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Cognition for the Landscape Conservation of Rice Terraces in Gacheon Village, Namhae

남해 가천마을 계단식 논의 경관보전에 대한 지역주민과 방문객의 인식 차이 비교연구

  • Received : 2013.03.28
  • Accepted : 2013.04.25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n cognitions for conservation on the Rice Terraces landscape between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rew problems and implications through consideration about advanced studies and then carried out a survey of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alyzed five factors that are the components of cognition about the Rice Terraces landscape: production, policy, landscape, management, and revitalization. The Cognition of Rice Terraces landscape indicated that local residents had more positive evaluation than visitors did. In addition, there were indicated differences in most items. Particularly, the local residents had more positive evaluation than visitors did in production(rice paddy of fallow ground, form of traditional rice paddy, weeds), landscape(cultural value, footpath of rice field and stonewall), and revitalization(common program for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village revitalization from festival and event). Visitors had a more positive evaluation than local residents in terms of policy(designation of a place of scenic beauty, direct payment) and management(cooperation of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In consideration of these results, it needs to draw up measures that are able to build up a common cognition to overcome differences between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It is based on the knowledge and opinions that visitors and local residents had concerning history, traditions, cultures and production.

본 연구는 남해 가천마을의 계단식 논에 대해 지역주민과 방문객의 경관보전 인식을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지역주민과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계단식 논 경관에 대한 인식의 구성요인은 '생산', '정책', '경관', '관리', '활성화' 5가지로 분류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보전에 대해 지역주민이 방문객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대부분의 항목에서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산', '경관', '활성화'의 항목에서 지역주민이 방문객보다 긍정적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체적으로 '생산'의 휴경지 논, 전통적인 논 형태, 잡초 베기, '경관'의 문화적 가치, 논두렁 및 석축, '활성화'의 행정과 주민의 공용프로그램, 축제나 행사로 인한 마을 활성화에 관한 항목에서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 '관리'의 항목에서는 방문객이 지역주민보다 긍정적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정책'의 명승지정, 직접지불제도, '관리'의 지역주민 및 방문객의 협동의 항목에서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로 볼 때 지역주민과 방문객 사이의 인식 차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역주민이 가지고 있는 계단식 논에 대한 역사 전통 문화 생산 등의 지식과 방문객의 의견을 활용하여 공통적 인식을 형성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혜진, 이근복, 황희연(2009) 농어촌주거환경개선사업의 시행결과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농촌계획학회지 15(3): 23-32.
  2. 박원제, 구본학, 박미옥, 권효진(2012) 도시농업인과 공무원의 도시농업 인식 비교․평가. 한국조경학회지 40(4): 90-103. https://doi.org/10.9715/KILA.2012.40.4.090
  3. 손호기, 김상범, 김은자, 이상영(2011) 농업경관의 디자인적 요소인 전통다랑논 조사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157-165.
  4. 윤경숙, 이창훈, 김형대, 서우현, 이재근(2011) 동북아시아 계단식 논의 명승지정 현황 및 보전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4): 111-123.
  5. 윤경숙, 이창훈, 이재근(2010)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 경관의 시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4): 76-84.
  6. 이상영, 신용광(2003) 주민참가에 의한 계단식 논의 다원적 기능 개발. 농업정책학회지 30(4): 688-700.
  7. 이숙향, 김영표(2011) 농산촌지역의 문화적 경관으로서의 계단식 논 보전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5(2): 1-14.
  8. 장인영, 임승빈(2007) 강북구 최고고도지구 고도규제에 대한 집단간 인식 차이 연구. 한국조경학회 2007 추계학술대회 논문집:71-76.
  9. 한상열(2001) 산촌지역축제의 관광지 이미지 구성요소 측정과 시장분할. 한국임학회지 90(6): 747-755.
  10. 根井かおる, 三宅康成, 松本康夫(1999) 棚田保全活動の現状と課題. 農村計画論文集(1): 79-84.
  11. 農林水産業に関連する文化的景観の保存․整備․活用に關する檢討委員會(2003) 農林水産業に關連する文化的景観の保護に關する調査研究. 東京:文化廳.
  12. 大岸万里子, 深町加津枝, 奥敬一, 三好岩生, 柴田昌三(2007) 宮津市上世屋地區における棚田保全に向けた関係者の連携に關する研究. 農村計畵學會誌(26): 263-268.
  13. 栗田英治, 松森堅治, 山本徳司(2007) 景観構成要素と農業形態の変化からみた棚田景観の変容. 農村計畵學會誌(26): 239-244.
  14. 栗田英治, 松森堅治, 山本徳司(2009) 地域住民及び地域外住民による棚田景観の認知․評価構造, 農村計畵學會誌27: 257-262.
  15. 寺田憲治, 吉田謙太郎(2005) 棚田オーナー制度の持續性に關する要因分析. 農村計畵學會誌(23): 85-90.
  16. OECD(2001) ルーラルアメニティ. 東京: 家の光協會.
  17. http://rural.rda.go.kr/
  18. http://www.cha.go.kr/
  19. http://www.tanada.or.jp/
  20. http://www.tamano.or.jp/usr/sumiyosi/sub10.html
  21. http://www.rda.go.kr/
  22. http://www.maff.go.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