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형한옥 주거지의 블록구획과 주거평면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익선동 166번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Block Division and Unit Plans of Korean Modern Traditional Style Houses - Focused on the Ikseon-Dong 166 -

  • 오우근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건축학전공) ;
  • 서현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 투고 : 2013.04.15
  • 심사 : 2013.06.17
  • 발행 : 2013.06.30

초록

Ikseon-Dong 166 is one of the traditional urban resident area developed during 1930'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 conventional housing unit plans and modern block plans based on orthogonal geometry. To fully explore the selling point of the new urban development, the planner or real estate developer in private sector did not abandon or compromise the conventional house layouts, consists of single layer of rooms keeping the main room facing south. This study concludes the following factors connecting the urban and architectural plans. Oblong block plans following east-west direction did not allow the southern exposure of courtyard and main room, which was the absolute requirement for traditional house units, the longer side of block plan followed north-south direction as a result.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rent, having entrance at the east or west side of individual site enables two separate household maintain their spatial privacy. In addition to the factors mentioned above, when the blocks are to be divided into individual addresses, north-south oblong block plans maintained the length to face the front road minimum while the southern exposure maximized. These factors explains why the private developers maintained their blocks elongated to north-south direction when the block plans laied out by public sectors which did not care that much of southern exposure show random orientation in the view point of solar exposure.

키워드

참고문헌

  1. 서울특별시사 편찬위원회, 서울600년사, 1978
  2. 손정목, 조선시대 도시사회연구, 일지사, 1984
  3. 손정목, 일제 강점기 도시사회상 연구, 일지사, 1996
  4. 윤재신, 한옥의 진화, auri, 2011
  5. 전봉희, 권용찬, 한옥과 한국 주택의 역사, 동녘, 2012
  6. 조성기, 주거학, 동명사, 1975
  7. 조성기, 한국의 민가, 한울아카데미, 2006년
  8. 강성원, 강명수, 정봉거, 김기호, 역사환경으로서의 도시조직 변화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논문, 2006
  9. 김정곤, 김진균, 도시형 한옥의 유형 분석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 1995
  10. 박철진, 전봉희, 1930년대 경성부 도시형 한옥의 건설, 대한건축학회 논문, 2007
  11. 성태원, 송인호, 서울 삼청동35번지 도시한옥주거지 필지구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 2003
  12. 이해경, 강경호, 도시적 맥락에서 본 전통한옥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 2007
  13. 전봉희, 권용찬,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 형식의 통시적 고찰, 대한건축학회 논문, 2008
  14. 박철진, 1930년대 경성부 도시형 한옥의 상품적 성격,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석사논문, 2002
  15. 송인호, 도시형한옥의 유형연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박사논문, 1990
  16. 윤민경, 서울시 1930년 전후의 가로와 한옥주거의 특징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논문, 1991
  17. 전봉희, 조선시대 씨족마을의 내재적 질서와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92
  18. 김정호, <도성도>, 1856년-1872년 사이에 제작, 보물 제 1358호
  19.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사(고적편), 1977
  20. 종로구,종로의 명소와 지리,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