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derating Effect of Union Instrument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Union Participation

직무만족과 노조참여 관계에서 노조수단성의 조절효과

  • Received : 2013.03.26
  • Accepted : 2013.06.22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A long debate has been made about whether job satisfaction facilitates or impedes union particip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union instrument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union participation. The data collected from 826 employees of 22 workplaces were empirically evaluated. The result of the research revealed that both positive effect and negative effect were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union participation. The positive effect was noticed in the direct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n the union participation. However, given the interac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union instrumentality, the job satisfaction showed the negative effect on the union participation. Based on this result, we can conclude that the direct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n the union participation supports dissonance theory about the union participation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union instrumentality confirms the utility theory.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union participation is more reinforced when job satisfaction and union instrumentality are closely connected than when job satisfaction independently affects union participation. Thus, the result implicates that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labor union, the organization needs to offer a variety of services to satisfy the expectation of whole union members in practical terms instead of concentrating on the labor movement for the political struggle. This point says a lot for a new direction of labor movement.

직무만족이 노조참여를 촉진하는가 아니면 줄일 것인가에 대해서는 오랜 논쟁이 있었다. 본 연구는 직무만족과 노조참여와의 관계에서 노조수단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22개 사업장 826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실증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연구의 결과 직무만족과 노조참여 사이에 정(+)의 효과와 부(-)의 효과가 동시에 발견되었다. 직무만족의 노조참여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정(+)의 효과가 나타났으나, 직무만족과 노조수단성의 상호작용을 함께 고려하였을 때는 직무만족은 노조참여에 부(-)의 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만족이 노조참여에 대한 직접적인 관계는 노조참여에 대한 불만관점을 지지해주고 있으며, 직무만족과 노조수단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효용관점을 지지해준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직무만족이 독자적으로 노조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보다는 직무만족과 노조수단성과 유기적인 상호 연계가 이루어질 때 노조참여 효과가 더욱 강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실무적 측면에서 노조가 노조활성화를 기대한다면 근로자의 근로조건과 거리가 먼 정치투쟁적 노동운동보다 노조원의 기대를 충족해 줄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에 초점을 맞춘 노동운동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노동조합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