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Vision-sharing, Communication, Management Competences and Performance of Agricultural Product Unit in Rural Village Level

마을단위 농업경영체의 비전공유, 의사결정과정, 실무경영역량과 경영성과와의 관계

  • Park, Un Sun (Technology & Farm Management Division, Technology Cooperation Burea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Park, Joo Sub (Technology & Farm Management Division, Technology Cooperation Burea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Jo, Hyung Rae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achon Univ.) ;
  • Lee, Sang Young (Technology & Farm Management Division, Technology Cooperation Burea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박운선 (농촌진흥청 기술경영과) ;
  • 박주섭 (농촌진흥청 기술경영과) ;
  • 조형래 (가천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과) ;
  • 이상영 (농촌진흥청 기술경영과)
  • Received : 2012.12.15
  • Accepted : 2013.03.14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vision-sharing practices, actual management capabilities and marketing competence for management which are supposed to be associated with the performance of village-based agricultural production sector. For this, vast literatures related to this issu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and which were used to establishment of research model. And then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along the research model, survey were implemented using the questionnaire. In survey both of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ere used to obtain proper opinion. Total of 51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and used to empirical analysis. The correlation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agricultural production unit and performanc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overall, factors related to the vision-sharing or communication are not so important or even negative effects on the performance (2) in overall, factors of management competences are relatively associated with the performances positively (3) in overall, general management capabilities like planning or analyzing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4)significant factors which were related to the positive effects on the performances were alternatives considering risk of depreciation, securing stable customers, retention of professional personnels.

본 연구에서는 마을단위 농업경영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단위 농업경영체의 경영개선방안 기초 연구로서 마을단위 농업경영체의 개념정리 농업경영체의 구축과 지속적 운영을 위해 경영성과요소를 조사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로 행정구역상의 마을단위로 한정짓기보다는 마을이라는 개념을 넓게 보기위한 상징적인 개념으로 영농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농업인이 면 군 단위로 또는 수평적으로 활동하는 확장된 범위에서의 농업경영체를 의미한다. 이를 토대로 실제 마을을 움직이고 있는 핵심농이 벤치마킹할 수 있으며 현재 운영하고 있는 예비사회적 기업, 농어촌공동체회사, 색깔있는 마을 중에서 표본을 추출하고 140개소에 현장방문 및 우편, 전화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설문에 참여한 경영체 51개소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인적인프라, 문화유산관리, 공동체유대감, 공동체커뮤니케이션, 의사결정과정 및 갈등관리역량보다는 경영역량, 생산역량, 마케팅역량, 경쟁역량이 경영성과(매출액)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참고하여 마을 단위 농업경영체들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실무적인 차원에서 농업경영체를 운영하는 주체들에게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사균. (2005). 우수농업경영체 발굴육성 전략의 발전적 제언. 12(2) 한국농촌지도학회지, 243∼255
  2. 김재현, 정수정, 태유리, 장주연, & 김성진. (2010). 농촌 마을단위 지속가능성 지표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17(2) 한국농촌관광연구, 1-25
  3. 김창길. (2008). 유기농업 실천농가의 경영성과분석. 한국유기농업학회 2008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25-40
  4. 김충실, & 손교영. (1999). 사과 환경농업의 경영성과분석. 한국유기농업학회지, 37-48
  5. 김태곤, 정기환, & 송미령. (2006). 농촌의 내발적 지역활성화에 관한 한.일간 비 교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김태곤, 정기환, 송미령, & 허주녕. (2007). 농촌의 내발적 지역활성화에 관한 한. 일간 비교연구(3/3차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김태곤, 박문호, 김경덕, 김용력, 허주녕, 김정승, & 임지은. (2011). 커뮤니티 비즈니스 중장기 육성방안(1/3차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김철규, 김태헌, 김홍주, 윤수종, 박민선, 송정기, 이해진, 박대식, 김종덕, 허미영, & 윤병선. (2011). 새로운 농촌사회학, 집문당, 110
  9. 농림수산식품부. (2009). 고소득 농업경영체 성공요인 분석 및 정책대안 연구.
  10. 농촌진흥청. (2005) 벤치마킹을 위한 경영자능력 평가기법 연구
  11. 농촌진흥청. (2011). 경영성과분석.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기술경영과 08
  12. 농촌진흥청. (2007) 농업경영 비즈니스 성공조건 II, 94-159
  13. 박문호, & 김정승. (2011). 지연성 농업경영체의 경영실태와 성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4. 성진근. (2011). 새농업경영론 글로벌시대의 활로. 도서출판 해남, 169-218
  15. 우진기. (1999). 농촌지역 마을가기 관행의 구조와 기능. 국립중앙박물관
  16. 유찬주, 황진수, & 장동헌. (2008). 농업경영자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수도작 농가의 사례. 산업경제연구 21(4), 1809-1824
  17. 이상용, 유정규, 김태연, & 채영길. (2007). 지역농업경영체의 유형별 경영모형 개발. 농촌진흥청 농업경영정보관실
  18. 정양헌, & 이충섭. (2006). 농업법인의 환경특성과 정부지원이 균형성과에 미치는 영향. 11(2), 대한회계학회, 75-92
  19. 황의식, & 정호근. (2008). 농업경영체의 조직화 효과와 활성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 황영모. (2011). 농업.농촌 6차 산업화의 이해와 사례-일본의 논의와 전북의 사례를 중심으로-충남농어업 6차산업화 포럼 발표자료

Cited by

  1. Analysis on effects of Community Business' Success Factor and Support Factor on Goals in 5 West Sea Islands vol.16, pp.3, 2014, https://doi.org/10.17663/JWR.2014.16.3.293
  2.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 도입 이후 농업법인의 부채비율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축산업 농업법인을 중심으로- vol.18, pp.2,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7.18.2.600
  3. Analysis of components and shared value content of the vision of lifelong education in local government vol.28, pp.3, 2013, https://doi.org/10.21024/pnuedi.28.3.201809.431
  4. 농업경영체의 내부마케팅요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SNS 활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vol.15, pp.5, 2013, https://doi.org/10.16972/apjbve.15.5.202010.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