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Analysis of the Value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Management

노인복지시설의 경영가치 추정 분석

  • Kim, Keum Hwan (Dept. of Social Welfare, Seoul Social Welfare Graduate University) ;
  • Pak, Ae Kyung (Dept. of Social Welfare, Seoul Social Welfare Graduate University) ;
  • Joe, Soon Joem (Dept. of Social Welfare, Seoul Social Welfare Graduate University)
  • 김금환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박애경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조순점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3.02.23
  • Accepted : 2013.03.23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The social welfare service is expanding to different field as the social welfare budget is increasing. By this opportunity, it needs to make clear of the basis of argument that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korean government's support and aid by social policy should be worked. Welfare economics perspective, this study used by the operating expenditure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old people to effect social benefits to be gained, in other words, business value analysis. Local elderly people, provid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family welfare services offered to attainment of the elderly welfare policy, and provide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opportunities,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life, including a wide range of impact will cause. In this study, elderly people use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hen they get the benefits by applying the AHP analysis techniques operating value was calculated. Elderly Welfare Center operated by the result of applying P senior welfare center Case of the metropolitan area value was estimated 248.4 billion won. Contribute to the effects caused by the cost factor of the analysis was 23.1% of the total 57.3 billion won. Independence elements 57.6 billion (23.2%), the analysis of the therapeutic elements 133.4 billion (53.7%) of the net was. The result of the study anticipates the role of basic research material for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support, and aid by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field at this point in time where the welfare budget policy in terms of universal social service is reinforced, rather than the trend, until recently, of realizing the Elderly welfare budget and service as Consumption expenditure and consumable benefits and the function of performing the effect and evaluation in tentative action of social conflict.

사회복지관련 예산의 급격한 증가가 함께 사회복지관련 사업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회복지정책을 수행하는 정부 및 지자체에 의한 지원과 보조사업 추진의 당위성 및 논거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는 후생경제학 입장에서 노인복지시설 운영지출에 의해 이용노인들이 얻게 되는 효과인 사회적 편익, 즉 경영가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노인복지정책의 달성을 위해 제공되는 복지서비스를 통해 지역 노인들은 가족들의 경제활동 참여기회 제공, 질환 예방 및 건강증진 기회제공, 삶의 만족감 제고 등의 다양한 영향을 발생시키게 되며,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시설 이용시 노인들이 얻게 되는 편익을 AHP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운영가치를 산출하였다. 수도권지역 P노인복지관의 사례를 적용한 결과 노인복지관 운영에 의한 이용가치는 248.4억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이 중에서 비용요소에 의해 발생하는 기여효과는 전체의 23.1%인 57.3억원으로 분석되었으며, 자립요소 57.6억원(23.2%), 치료요소 133.4억원(53.7%)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노인복지예산 및 서비스를 소비지출 및 소모성 혜택 정도로 인식하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사회적 논란 야기 및 재정압박요인으로 작용하는 현 시점에서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개입 지원 보조의 당위성 논의의 타당성은 결국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뒷받침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또한 복지예산은 소멸성 지출이 아니며 우리나라 사회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파생시키는 중요한 산업임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 연구를 통해 정책적 지원 및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