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경자, 종교참여에 따른 노인의 죽음불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김태현, 손양숙,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노년학, 제4권, 제1호, pp.3-19, 1984.
- 김혜련, 노인이 지각한 죽음에 대한 불안도 : 유료 및 무료시설과 재가노인을 중심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 이예종, 노인의 죽음준비 인식과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카톨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김대복, 노인에게 있어서 삶의 의미와 불안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 김은미,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임종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논문, 2002.
- 김승연, 배우자 사별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서혜경, "한.미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제7권, 제1호, pp.39-59, 1987.
- 양혜정, 내외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노인의 죽음 불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 장미란,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
- 김시원,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성격유형에 따른 죽음태도 및 죽음준비교육요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김선화, 죽음준비 교육이 노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배민아, 죽음준비교육의 기독교적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 서문진희, 죽음준비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및 공과개발, 침례신학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안황란, "노인죽음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죽음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 정신간호학회지, 제8권, 제1호, pp.44-68, 1999.
- 이영화, 죽음준비 교육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이이정, 노인학습자를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2003.
- 오지현, 좋은 죽음의 의미,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이경주, 황혜경, 라정란, 홍정아, 박재순, "좋은 죽음의 개념 분석", 호스피스논집, 제10권, 제1호, pp.23-39, 2006.
- 조명옥, "노인이 인식한 죽음의 의미와 준비에 관한 문화 기술적 탐색 사례연구", 한국노년학회지, 제25권, 제6호, pp.1-35, 1997.
- 조상희, 좋은 죽음에 관한 주관성 연구, 부산카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조계화,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품위있는 죽음",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72-78, 2010.
- 정현숙, 일개지역 의사와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부산카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김귀분, 노인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학위논문, 1977.
- 김미혜, 신경림, 강미선, 강인,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회지, 제24권, 제2호, pp.79-95, 2004.
- 김신미, 이윤정, 김순이, "노인과 성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제23권, 제3호, pp.95-110, 2003.
- 한나영, 정유석, 윤홍주, 유선미, 박인환, "좋은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 가정의학회지, 제23권, 제6호, pp.769-777, 2002.
- 김귀분, 김은숙, "노인의 소망", 성인간호학회지, 제14권, 제3호, pp.438-448, 2002.
- 오진탁, 죽음, 삶이 존재하는 방식, 서울: 청림출판사, 2004.
- 김승혜, 김홍철, 이수자, 정승석, 이지수, 류인희, 최준식, 정양모, 김경재, 이희수, 황필호, 죽음이란 무엇인가. 서울: 창, 1990.
- Dabate of the Age Health and Care Study Group, The future of health and care of older people. the best is yet to come. London: Age concern, 1999.
- J .Q. Benoliel, Multiple meanings of death for older adults, Newbury Park: Sage, 1991.
- 김은숙, 김귀분, "노인의 소망" 성인간호학회지, 제14권, 제3호, pp.438-448, 2002.
- 이영희, 고성희, ""노인의 죽음관- 전북 일섬 지역을 중심으로", 성인간호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35-145, 1999.
- 김덕진, 고진수, 양명환, "대학생의 해양스포츠 참여동기에 대한 내용분석", 제주대학 해양스포츠연구, 제2권, 제1호, pp.19-29, 2012.
- E. Guba and Y. Lincoln, Effectives evaluation.nsan-Francisco: Jassey & Bass, 1981.
- 김현경,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회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최정혜, "가족주의 가치관과 효 및 부모부양의식의 세대별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37권, 제9호, pp.85-101, 1999.
- 최재석,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서울: 민조사, 1965.
- 장성숙, "한국문화와 현실역동상담의 상담자-내담자 관계", 한국심리상담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47-160, 2003.
- L. M. Wilkes, "Nurses' desciptions of death scenes," Journal of cancer care, No.2, pp.11-16, 1993.
- S. A. Payne, A. Langley-Evans, and R. Hillier, "Perceptions of a "good death" : a comparative study of the views of hospice staff and patients," Palliat Medicine, Vol.10, No.4, pp.307-312, 1996. https://doi.org/10.1177/026921639601000406
- 강인, 최혜경, "여성의 배우자 사별 스트레스 적응 과정에서 개인 내적 요인들의 중 재적 역할", 대한가정학회지, 제36권, 제4호, pp.95-107, 1998.
