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지역 주거약자를 위한 주택 리모델링 지원사업 개선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related with the House Remodeling Support Program for Underprivileged Group in Rural Area

  • 김혜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임창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홍광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투고 : 2013.05.13
  • 심사 : 2013.06.20
  • 발행 : 2013.06.30

초록

In rural areas, in spite of the development projects of town and houses has been performed after the New Community Movement,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which lasted until the 2000s from the 1980s, out-migration to the cities,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rapid aging was carried. As a result, the gap of housing environm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became more serious. The meantime, the housing problem is recognized only to the problems of the big cities, mostly urban public housing policy oriented. However, when you check the indicator of the housing environment, such as the percentage of aging housing, rural environment has become a relatively poor compared to the city. In addition, due to a decrease in income and aging of the population living in rural areas of existing infrastructure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is weakened. And inside of the rural areas, changes in the housing environment and polarization phenomenon is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Therefore, in this study, there is a purpose to be presented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house remodeling support program for underprivileged group in rural areas and requires immediate attention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Previously, House remodeling support project in rural areas was carried out at the initiative of local governments and government mainly.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due to limited institutional, to reflect the necessary parts directly to the real life of the residents. And,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need modifications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life of residents directly in many cases. It is considered that community-based house remodeling support project is to be carried out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창현, 2003, 사회복지서비스 지역전달네트워크의 실험적 설계, 한국행정논문집 제15권 제2호, 344.
  2. 김정헌, 윤현숙, 2003, 지역복지서비스 집행체계에 관한 연구, Network모형을 중심으로 복지행정논총 제14권 제1권, 1-24.
  3. 김통원, 2005, '희망한국 21'과 사회복지전달체계, 경실련, 2-3.
  4. 남원석, 2010, 점유형태별 복지의 논리와 주택정책의 방향, 주거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 토론회 자료집, 한국도시연구소.공간환경정책 포럼, 부동산 연구회, 26-28.
  5. 남원석 외, 2010, 지역밀착형 주거지원서비스 지원 체계 구축방안, 토지주택연구원, 15-16.
  6. 농림축산식품부, 2012, 농어촌마을 리모델링 시범사업 설명회자료, 27.
  7.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13. 4. 30.
  8. 박영숙, 2009,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과 과제, 교정복지연구 제15호, 47-58.
  9. 박윤호, 2012, 귀농.귀촌과 전원주택수요를 고려한 농어촌주택의 정책방향,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대회 주제발표 1.
  10. 서재호, 2008,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 체계 개편에 대한 평가,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5권 제1호, 154-148
  11. 서수정 외. 2010, 해피하우스 정책지원 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68-170.
  12. 성규탁, 1992,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념적 틀과 분석방법의 예, 사회복지, 115호, 73-102.
  13. 송다영, 2005,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위한 방향과 원칙에 관한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7권 4호, 235.
  14. 이진숙, 2002, 독일의 공적 가족복지 전달체계에 대한 분석, 한국가족학회지 제14집 3호, 131-161.
  15. 이해욱, 2009, 농촌거주유형분석을 통한 농촌주택 계획방향 연구, 농촌계획, Vol.15, No.2, 43.
  16. 주성식, 2012, 농촌취약계층의 주택 개보수사업에 관한 연구, 강원대 석사논문, 8.
  17. 차보현, 2006,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편과 발전과제, 복지행정논총, 제16집 제2권, 257-286.
  18. 최유진, 2009, 도시재생사업에서의 사회적 약자를 위한 주민참여형 유지관리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 석사논문, 49-50.
  19. 최성재, 남기민, 1999, 사회복지행정론, 나남출판사, 85.
  20. 통계청 e-나라지표, 한국 보건사회 연구원 보고서 2012.
  21. 홍인정, 2010,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 및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2010. 6, 58-59.

피인용 문헌

  1. 맞춤형 주거환경수정을 이용한 노인의 건강상태 차이비교 분석: 커뮤니티케어 사업을 중심으로 vol.11, pp.8, 2021, https://doi.org/10.22156/cs4smb.2021.11.08.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