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교사의 용기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urage of Infant & Toddler Teachers

  • 발행 : 2013.04.30

초록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용기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기존에 간과되어 왔던 교사의 용기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영아교사의 역할 수행과정에 있어 용기라는 덕목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교사 4인이며 2012년 6월부터 2012년 8월까지 12주 동안 3~5회에 걸쳐 연구자와 연구참여자들이 심층면담을 실시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영아교사의 용기는 신체적 손상과 죽음의 공포에도 용기 있는 행동을 하는 '몸을 불사르는 영아교사의 용기', 부모와 원장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원칙을 고수하며 자기반성을 통하여 양심과 원칙을 재구성하는 '양심과 원칙에 따르는 영아교사의 용기', 영아를 기르고 돌보는 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을 발휘하는'기르고 돌보는 영아교사의 용기'로 범주화되었다. 이는 영아교사가 영아를 돌보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용기의 특성을 규명하고 용기라는 덕목에 대한 의미부여 및 증진 방안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urage of infant & toddler teachers during their care for infants and toddlers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e courage of teachers, which has been overlooked so far. It's specifically meant to rais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courage as one of virtues that teachers should have to provide quality ca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our selected infant & toddler teachers at a childcare center. Data were gathered during a 12-week period of time from June to August, 2012, by having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f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courage that teachers had was categorized into three: being unsparing of oneself, acting according to conscience and sticking to principles, and raising and caring. As for the first, they didn't spare themselves even though there was a danger of physical harm or death. Regarding the second, they held fast to their principles even when it's against the will of the principal and parents, and continued to modify the principles by looking back on themselves. Concerning the third, they did their utmost while they provided toilet training. In the future, the characteristics of courage that infant & toddler teachers should have to take good care of infants and toddlers should be investigated, and courage should be taken seriously as one of virtues. Besides, how to help teachers keep their courage up should carefully be consider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희, 전홍주(2012). 어린이집 교사의 식사지도 방법과 지도과정에서의 어려움. 유아교육학논집, 16(1), 275-303.
  2. 강소영, 전숙영(2011).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한 '좋은 영아교사'의 의미탐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27-47.
  3. 강현미, 황해익(2011).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관찰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아동학회지, 32(5), 167-183.
  4. 곽영신 (2002). 교사가 지각한 유치원 원장의 역할 유형과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와이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국립국어원(2013). http://www.korean.go.kr/09_new/index.jsp 에서 2월 12일 인출.
  6. 권석만(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7. 권석만(2011). 인간의 긍정적 성품-긍정 심리학적 관점. 서울: 학지사.
  8. 권수현, 이승연(2010).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137-157.
  9. 김민경(2011). 초등학교 교사의 성격적 강점과 교직 만족도와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민혜영, 윤미정(2011). 영아반과 유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47-168.
  11. 박은혜(2003).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12. 박정빈, 김은심, 유선희(2010). 영아반 교사가 직면하는 어려움. 변형유아교육연구, 4(2), 65-87.
  13. 박찬옥, 이은영(2011). 교사용 유아 용기 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6(3), 1-21.
  14. 시민일보(2012. 9. 5). 버스강도 버스기사와 승객이 제압.
  15. 안금주(2005). 유치원 원장의 역할의 중요성과 수행정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평가.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연합뉴스(2012. 9. 8). 이웃이 성범죄 위기 어린이 구했다.
  17. 오홍석(2009). 조직이론. 서울: 박영사.
  18. 이경민, 최윤정(2009). 유아교사의 행복, 강점, 직무만족의 관련성 탐색 연구. 유아교육연구, 29(3), 215-235.
  19. 재외동포신문(2012. 9. 6). 미 해병대출신 한인청년, 한국군 다시 입대.
  20. 정계숙, 김명애, 김혜금, 문혁준, 심희옥 (2007). 부모교육. 서울: 창지사.
  21. 정재경, 성소영(2011). 영아안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 및 지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2), 125-140.
  22. 정옥분(2012). 영아발달. 서울: 학지사.
  23. 조혜진(2007). 영아반 초임교사들의 어려움과 적응에 대한 이해. 영유아교육학논집, 11(2), 237-262.
  24. 최윤정(2009).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 Seligman의 강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탁정화, 황해익(2012). 영아교사의 어려움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지원방안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73-103.
  26. 한유미, 오경숙(2010). 영아반 교사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291-309.
  27. 황해익 (2010). 아동연구방법. 서울: 정민사.
  28. 허혜경, 박인숙(2010). 보육교사의 자질과 직무태도가 보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4, 21-41.
  29. Aquinas, T. (1948). Introduction to ST. Thomas Aquinas: The Summa theologica, The Summa contra gentiles (Trans. and Ed. A Pegis). New York: Tandom House.
  30. Berk, L. E. (2007). 아동발달. (박낭자 외 역). 서울: 정민사 (원판 2005).
  31. Day, C. (2007). 열정적으로 가르치기. (박은혜, 이진화, 위수경, 조혜선 역). 서울: 파란마음 (원판 2004).
  32. Diener, R. B. (2013). 미친세상에서 용감하게 살아가기. (민지영 역). 서울: 한빛비츠 (원판 2012).
  33. Gruber, C. W. (2011). The Psychology of Courage: Modern Research on an Ancient Virtue. Integrative Psychological & Behavioral Science. 45(2), 272-279. https://doi.org/10.1007/s12124-011-9155-x
  34. Lopez, S. J. (2011). 인간의 강점 발견하기. (권석만, 정지현 역). 서울: 학지사. (원판 2008)
  35. Lopez, S. J., & Snyder, C. R. (2008). 긍정심리평가 모델과 측정. (이희경, 이영호, 조성호, 남종호 역). 서울: 학지사 (원판 2003).
  36. Maddi, S. R. (2004). Hardiness: an operationalization of existential courage.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279-298.
  37. MaMullen, M. B., & Darling, C. A. (1996). Symbolic problem solving: An important piece of the literacy puzzl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21, 25-35. https://doi.org/10.1080/0300443961210103
  38. Rachman, S. J. (1984). Rear and courage. Behavior Therapy, 15, 109-120. https://doi.org/10.1016/S0005-7894(84)80045-3
  39. Rorty, A. O. (1988). Mind in action: Essays in the philosophy of mind. Boston: Beacon Press.
  40. Stake, R. E. (2000). 질적사례연구. (홍용희, 노경주, 심종희 역). 서울: 창지사 (원판 1995).
  41. Soundy, C. S. (1997). Nurturing literacy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group setting. Childhood Education, Spring, 149-153.
  42. Thayer, R. E. (1996). The origin of everyday moods: Managing energy, tension and stres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3. Woodard, C. R. & Pury, C. L. (2007). The construct of courage: categorization and measurement.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59(2), 135-147. https://doi.org/10.1037/1065-9293.59.2.135
  44. Woodard, C. R. (2004). Hardiness and the concept of courage.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56, 173-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