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Types of Images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bout Kindergarten Teachers : Employing Q-methodological Approach

유아교사의 보육교사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Q-방법론적 접근

  • 김병만 (부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김미진 (부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s of imag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bout nursery teachers in detail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build an ideal image of a nursery teacher. Another goal was to determine the right directions for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subjective opin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has not been covered in earlier studies. The Q-methodology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types of the images of nursery teachers and each type's characteristics. A Q-population was constituted by 310 types of images based on the results of earlier studies about the images of nursery teachers, and 48 Q-sampl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frequency. And then 20 nursery teachers and 20 kindergarten teachers were asked to classify the images of nursery teachers in nine stages by using the Q-sort,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PASW 18.0. As a result, four different types of images appeare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bout nursery teachers, and the images were respectively named 'a practical-teaching-oriented type of teacher', 'a negative-system critical type of teacher', 'a positive-humanistic type of teacher' and 'a neutral-emotionally type of teacher'.

본 연구는 보육교사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유형을 심층적으로 알아봄으로써 기존 조사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유아교사의 구체적이고 주관적인 의견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보육교사상을 정립하고 교사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이미지 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선행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총 310개의 Q-모집단을 구성하였으며,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48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유치원 교사 20명, 보육교사 20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이미지를 9단계로 Q-분류하도록 하고, 그 자료를 PASW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의 보육교사에 대한 이미지는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을 '실천적-교수활동적 교사형', '부정적-체제비판형 교사형', '긍정적-인성적 교사형', '중립 적-정서적 교사형'으로 명명하여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정기술부, 보건복지부(201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지원을 위한 시.도(교육)청 강사 요원 중앙연수자료집.
  2. 국립국어원(2013). 표준국어대사전. 2013년 1월 15일 검색. http://www.korean.go.kr
  3. 권혜진(2008).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소진: 정서적 부조화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인간발달연구, 15(4), 93-113.
  4. 김경숙, 한경임(2006). 초등 특수교사의 특수교사에 대한 이미지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2(2), 77-102.
  5. 김근희(2007). 보육시설 유형과 처우개선비에 따른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 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영연, 최남정(2009). 그림책 지각대장 존에 나타난 교사 이미지. 어린이미디어연구, 8(2), 23-41.
  7. 김정원, 조혜선(2012). 보육실습 전, 후 예비보육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 교사-자화상 그리기와 심층면담을 통한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 1-19.
  8. 김정주, 윤정진(2011). 여고생이 인식한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183-207.
  9. 김헌수, 원유미(2000). Q-방법론. 서울: 교육과학사.
  10. 김효선(2000). 유치원 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조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흥규(1990). Q 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한국학논선, 7, 1-59.
  12. 류칠선(1996). 유치원 교사의 교사 이미지 연구: Q-방법론적 접근. 유아교육연구, 16(2), 125-145.
  13. 류칠선(1998). 유치원 교사 이미지 평가 척도 개발. 아동학회지, 19(1), 183-192.
  14. 류칠선, 이성희(1997). 유치원 교사 이미지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2, 193-217.
  15. 박은혜, 조운주(2007).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 이미지의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1(4), 225-246.
  16. 박창현, 박찬옥(2012). 유아교육기관장의 운영능력, 유아교사의 역량, 교육과정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회, 16(3), 245-270.
  17. 손원경, 박진희(2011).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형 분석: Q-방법론적 접근. 아동교육, 20(1), 165-179.
  18. 손유진, 이규진, 이정주(2008). 유아교사 이미지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에 관한 연구. 인간과 문화 연구, 14, 63-100.
  19. 송미승, 한경임, 박철수(2003). 재활 관련 전공 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에 관한 주관성 연구. 언어치료연구, 12(2), 255-280.
  20. 신건호(2007).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유아교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16(3), 35-46.
  21. 신동근(2004). 중.고 교사의 보수만족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안효진(2006). 반성적 사고를 통해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신념과 실천. 대한가정학회지, 44(2), 13-23.
  23. 오영희, 류칠선(1999). 유치원 교사 이미지 평가 연구. 아동학회지, 20(1), 213-222.
  24. 유지영(2004). 교사의 자아이미지와 교수효과성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육아정책연구소(2010). 만 5세 공통과정 시행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6. 윤미자(2009). 보육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이미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국제문화대학원 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윤상호(2007). 아파트에 대한 소비자의 Q방법론과 라이프스타일을 이용한 주거자 인식의 차이.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이경민, 최윤정(2009). 유아교사의 행복, 직무만족도, 강점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정기학술대회 자료집, 305-316.
  29. 이금란(2000).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이기섭(2010). 유아교육, 보육 이원화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이기숙, 김정원, 이현숙, 전선옥(2013). 영유아교육과정. 경기: 공동체.
  32. 이연선, 박선미, 조희숙(2007). 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Q-방법론적 접근.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337-361.
  33. 이은철, 김갑선(2002). 사서직의 직업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25-47.
  34. 이재오(2004). 우리나라 보육시설 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이정림(2009) 학부모와 대학생의 유치원 교사 이미지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이춘자(2010).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 교사에 대한 이미지 변화. 교원교육, 26(1), 1-19.
  37. 이현숙, 조형숙(2008). TV드라마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이미지. 어린이미디어연구, 7(2), 57-85.
  38. 정명숙, 황해익(2010). 학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 아동학회지, 31(3), 67-82.
  39. 정현숙(2000). 예비 및 초임유아교사의 교사로서의 자아상 형성 과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0. 정현숙, 이지현, 임승렬(2002). 유아교사의 자아상 유형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2(4), 201-227.
  41. 조경자(2007).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좋은 유아교사의 특성.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561-586.
  42. 조운주(2007). 유아교사와 유아가 인식한 유아교사의 이미지 이해. 유아교육연구, 27(3), 315-335.
  43. 조혜영, 황인주(2012). 5세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담당교사들이 겪게 되는 긍정적 경험, 어려움과 개선방안. 유아교육연구, 32(5), 181-205.
  44. 최애경(2007). 예비유아교사의 보육실습 전 후에 따른 교사 이미지 변화. 아동교육, 16(3), 291-302.
  45. 하은옥(2007). 교육실습 전 후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19-42.
  46. 황해익, 김미진, 김병만(2012).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의 이미지 연구. 아동학회지, 33(5), 201-219.
  47. 황해익, 김병만, 김미진(2013). 유아교사의 유치원 교사에 관한 이미지 유형분석. 아동교육. 22(1), 미간행.
  48. 황해익, 주철안, 김병만(2011). 유아교사의 보수처우만족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0(4), 285-305.
  49. 황해익, 탁정화, 김미진(2012). 유아가 인식한 생태유아교사 이미지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1(1), 95-121.
  50. Austin, E. J., Dore, T. C. P., & O'Donovan, K. M. (2008). Associations of personality and person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with display rule perceptions and emotional labo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4, 679-688. https://doi.org/10.1016/j.paid.2007.10.001
  51. Kim, H. K. (1992). Comprehensive of Q-methodology for subjectivity. The Seoul J Nursing. 6(1), 22-32.
  52. Ramey, S. L., & Ramey, C. T. (2000). Early childhood experience and developmental competence. In J. Waldfogel & S. Danziger (Eds.), Securing the future: Investigating in children from birth to college(pp.122-150).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53. Ryan, S., & Ochsner, M. (1999). Traditional practices, new possibilities: Transforming dominant ima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ustral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24(4), 1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