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웹 대중문화: 페미니즘의 반동인가, 포획인가?

Social web popular culture: repercussion or recapturing of feminism?

  • 김예란 (광운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 Kim, Yeran (School of Communications, Kwangwoon University)
  • 투고 : 2013.02.25
  • 심사 : 2013.04.25
  • 발행 : 2013.05.15

초록

이 연구는 이러한 신자유주의 원리가 유명인을 중심으로 하는 소셜웹 문화의 일종으로서 대중적으로 발현되는 문화양상을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해석한다. 핵심 질문은 이 현상이 과연 여성적 문화의 건강한 발전인지, 혹은 신자유주의에 의한 여성적 문화의 포획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전자에 의한 후자의 극복을 지향하는 시각을 여는 것이다. 이 작업을 위해 유명인을 중심으로 한 트위터 담론을 질적 분석했다. 미디어 환경이 부여하는 '스마트함', 신자유주의적 이데올로기로서의 경쟁주의 및 개인주의, 긍정주의와 순응주의, 그리고 포스트페미니즘 라이프스타일 문화산업이 제공하는 환상과 욕망 질서가 결합하여 오늘날 소셜웹의 대중문화의 심성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에는 자기통치의 자율적 주체라는 신자유주의적 포스트페미니즘의 환상이 자리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신자유주의적 자기 통치성이 지배적인 사회적 상황과 다른 한편으로는 이용자 능동성과 적극성이 강조되는 소셜웹 미디어 환경이라는 환경적 요인들이 서로 접합하며 신자유주의적 포스트페미니즘의 효과가 보다 직접적이고 강대하도록 이끈다. 그리고 그 효과의 강대함만큼이나 비판과 대안적 전망의 필요성 역시 절실하게 요구된다.

This study criticizes the neoliberal dominance in social web popular culture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 key question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social web popular culture-is it the repercussion or recapturing of feminism in relation to the social context of the prevalence of popular cultural practices of neoliberalism and how to challenge against neoliberal ideology with the critical positioning of feminism? In dealing with these questions, four celebrities' twitter discourses are analysed. The emphasis of smartness in digital mediascape, neoliberal imperative to be competitive, autonomous, positive and affirmative, and desire and fantasy brought by postfeminist lifestyle industries are embedded in the present popular culture. The critical account of neoliberal postfeminism suggests the necessity of an critical feminism which brings about alternative values to the current neoliberal demand for the active subject and consumer freedom of choice as the standard of ideal wome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