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남자 대학생의 착용 패션스타일과 음악·여가·라이프스타일·가치관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Style and Music, Recreation, Lifestyle and Value of Male College Students

  • 유혜경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 백두진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 고선영 (인천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Yu, Haekyung (Dept. Fashion Industry, University of Incheon) ;
  • Baek, Doo Jin (Dept. Fashion Industry, University of Incheon) ;
  • Ko, Sunyoung (The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Incheon)
  • 투고 : 2012.10.22
  • 심사 : 2013.01.18
  • 발행 : 2013.06.30

초록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f fashion styles of male college students and their individual taste in other areas including music styles and recreation types. Life style and values were also examined for their relationship with the fashion style preference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during May and June of 2011, and a total of 256 respon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segments according to the fashion styles - 'modern-dandy', 'resistance style', 'no-individuality' groups -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erms of their preferred music styles and choice of recreational activities. Modern-dandy group preferred R&B, dance music and ballad, while resistance style group preferred hiphop, dance and reggae music. No-individuality group did not show any preference for a particular type of music. Both modern-dandy and resistance style groups liked sports, while resistance style group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for hobby and culture.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s and values according to the fashion styles of the three groups.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정양, 서경헌 (2008), 대학생의 음악선호와 웰빙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2), pp. 497-511.
  2. Gans, H. J. (1974), Popular culture and high culture, New York: Basic Books, p. 30.
  3. 박한힘 (2011), 힙합문화의 음악적 특성 변화가 대중패션에 미친 영향, 복식문화연구, 19(2), pp. 416-429.
  4. 이인성 외 (2006), 힙합 뮤지션의 패션스타일 연구 - 흑인 뮤지션 스타와 국내 힙합뮤지션의 비교 연구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1), pp. 127-136.
  5. 김신우, 전종찬, 김영인 (2005), 하위문화에 나타난 대중음악과 패션의 기호적 해석, 디자인학연구, 18(1), pp. 233-244.
  6. 허남양 (2010),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여가 만족과 자아실현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4), pp. 39-49.
  7. North, A. C. & Hargreaves, D. J. (2007), Lifestyle correlates of musical preference: 2. Media, leisure time and music, Psychology of Music, 35(2), pp.179-200. https://doi.org/10.1177/0305735607070302
  8. 김신우, 전종찬, 김영인, (2005), 하위문화에 나타난 대중음악과 패션의 기호적 해석, 디자인학연구, 18(1), pp. 237-241.
  9. Fox, W. S. & Wince, M. H. (1975), Musical taste culture and taste publics, Youth and Society, 7(2), pp. 198-224. https://doi.org/10.1177/0044118X7500700205
  10. North, A. C. & Hargreaves, D. J. (2007), Lifestyle correlates of musical preference: 2. Media, leisure time and music, Psychology of Music, 35(2), pp. 181-199.
  11. 도규희 (1999), 댄스음악이 10대 패션문화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 랩음악과 힙합패션을 중심으로-, 디자인학 연구, 12(3), pp. 93-103.
  12. 박한임 (2010), 클럽문화가 대중의상에 미친 영향 -하우스 뮤직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0(1), pp. 75-91.
  13. Briggs, A. & Cobley, P. (1999), 'I like my shit sagged': fashion, 'black musics', and subcultures, Journal of Youth Studies, 2(3), pp. 337-352. https://doi.org/10.1080/13676261.1999.10593046
  14. Kelly, J. R. (1982), Leisure, New Jersey: Prentice-Hall, pp. 10-11.
  15. 제은숙 (2011), 여가활동 소비자의 패션관여와 의복선택기준, 복식, 61(7), pp. 51-66.
  16. 김재운 (2005), 대학생 스포츠형 여가활동 참여가 대학생활 적응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9(3), pp. 131-142.
  17. 정순희, 김현정 (2002), 라이프스타일 연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 소비문화연구, 5(2), pp. 107-128.
  18. 김정실, 이선재 (2008), 뉴실버 여성소비자의 지각연력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32(10), pp. 1535-1547.
  19. 임경복, 임숙자 (1993),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여대생의 시간소비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7(3), pp. 359-366.
  20. 전경란, 이미숙 (2008),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의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청년층, 중년층, 노년층을 대상으로-, 복식문화연구, 16(3), pp. 444-460.
  21. 전성미, 박정현, 최종명 (2006),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유행관여도 분석, 생활과학연구논총, 10(1), pp. 181-191.
  22. 이옥희 (2005), 일본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추구 혜택과의 관계 연구, 복식문화연구, 13(6), pp. 857-870.
  23. 허경옥 (2006),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점포선호 및 만족도의 차이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5(3), pp. 385-395.
  24. 김진영 (2006), 아울렛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 -20-30대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Roy, D. & Saha, G. (2007), Changes in women's dress preference: An in-depth study based on lifestyle and age, South Asian Journal of Management, 14(2), pp. 92-106.
  26. 한경미, 나영주 (2003), 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 생동과 선호감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9/10), pp. 1026-1935.
  27. Sarabia-sanchez, F., Vigaray, M. & Hota, M. (2012), Using values and shopping styles to identify fashion apparel seg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40(3), pp. 180-199. https://doi.org/10.1108/09590551211207157
  28. 김선학, 정용길 (2000), 사회적 가치, 패션리더십, 그리고 쇼핑행동 특성, 대한경영학회지, 15, pp. 159-181.
  29. Kim, J., Jun, D. & Oh, K. (2010), The effect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subjective age on the fashion adoption of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6), pp. 1008-1020. https://doi.org/10.5850/JKSCT.2010.34.6.1008
  30. 이수철, 이은경 (2009), 트렌드와 섬유패션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가치의 변화,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4), pp. 395-404.
  31. 나수임 (2004), 직장여성의 의복소비가치에 따른 패션트렌드 선호경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3), pp. 314-328.
  32. 김미정, 이상례(2003), 팝음악과 패션에 관한 연구, 복식, 53(2), pp. 101-108.
  33. 송상연, 이윤재, 이영선 (2010), 역구매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개인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1(1), pp. 223-243.
  34. 김혜숙 (2002), 대학생들이 중요시하는 가치와 북한사람 및 대북정책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6(1), pp. 35-50.
  35. Schwartz, S. H. (1992), Universals i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values: Theoretical advances and empirical tests in 20 countrie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5, pp. 1-65. https://doi.org/10.1016/S0065-2601(08)60281-6
  36. Maio, G. R., & Olsen, J. M. (1995), Relations between values,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The moderating role of attitude funct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1, pp. 266-285. https://doi.org/10.1006/jesp.1995.1013

피인용 문헌

  1. Clothing Behavior of Male Popular Music Enthusiasts vol.24, pp.1, 2015, https://doi.org/10.5934/kjhe.2015.24.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