- 김태현, 한혜신, "사별노인의 재혼에 관한 연구-서울시 재혼노인의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8-38, 1996.
- C. M. Parkes, "Loss and Recovery," Journal of social Issue, Vol.44, No.3, pp.53-65, 1988. https://doi.org/10.1111/j.1540-4560.1988.tb02076.x
- M. F. Dimond, "Gender difference through two years of bereavement among the elderly," The Gerontologist, Vol.26, No.5, pp.314-320, 1986. https://doi.org/10.1093/geront/26.3.314
- B. Raphael and K. Nunn, "Counseling the Bereaved," Journal of social Issues, Vol.44, No.3, pp.191-206, 1988.
- 전길양, 김정옥, "배우자 사별노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38권, 제1호, pp.55-170, 1997.
- 윤현희, 남녀 노인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심리적 적응감,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 임연옥, 박재연, 윤현숙, "배우자 사별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변화와 그 예측요인", 노인복지학회지, 제50권, 제1호, pp.123-144, 2010.
- 김현숙, 여성노인의 호상 체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장재선,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수용에 관한 연구 - 대전.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최윤선, 김장욱, 신승욱, 이영미, 이태호, 홍명호, "말기환자 관리에 대한 의사들의 태도", 호스피스 논문집, 제3권, 제1호, pp.25-32, 1996.
- K. Dovey, "Home and Homelessness, I. Altman and C. M. Werne(eds.) Home Environments," pp.33-34, N. Y: Plenum.Press, 1985.
- 최래옥, "민속 신앙적 측면에서 본 한국인의 죽음관", 비교민속학회지, 제17권, 제1호, pp.5-480, 1999.
- 임돈희, 김이회, "병립신관과 한국문화", 비교민속학회지, 제20권, 제1호, pp.87-120, 2001.
- 황루시, 팔도, 서울: 대원사, 1989.
- 최정호, 변재준, 이사라, 한승헌, "서울시내 여성 노인이 원하는 임종 장소", 가정의학회지, 제22권, 제6호, pp.939-945, 2001.
- 김상우, "한국의 도시화에 따른 무속적 죽음관의 변화"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3호, pp.305-330, 2007.
- 이상호, "오복 개념을 통해본 유교의 행복론", 동양철학연구, 제60호, pp.134-161, 2009.
- 박영민, 품위 있는 죽음,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김순미, 하춘광, 김효순, "내세관과 죽음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11-136, 2011.
- 김명숙, "'좋은 죽음'과 유학의 죽음관", 동양사회사상학회지, 제19호, pp.165-198, 2009.
- 이가옥, 이지영, "남성 연소노인의 은퇴 후 적응과정과 노년기 조망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학회지, 제5권, 제1호, pp.3-120, 2005.
- 박광연, 기독교 신앙이 죽음수용에 미치는 영향: 충남지역 기독교 노인 신자들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홍진국, 인간죽음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고찰, 광주 카톨릭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김정희, "죽음에 대한 소고: 주요종교의 죽음관을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회지, 제18권, 제12호, pp.229-240, 2005.
- 정병석, "논어와 장자에 보이는 죽음관", 동양철학연구회, 제55호, pp.45-77, 2008.
- 백지은, 최혜경,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3권, 제3호, pp.1-16, 2005.
- 박경란, 이영숙,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한국노년학회지, 제22권, 제3호, pp.53-66, 2002.
- 배민아, 죽음준비교육의 기독교적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 이동희 역주, 논어,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98.
- 신월균, 한국의 민속신앙, 서울: 집문당, 1996.
피인용 문헌
- Factors Influencing Perception of Good Death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vol.17, pp.3, 2014, https://doi.org/10.14475/kjhpc.2014.17.3.151
- Nurses' Experiences of the Death of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vol.45, pp.4, 2015, https://doi.org/10.4040/jkan.2015.45.4.513
- The Meaning of Dignified with Death vol.20, pp.2, 2017, https://doi.org/10.14475/kjhpc.2017.20.2.100
- An Ethnography on the Healthy Life of the Aged Women Participating the Senior Centers vol.48, pp.3, 2018, https://doi.org/10.4040/jkan.2018.48.3.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