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enomenological Study on Husband's Role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 인식과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조해선 (백학꿈나무어린이집) ;
  • 류진아 (한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2.11.15
  • Accepted : 2013.03.08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This study performed quality study to examine cognition and experience as it is about husband role of wife's perception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Specifically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13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was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wife's cognition about husband role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they were 'nice and warm man', 'no special thought', 'clean and cool looking man', 'man without straitening wife', 'husband taking care of housekeeping', 'having independent family' and 'strong responsibility to children'.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did not deeply think about husband's role at international marriage, but it could be known that vague longing for rich country, Korea by Korean wave and its expectation continued to expectation on husband. Second, they were 'good-tempered and nice to me', 'adjust to me', 'irresponsibility and apathy', 'cannot lean to him', 'no housekeeping', 'intermediate role between his family', 'more taking care of children, parents and relatives', 'drink, gambling and violence'. The experience of husband role was little different from cognition of husband role by females in rural mulitcultural family.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 인식과 경험을 있는 그대로 탐색함으로써 성공적인 결혼생활과 안정적 농촌사회 적응능력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 13명을 심층면접한 결과를 현상학적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착하고 따뜻한 남자', '그냥 별 생각 없었음', '깨끗하고 멋있게 보이는 사람', '아내를 고생 안 시키는 남자', '가사는 내 몫이 아닌 남편 몫', '독립된 가정 꾸리기', '자식에 대한 책임감이 강함' 이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들은 국제결혼을 하면서 남편의 역할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는 않았지만 막연하게 잘 사는 한류의 나라 한국에 대한 동경과 함께 그에 대한 기대가 남편에 대한 기대로 이어져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문화에 대한 사전 조사와 이해가 부족하여 자신의 출신국에 존재하는 사회분위기 및 가족과 부부문화가 한국에도 존재할 것이라고 여기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에 대한 경험을 분석한 결과 '마음이 좋고 잘 해줌', '나에게 맞춤', '무책임과 무관심', '마음을iv 기댈 수 없음', '집안 일 별로 안함', '시댁과의 중간역할', '아이와 부모, 친척 먼저 챙김', '술과 도박, 폭력을 함'이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에 대한 경험은 남편역할에 대한 인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들이 지각하는 남편역할에 대한 경험은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이 함께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정(2009).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영농활동 실태 분석. 농촌경제, 32(5), 133-152.
  2. 교육인적자원부(2007).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지원계획. 교육인적자원부.
  3. 김승권, 김유경, 조애저, 김혜련, 이혜경, 설동훈, 정기선, 심인선(2010).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보건복지가족부.법무부.여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 김오남(2006).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이선, 정해숙, 김영주(2008). 농촌여성 결혼 이민자 가족지원 사업 발전방안 연구. 농림부.
  6. 류진아(2011). 농어촌 다문화가정 아동의 적응 유형과 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2), 5-27.
  7. 문은희(2007).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여가참여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명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경동(2007). 다문화가족 형성과 갈등에 대한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주희, 정진경(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12(4), 395-432.
  10. 박재규(2007). 국제결혼이주영성의 농촌생활적응 관련요인분석: 전북지역사례. 농촌경제, 29(3). 67-84.
  11. 박진희(2012).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활동 방안-심층면접을 중심으로. 한국 경찰학회보, 33, 149-183.
  12. 변미희, 강기정(2010). 다문화가정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관련요인. 한국가족복지학, 15(2), 127-141.
  13. 설동훈, 이혜경, 조성남(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 조사 및 중장기 지원 정책 방안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14. 성현란(2011).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및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 다문화 가정. 한국 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7(2), 219-239.
  15. 안효자, 박순희, 최은정(2010). 농촌거주 국제결혼 한 한국인 남성의 음주와 결혼안정성: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9(4), 429-436.
  16. 양순미(2007). 농촌 국제결혼 부부의 행복에 관련변인이 미치는 효과. 농촌사회, 17(2), 5-39.
  17. 양순미, 정현숙(2006). 농촌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 영향요인. 한가족관계학회지, 11(3), 223-252.
  18. 양승민, 연문희(2009).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943-966.
  19. 양옥경, 송민경, 임세와(2009). 서울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137-168.
  20. 윤명숙, 이혜경(2011).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부모 됨을 통한 적응 경험. 한국가족복지학, 32(6), 103-135.
  21. 유영은(2006).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문화적응에 관한 사례연구와 지원방안: 경기도 북부지역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은주(2004). 가정폭력 행위자의 폭력행동 중단을 위한 한국적 집단개입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 295-327.
  23. 이정희(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과 이혼위기에 대한 사례연구.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장은정(2007). 국제 결혼한 한국 남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전혜경 외(2008). 국제결혼가정 자녀 실태조사 및 성장지원 방안연구. 보건복지가족부.
  26. 조용환(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7. 한건수(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19.
  28. 행정안정부(2010). 외국계주민현황조사.
  29. 한국여성개발원(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 증진을 위한 정책 과제.
  30. Aldous, J.(1974). The conceptual aooriach, The Developmental Aooriacg to Family Analysis. Athens : University of Georgia press.
  31. Berry et al (1988). Acculturation and mental health. In P.R. Dasen, J. W. Berry, & N. Sartorius(Eds.), Health and cross-cultural psychology: Towards applications (pp.207-236). Newbury Park, CA: Sage.
  32. Colaizzi(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In: Valle, R.S.King, M.(ed),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33. Duvall, E.M.(1974). Marriage and Family Development. J. B. Lippincott, P. 69-87.
  34. LA타임즈(2006). 한국 농촌의 국제결혼 실태. (9.21일, 1면과 10면).
  35. Lincoln, Y. S., & E. A. Guba(1985). Natuealistic inquiry. Bcvcrly Hills, CA: Sage.
  36. Strauss, A.,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Cited by

  1. 다문화가정 남편의 부부갈등에 대한 질적연구 - 결정적 사건, 전개 및 대처를 중심으로 - vol.22, pp.2, 2013, https://doi.org/10.12653/jecd.2015.22.2.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