban stream and setting up space function suitable for the space. The site of this study is Hongjecheon located in Seodaemun gu of Seoul City, whose length of channel spans 6.12km in total. The plan for the construction of close-to-nature streams had been established from late 2003, and the construction was completed. Evaluation Categories and indications were deduced from 4 stages. First, based on theoretical examination, we made a list of stream and park evaluation categories and added Category about Characteristic of urban streams. Next, we set Final Evaluation Categories and indications through the process of goal-relevance, indication verification, merging similar category. Final Evaluation Categories were deduced such as usage demand, usability(city park functions), biodiversity, inhabitation potential, rarity(ecological functions), historical cultural elements, and landscape Quality(landscape functions). As a result of allotting space functions, zones 1 through 4, got high grades at usage demand, was classified as a civic resort district; zones 5 through 6, close to major green area and remained original landscape, as ecological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district; zones 7 through 8, get high grades at usage demand and usability, as environmentally-friendly use district; and zones 9 through 10, many historical cultural elements and view points, and high green possession rate, as stream scenic district. In addition, detail space function and construction plan for each zones were propo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proposed space function assignment considering natural characteristics, humanities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is expected to be utilized at reasonable spatial planning considering various functions required for urban stream.

본 연구는 도시 하천의 자연형 하천 조성을 목표로 도시 하천에 요구되는 이용기능, 생태기능, 경관기능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여 각 공간에 적합한 공간기능을 설정하고, 이에 적합한 조성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홍제천으로 유로연장은 총 6.12km이며, 2003년 말부터 자연형 하천 조성 계획을 수립하여 정비가 완료되었다. 평가 항목 및 지표는 총 3단계를 거쳐서 선정하였다. 먼저 문헌 검색을 통하여 하천 및 공원 평가 기준을 설정하고, 도시 하천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를 추가하였다. 다음으로 목표 적합성, 지표 검증, 유사 항목 병합의 단계를 거쳐 최종 평가 항목 및 지표를 선정하였다. 최종 평가 항목은 이용기능에서 이용요구도, 이용편의성, 생태기능에서 생물다양성, 생물 서식 잠재성, 희귀성, 경관기능에서 역사 문화요소 및 경관성으로 선정되었다. 구간별 평가 결과, 이용요구도가 높게 평가된 구간 1~4는 시민휴양지구, 주요녹지와의 거리가 가깝고 하천 고유성이 남아있는 구간 5~6은 생태보전 복원지구, 이용요구도가 높고, 이용편의성이 좋은 구간 7~8은 하천 연속성을 고려하여 자연이용지구, 역사 문화자원 및 조망점이 다수 분포하고, 녹시율이 높은 구간 9~10은 하천경관지구로 설정되었고, 각 구간별로 세부 공간기능과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간기능 배분 결과, 하천의 자연적 특성과 함께 인문 사회적 특성, 주변의 경관적 특성이 반영된 공간기능 배분이 이루어져 도시 하천에 요구되는 여러 가지 기능들에 대한 합리적인 공간계획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1996) 하천공간 정비기법 개발 조사.연구. 건설교통부 보고서.
  2. 건설교통부(2000) 하천정비 기본계획 - 탄천, 홍제천, 불광천 -. 건설교통부 보고서.
  3. 고은주(2005) 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도시녹지 종합평가 방법 - 울산광역시를 사례로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곽정인(2007) 도심 시가화지역 야생조류 서식 기반 조성을 위한 토지이용구조와 녹지구조 개선 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 강동구를 대상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일순(2007) 하천생태 복원을 위한 도시 중.소하천의 자연형 하천 조성에 관한 연구 - 양재천, 홍제천 유역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석규(2006) 자연 친화적 하천 정비사업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영빈, 이호진(1995) 지역 특성에 따른 근린공원의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5(2): 277-282.
  8. 김영숙, 박헌우, 권미경, 김수일(2002) 산림환경구조에 따른 조류군집 비교 연구. 한국조류학회지 9(2): 105-114.
  9. 김재우(1998) 중.소하천의 자연형 복원에 관한 연구 - 호안조성기법을 중심으로 -.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노태환(2009) 도심 녹지축 기능 향상을 위한 식재설계기법 연구 - 인천 중앙공원을 대상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봉진, 윤연중, 오윤근, 신종이(2005) 하천공간정비계획을 위한 하천구 역구분과 기능공간배치 평가방법. 한국수자원학회지 38(2): 78-88.
  12. 박익수(2000) 자연형 하천복원을 위한 도시중소하천의 하천자연도 평가에 관한 연구 - 수원천, 학의천, 경안천을 대상으로 -.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서울특별시(2005) 도시생태현황도 정비. 서울특별시 보고서.
  14. 성현찬(1998) 경기도 도시공원의 시민접근성 비교와 향상방안. 경기연구 3: 63-94.
  15. 성현찬, 민수현(2003) 도시녹지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 도시 가로수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31(2): 48-57.
  16. 손상락, 윤병구(2002) 도시민의 공원녹지의식에 의거한 공원녹지정책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4); 59-81.
  17. 송주일, 윤세의(2008) 하천공간관리를 위한 하천구역 구분 기법 연구. 국토연구, 59: 61-78.
  18. 송주일, 이준호, 윤세의(2008) 도시 하천의 복원과 관리를 위한 하천평가 기법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8(3B) 283-296.
  19. 이경렬(1998) 양재천 자연형 하천 복원 계획.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상호(2000) 안양천의 자연형 하천 설치 구간 선정을 위한 하천평가 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산업과학연구 9: 90-102.
  21. 이영만(2002) 통계생태학.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262쪽.
  22. 조용현(1997)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자연도 평가 방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조경학 박사학위논문.
  23. 한국토지공사(1997) 친수형 단지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사 보고서.
  24. 한봉호(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허미선(1995) GIS를 활용한 서울시 도시근린공원 접근성의 효율적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환경부(1997) 국내 여건에 맞는 자연형 하천 공법의 개발 - 하천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 환경부 보고서.
  27. 홍병국, 송화영, 양수영, 제현수, 주경민, 이동훈(2004) 노원구 소재 도심공원의 소음실태 조사.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 782-785.
  28. 驚谷いづみ, 矢原橵一(1996). 保全生態學入門. 文一總合出版, 東京.
  29. 日本建設省東部地方建設局(1994) 東北の自然豊かな川づくり-近自然河川改善計劃檢討計劃書マニコアル-.
  30. 自然環境復元硏究會(1994) 水邊ビオト-プ.
  31. Collier, K. J. and R. H. S. McColl(1992) "Assessing the natural value of New Zealand Rivers", in P. J. Boon et al., 1992, River Connservation Manage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32. Colin, J. B., N. D. Burgess and D. A. Hill(1997)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limited(4th), London.
  33. Shannon, C. E. and W. Wea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34. Spellerberg, Ian F.(1992) Evaluation and Assessment for Conservation, London: Champman & Hall.
  35. Tilghman, N. G.(1987) Characteristics of urban woodlands affecting breeding bird diversity and abundanc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4: 481-495. https://doi.org/10.1016/0169-2046(87)90061-2
  36. USDA(1998)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National Water and Climate Center Technical Note 99(1): 3.
  37. Vannote, R. L., G. W. Minshall, K. W. Cummins, J. R. Sedell and C. E. Cushing(1980) The river continuum conncep. Canada Journal of Fish and Aquatic Science 37: 130-137. https://doi.org/10.1139/f80-017
  38. http://hongje.sd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