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아동과 일반 아동의 발달 및 어린이집 부적응행동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evelopment and Maladaptive Behavior at Daycare Centers by Children of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 김환남 (김포대학교 유아교육과) ;
  • 이선애 (김포대학교 유아교육과)
  • 발행 : 2013.06.30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 아동의 발달수준 및 어린이집 부적응행동 실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도 김포시와 안산시에 소재한 34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5세의 다문화 아동과 일반 아동 203명을 대상으로 WSS 발달적 체크리스트와 유아교육기관 생활적응행동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하여 인성 및 사회성, 언어 및 읽고 쓰기 영역에서 발달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리적 사고와 과학적 사고 발달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세에서는 다문화 아동과 일반 아동 간 발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세와 5세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어린이집 부적응행동 수준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위영역별로 어린이집 적응 수준을 살펴보면 다문화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하여 또래협력 항목에서는 적응수준이 낮게 나타났으나 개인사회기술과 환경적응, 활동적응 영역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발달과 어린이집 부적응행동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발달 수준이 낮을수록 어린이집에 부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달 영역 중 '인성 및 사회성'영역의 발달이 아동의 어린이집 부적응행동을 가장 잘 예측해주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SS developmental checklist and nursery maladaptive test were conducted and applied to 203 multicultural children and non-multicultural children. The children were 3-5years old and were attending 34 kindergartens located in Gimpo-si and Ansan-si, Gyeonggi-do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level and status of adaptation to the nursery in multicultural children.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and mathematical thinking while developmental level is lower in personality, sociality, language, reading and writing area in multicultural children compared to non-multicultural children. According to ag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between 4~5-year-old multicultural children and non-multicultural children whil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between 3-year-old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children. It also shows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ery adaptation between multicultural children and non-multicultural children.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상북도보육정보센터(2009). 경북지역 다문화가정 영유아보육지원 프로그램 사업 보고회 자료집. 경상북도 보육정보센터
  2. 구수연(2007). 어린이집 생활을 통해 본 여성 결혼 이민자 자녀와 가정에 대한 이해,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95-124.
  3. 권미지, 석동일(2010).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음운처릴에 관한 메타언어능력의 비교 분석. 언어치료연구, 19(1), 1-23.
  4. 권순희(2010). 다문화 가족의 이중언어교육 필요성과 정책 제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5. 김갑성(2008).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18, 58-95.
  6. 김경숙, 공진희, 이민경(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가정 유아 부모의 특서와 유치원 교육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9(4), 311-335.
  7. 김성숙(2012). 자녀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과정에서 결혼이주여성이 겪는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32(2), 241-264.
  8. 김지영, 엄용환, 이현옥(2000). WSS의 발달적 체크리스트(Developmental Checklist)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193-210.
  9. 김현경, 박명순(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 및 교사관계에 관한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3(1), 88-104.
  10. 김희태, 권영덕(2007).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에의 적응과 변화 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95-117.
  11. 문무경, 조혜주(2008). 다문화가정 육아지원 방안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연구보고 2008-04.
  12. 모선희, 이인희, 인선행, 김성운(2008). 다문화가정의 문제점과 정책적 지원방안. 충남발전연구원.
  13. 박미경, 엄정애(2007).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15-136.
  14. 박민주(2005). 가정결손여부가 저소득가정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주희, 남지숙 (2010). 다문화 아동의 언어발달과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청소년연구, 21(2), 129-152.
  16. 박현선(2008). 빈곤지위가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26, 113-137.
  17. 박현선, 이채원, 노연희, 이상균(2012). 다문화 가정의 이중언어.이중문화적 양육 환경이 자녀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3(1). 365-388.
  18. 방소영, 황혜정(2011). 가정형태에 따른 발달수준 비교연구: 다문화저소득일반가정의 유아를 대상으로. 육아정책연구, 5(2). 1-22.
  19. 보건복지부(2009).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20. 서종남(2010).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1. 서현, 이승은(2007). 농촌지역의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47.
  22. 신혜영, 김명순(2008). 저소득 가정 부모의 문해 발달 태도 및 가정 문해 활동과 유아의 어휘력, 인쇄물 개념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9(4), 199-212.
  23. 안성우, 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 아동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음절과 음소 측면. 언어치료연구, 17(4), 81-94.
  24. 양계민, 김승경, 박주희(2011).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의 발달과정 추적을 위한 종단연구 I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 11-R07.
  25. 오재연(2006). 시간경과에 따른 유아의 유치원생활 적응행동연구. 아동학회지, 27(2). 71-84.
  26. 우현정, 정현심, 최나야, 이순형, 이강이(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 자녀의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30(3), 23-36.
  27. 유승애 (2009). 4, 5, 6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실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유효순, 이채호(2011). 유아교사용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81-96.
  29. 윤갑정, 고은경(2006).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의 한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147-168.
  30. 이영주(2007). 국제 결혼한 여성의 자녀에 대한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pp.83-105.
  31. 이영주(2008). 다문화가족 아동의 특성에 따른 적응요인: 위험요인과 보효요인분석. 한국가족복지학, 13(1), 79-101.
  32. 이영환, 정남주(2009). 부적응 행동 아동의 우울.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5(2), 43-71.
  33. 이현경, 서현, 김동례(2009).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관한 조사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1-24.
  34. 임재우(2009). 결혼이민자 자녀들의 성장 발달과 언어문제.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2(4), 417-421. https://doi.org/10.3345/kjp.2009.52.4.417
  35. 정정희(2006). 농촌지역 결혼 이주여성 자녀의 보육시설 적응. 대구경북RHRD 연구보고서 2006-08. 대구: 대구경북연구원 지역인적자원개발지원센터.
  36. 조영달(2006).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 실태조사. 교육인적자원부.
  37. 최연실(2006).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 능력 비교.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최윤경(2010). 다문화가정의 영유아 보육.교육 서비스 이용 실태. 육아정책포럼: 육아정책연구소.
  39. 황상심(2008). 농촌지역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언어 특성연구.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40. 황상심, 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변인 상관연구. 언어치료연구, 17(1), 81-102.
  41. 황혜신, 황혜정(2000). 이중언어(한국어-영어)를 하는 아동의 언어능력발달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1(4), 69-79.
  42. Behar, L., & Stringfield, S. (1974). A behavior rating scale for the preschool child. Developmental Psychology, 10(5), 601-610. https://doi.org/10.1037/h0037058
  43. Belsky. J., Rovine, M., & Taylor, D. G. (1984). The Pennsylvania infant and family development project: the origin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infant-mother attachment: maternal and infant contributions. Child Development, 55, 706-717. https://doi.org/10.2307/1130123
  44. Genesee, F., Nicoladis, E., & Paradise, J. (1995). Language differentiation in early bilingual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Language, 22, 611-631.
  45. Junker, D. A., & Stockman, I. J. (2002). Expressive vocabulary of German- English bilingual toddler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1(4), 381-395 https://doi.org/10.1044/1058-0360(2002/042)
  46. McCabe, P. C., & Meller, P. J.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social competence: How language impairment affects social growth. Psychology in the Schools, 41, 313-321. https://doi.org/10.1002/pits.10161
  47. Meisels, Samuel J. (1993). Remarking classroom assessment with The Work Sampling System. Young children, 48(5). 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