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ssment of Availability of Korean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Test in Patients with Brain Injury

뇌손상 환자에서 컴퓨터 신경행동검사의 유용성 평가

  • 김태훈 (동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전만중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사공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Received : 2013.04.22
  • Accepted : 2013.06.14
  • Published : 2013.06.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and the Korean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Test (KCNT) and the usefulness of KCNT for discriminating the patients with suspected dementia from normal persons in patients with a brain injury. The results of each items of KCNT had passed the test for normality. T test for group comparison and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for correlation between two tests were u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two groups. The differences in results of eight tests of KCNT between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 between two tes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 simple reaction time (-.580), choice reaction time (-.341), color word vigilance (-.661), digit classification (-.703), 2-digit addition (-.582), 3-digit addition (-.610), symbol digit substitution (-.642), and digit span (.807).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imple reaction time and 2-digit addition were useful in discriminating the patients with suspected dementia from normal persons because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two items of KCNT showed anticlastic association between two groups. And each items of KCNT may use in follow up cognitive function for patients in two groups.

뇌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와 한국형 컴퓨터 신경행동검사(KCNT)를 실시하여 관련성을 평가하고, 확정적 정상군과 치매 의심군을 구분하는데 있어서 KCNT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뇌손상 환자 50명 중 확정적 정상군과 치매 의심군의 KCNT 결과는 정규성 검정을 만족하여 두 군간 비교는 t 검정을, MMSE-K와 KCNT 결과간에는 이변량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군의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KCNT 결과는 두 군간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두 검사간 Pearson 상관계수는 단순반응시간(r=-.580), 선택반응시간(r=-.341), 글자색 맞추기(r=-.661), 숫자구분(r=-.703), 두 자리 숫자더하기(r=-.582), 세 자리 숫자더하기(r=-.610), 부호숫자 짝짓기(r=-.642), 숫자외우기(r=.807)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이 중 단순반응시간, 두 자리 숫자더하기는 확정적 정상군과 치매 의심군에서 서로 다른 부호의 상관계수를 나타내 두 군을 구분하는 검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제안된 KCNT 항목들을 검사 목적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면 두 군의 인지기능을 관찰하기 위한 검사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 M. Pendleton and W. Schultz-Krohn,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Mosby/Elsevier, 2012.
  2. 한태륜, 방문석, 재활의학, 군자출판사, 2008.
  3. T. D. Ser, R. Barba, M. M. Morin, J. Domingo, C. Cemillan, M. Pondal, and J. Vivancos, "Evolution of cognitive impairment after stroke and risk factors for delayed progression," Stroke, Vol.36, pp.2670-2675, 2005. https://doi.org/10.1161/01.STR.0000189626.71033.35
  4. L. Whitnall, T. M. McMillan, G. D. Murray, and G. M. Teasdale, "Disability in young people and adults after head injury: 5-7 year follow up of a prospective cohort stud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Vol.77, No.5, pp.640-645, 2006. https://doi.org/10.1136/jnnp.2005.078246
  5. S. Hesse and C. Werner, "Partial body weight supported treadmill training for gait recovery following stroke," Adv Neurol, Vol.92, pp.423-428, 2003.
  6. N. Carney, R. M. Chesnut, H. Maynard, N. C. Mann, P. Patterson, and M. Helfand, "Effect of cognitive rehabilitation on outcomes for person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 systematic review," J Head Trauma Rehabil, Vol.14, pp.277-307, 1999. https://doi.org/10.1097/00001199-199906000-00008
  7. P. Moorhouse and K. Rockwood,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current concepts and clinical developments," Lancet Neurol, Vol.7, pp.246-255, 2008. https://doi.org/10.1016/S1474-4422(08)70040-1
  8. C. Herrera, C. Chambon, B. F. Michel, V. Paban, and B. Alescio-Lautier, "Positive effects of computer-based cognitive training in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psychologia, Vol.50, pp.1871-1881, 2012. https://doi.org/10.1016/j.neuropsychologia.2012.04.012
  9. M. F. Folstein, S. E. Folstein, and P. R. McHugh,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Vol.12, pp.189-198, 1975. https://doi.org/10.1016/0022-3956(75)90026-6
  10. 박소연, 유은영, "한국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0권, 제2호, pp.99-108, 2002.
  11. 유은영, 정민예, 박소연, 최은희, "한국 작업치료사의 영역별 평가도구 사용 동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4권, 제3호, pp.27-37, 2006.
  12. 권용철,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제1편: MMSE-K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제28권, 제1호, pp.125-135, 1989.
  13. 박종한, 권용철,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제2편: 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신경정신의학, 제28권, 제3호, pp.508-513, 1989.
