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hemes to incorporate key competencies for the gifted in the middle school math teaching

핵심역량에 기초한 중학교 수학 수업 방안 탐색 -수학 영재 수업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2.12.18
  • Accepted : 2013.03.12
  • Published : 2013.05.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chemes to apply key competencies to middle school math teaching. Key competencies (KCs, hereafter), however, have been discussed only at the national-level general curriculum. Through the survey with mathematics educators, we selected key competencies that can be better developed through mathematics subject. We investigate ways to apply key competencies into math teaching and learning with the math-talented students who usually lack interpersonal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Along with KC goals, we selected graphs (or graphing skills in math contents) as learning goals, and we designed and implemented competency-based instruction for the gif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of math teaching and learning, we identified students'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We also identified students' skill development in other key competencies such as creativity, problem solving,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etc., which can be developed through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is study, we found out that key competencies can be developed through mathematics teaching and we need in-depth studies on this matter.

본 연구는 기존에 교육과정 총론 수준에서 논의되고 있던 핵심역량을 수학 교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창의성이나 문제해결력과 관련된 수학적 능력은 뛰어나지만 대인관계 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부족할 수 있는 수학 영재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역량이 신장되어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그래프를 내용 목표로 선정하고, 대인관계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역량 목표로 설정하여 이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역량 기반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수업 참여 관찰을 통해 수학 영재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서 대인관계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신장되는 것을 확인 수 있었으며, 그 이외의 역량들이 복합적으로 함께 신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역량 목표가 수학 수업에서도 달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앞으로 이에 대한 좀 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NCTM(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er.
  2. OECD(2003). Education at a Glance: OECD.
  3. OECD(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necies: Executive Summary. DeSeCo Project. OECD.
  4. 곽영순(2012).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 탐색.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미래 국가 교육과정 탐색 워크숍 . 연구자료 ,ORM 2012-79.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1-361호[별책8].
  6. 김지원, 송상헌(2004). 한 수학영재학생의 수학적 사고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4(1), 89-110.
  7. 박상표(2008). 영재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사회적응력 수준 비교연구.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8. 신수현(2012). 수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 관대학교.
  9. 신준식(2011). 핀란드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4(3), 225-236.
  10. 신효선(2011). 초등 영재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개발 . 석사학위논문. 교원대학교.
  11. 윤현진, 김영준, 이광우, 전제철(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교육과정 비전 연구(I) -핵심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1.
  12. 이광우, 민용성, 전제철, 김미영, 김혜진(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교육과정 비전 연구(II) -핵심역량 영역별 하위 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8-7-1.
  13.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김문숙(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총괄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10-1.
  14. 이흔정(2010).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 탐색. 교육종합연구, 8(3), 151-171.
  15. 조은문, 이종연(2009). 중학생 영재와 평재 간 대인관계와 공감의 차이및상관연구. 상담학연구, 10(2), 1149-1164.
  16. 최승현, 곽영순, 노은희(2011).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 및 교사교육 방안 연구: 중학교 국어, 수학,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연구보고 RRI 2011-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7. 최승현, 황혜정(2012).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수학 수업 사례 고찰-한국 내 프랑스 외국인 학교를 중심으로. 한 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1), 81-108.
  18.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탐색을 위한 세미나 -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은 무엇인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8-16.

Cited by

  1. 초등 영재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학 수업 사례 분석 vol.19, pp.2, 2013, https://doi.org/10.7468/jksmec.2016.19.2.143
  2. The Results of Delphi Method Looking for Factors that Can Affect the Manifestation Process of Group Creativity and Designing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to Enhance Group Creativity amon vol.21, pp.1, 2017, https://doi.org/10.24231/rici.2017.21.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