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자존감 DAP 인물화 검사 개발 및 디지털화 측정 시스템 방향성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new self-esteem measurement test adopting DAP and drafting the direction of digitalizing measurement program of DAP

  • 우성주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
  • 박종욱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
  • 투고 : 2010.06.30
  • 심사 : 2013.05.02
  • 발행 : 2013.05.31

초록

본 연구는 DAP(Draw A Person)를 적용한 청소년 자존감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고, 디지털화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려는 데에 목적을 둔다. 자존감 측정에 있어서 대량 측정 방식에서는 놓치기 쉬운 개인의 내면적 상황 등을 반영하는 DAP 측정방식을 활용하여 효율성을 높이려는 의도이다. 또한 DAP 테스트가 가진 주관적 평가기준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Handler의 불안지수(anxiety index)에 의해 수치화된 인물화의 배점을 기준으로 디지털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년 6월 30일부터 10월 31일까지 4개월 동안 중학교 2학년 학생 73명(남: 28명, 여: 45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청소년 자존감 진단프로그램을 통해 얻었던 효과를 극대화하고, 더불어 정량적 데이터를 얻기 위해 DAP(Draw A Person)검사의 디지털화 측정시스템을 개발하고자 총 4단계를 걸쳐 실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피실험자 73명 전원에게 자아가치관검사를 실시한 후, 자존감이 높은 그룹 36명과 낮은 그룹 37명을 선별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위 두 그룹에게 MMPI검사를 통한 D(우울성), Pd(반사회성), Sc(분열성)항목의 검사결과를 기준으로 다시 자존감이 높은 그룹 7명과 자존감이 낮은 그룹 13명을 선별하였고, 세 번째 단계에는 최종 그룹 20명에게 DAP검사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검사들은 청소년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실시한 것으로, 세 검사에서 서로 유사한 성격을 갖는 평가척도를 기준으로 자존감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디지털화 측정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성의 타당 정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자존감이 높은 학생 2명과 낮은 학생 2명의 DAP검사를 샘플로 하여 추출된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기존 진단 프로그램이 가진 한계점을 개선할 수 있는지를 진단검사의 상호신뢰성 비교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네 번째 단계에서는 정량적 방식의 접근성을 높이고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화 방법으로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 자존감 심리측정 검사결과에서 광범위하게 표현되었던 평가척도보다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평가척도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DAP검사의 디지털화 측정프로그램은 앞 단계의 검사와 진단을 바탕으로 진행시켜 신뢰성을 높였다.

This is to develop a new way of testing self-esteem by adopting DAP(Draw a Person) test and to make a platform to digitalize it for young people in the adolescent stage. This approach is to get high effectiveness of the self-esteem measurement using DAP test, including some personal inner situations which can be easily missed in the large statistical analysis. The other objective of this study is digitalize to recover limits of DAP test in the subjective rating standard. It i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the figure drawing expressed numerically by the anxiety index of Handler. For these two examinations, we made experiment through 4 stages with second grade middle school 73 students from July 30th to October 31th in 2009 during 4 months. Firstly, we executed 'Self Values Test' for all 73 people,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one is high self-esteem group of 36 people, the other is low self-esteem group of 37 people. Secondly, we regrouped them following D (Depression), Pd (Psychopathic Deviate), Sc (Schizophrenia) scales of MMPI; one is high self-esteem group of 7 people, the other is low self-esteem group of 13 people. Thirdly, we conducted DAP test separately for these 20 people. We intended to verify necessity and appropriateness of direction of 'Digitalizing Measurement System' by comparing and analyzing relation between DAP and Self-esteem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which has similarity in 3 tests, after executing DAP to reflect peculiarity of adolescents sufficiently. W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 abstracted by sampling DAP test of two groups; One is high self-esteem group of 2 people, the other is low self-esteem group of 2 people; to confirm whether we can improve limitation that original psychological testing has by comparing mutual reliance of measurement test. Finally, with DAP test gained from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melancholia following as above-mentioned steps, we discovered possibility of realization to get a concrete and individual criteria of evaluation based on Expert System as a way of enhancing accessibility in quantitative manner. 'Digitalizing Measurement Program' of DAP test suggested in this study promote results' reliability based on existing tests and measure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