  14. 이상헌, "뇌졸중 환자에서 알렌인지수준과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 및 상지기능의 상관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287-294, 2009.
  15. 김연희, 신승훈, 박세훈, 고명환,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한 전산화 신경심리검사의 유용성",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5권, 제2호, pp.209-216, 2001.
  16. 김창윤, 이광원, 박인호,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검사의 임상적용을 위한 연구 -60세 이상의 연령군을 대상으로-", 신경정신의학, 제33권, 제6호, pp.1329-1342, 1994.
  17. 정원미, 최혜숙, 박금주, "뇌 손상 환자의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검사 소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7권, 제1호, pp.1-16, 1999.
  18. 사공준, 정종학, 전만중, 신말숙, "면접 및 검퓨터 신경행동검사의 신뢰도 평가",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제12권, 제4호, pp.494-500, 2000.
  19. 정종학, 김창윤, 사공준, 전만중, 박홍진, "한국형 신경행동검사 배터리의 개발 -면접과 컴퓨터 신경행동검사의 타당성 평가-", 예방의학회지, 제31권, 제4호, pp.692-707, 1998.
  20.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의 결정(조정) 신청 관련 기결정 및 반려항목 통보, 보건복지부 문서번호 급여65720-1445, 시행일자 2003.12.30, 2003.
  21. 정종학, 김창윤, 사공준, "컴퓨터를 이용한 유기용제 폭로 근로자의 신경행동학적 장애 검사",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제6권, 제2호, pp.219-241, 1994.
  22. 전만중, 사공준, 강복수, 김문찬, 김학수, "컴퓨터를 이용한 에탄올에 의한 신경행동기능 장애 평가", 영남의대학술지, 제14권, 제1호, pp.183-196, 1997. https://doi.org/10.12701/yujm.1997.14.1.183
  23. 이혜경, 사공준, 김구영, 이현영, 조영남, "컴퓨터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평가",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5-25, 2002.
  24. 전만중, 김창윤, 정종학, 임우택, 사공준, "키보드 형태가 컴퓨터 신경행동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78-190, 2004.
  25. F. Gamberale, A Iregren, and A. Kjellberg, SPES: the conputerized Swedish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background, critical issues, empirical data and a user's manual, Solna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Health, 1989.
  26. 대한노인정신의학회, 한국형 치매 평가 검사, 학지사, 2003.
  27. 이미숙, 김향희,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화용언어 능력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370-37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2.370
  28. G. M. S. Nys, M. J. E. van Zandvoort, P. L. M. de Kort, H. B. van der Worp, B. P. W. Jansen, A. Algra, E. H. F. de Haan, and L. J. Kappelle, "The prognostic value of domain-specific cognitive abilities in acute first-ever stroke," Neurology, Vol.64, pp.821-827, 2005. https://doi.org/10.1212/01.WNL.0000152984.28420.5A
  29. 김연희, 고명환, 서정환, 박성희, 김광석, 장은혜, 박시운, 박주현, 조영진, "주의력 향상에 중점을 둔 한국형 컴퓨터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7권, 제6호, pp.830-839, 2003.
  30. D. K. Broshek and J. T. Barth, The Halstead-Reitan neuropsychological test battery. In G. Groth-Marnat,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in clinical practice: A guide to test interpretation and integration, John Wiley & Sons, 2000.
  31. 한국임상심리학회, K-WAIS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실시요강, 한국가이던스, 1992.
  32. J. W. Jacobs, M. R. Bernhard, A. Delgado, J. J. Strain, "Screening for organic mental syndromes in the medically ill," Ann Intern Med, Vol.86, pp.40-46, 1977. https://doi.org/10.7326/0003-4819-86-1-40
  33. A. Nelson, B. S. Fogel, and D. Faust, "Bedside cognitive screening instruments. A critical assessment," J Nerv Ment Dis, Vol.174, No.2, pp.73-83, 1986. https://doi.org/10.1097/00005053-198602000-00002
  34. G. Allard, J. Butler, D Faust, and M. T. Shea, "Errors in hand scoring objective personality tests: The case of the Personality Diagnostic Questionnaire-Revised(PDQ-R)," Prof Psychol Res Pr, Vol.26, No.3, pp.304-308, 1995. https://doi.org/10.1037/0735-7028.26.3.304
  35. G. W. Moon, W. A. Blakey, R. L. Gorsuch, and J. W. Fantuzzo, "Frequent WAIS-R administration errors: An ignored source of inaccurate measurement," Prof Psychol Res Pr, Vol.22, No.3, pp.256-258, 1991. https://doi.org/10.1037/0735-7028.22.3.256
  36. J. Sakong, P. S. Kang, C. Y. Kim, T. Y. Hwang, M. J. Jeon, S. Y. Park, S. J. Lee, K. C. Won, S. B. Lee, and J. H. Chung, "Evaluation of reliability of traditional and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tests," Neurotoxicology, Vol.28, pp.235-239, 2007. https://doi.org/10.1016/j.neuro.2006.03.004
  37. J. G. Beaumont and C. C. French, "A clinical field study of eight automated psychometric procedures: the Leicester/DHSS project," Int J Man Mach Stud, Vol.26, pp.661-682, 1987. https://doi.org/10.1016/S0020-7373(87)80059-7
  38. M. D. Lezak, D. B. Howieson, and D. W. Loring,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9. 김윤경, 김태훈, 홍해숙, "노인전문병원 입원 노인의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제12권, 제3호, pp.140-147, 2010.
  40. C. A. Luis, D. A. Loewenstein, A. Acevedo, W. W. Barker, and R. Duara, "Mild cognitive impairmen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Neurology, Vol.61, pp.438-444, 2003. https://doi.org/10.1212/01.WNL.0000080366.90234.7F
  41. S. T. Farias, D. Mungas, B. R. Reed, D. Harvey, and C. DeCarli, "Progress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to dementia in clinic- vs community-based cohorts," Arch Neurol, Vol.66, No.9, pp.1151-1157, 2009. https://doi.org/10.1001/archneurol.2009.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