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Study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Common Students i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 비교

  • Lee, Jung Hwa (Daegu Songil Elementary School) ;
  • Ryu, Sung Rim (Department of Mathematic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12.11.05
  • Accepted : 2013.02.26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Reflecting the recent trends and needs of gifted education,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and analyze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common students i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er, and provide assistance for career education for both the groups. The subjects include 237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221 common students in D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turned out to have higher self-efficacy than common student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1 in the three self-efficacy subfactors, namely 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The findings indicate that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have much confidence in themselves and strong faith in themselves, thus forming a habit of preferring a relatively high-level task by taking self-management and task difficulty into proper consideration. Second,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showed higher overall career attitude maturity than common stud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1 in decisiveness and preparedness between the two groups and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in assertivenes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posefulness and independence between the two groups. Final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1 between all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thos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in all the subjects except for self-regulated efficacy and purposefulness, between which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or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an common students. Given tho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tak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common students into account when organizing and running a curriculum. The findings confirm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tudents with various experiences fit for them and point to a need for helping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maintain a high level of self-efficacy and guiding them through career education with more appropriate career attitude maturity improvement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수학영재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을 비교분석 함으로써 초등수학영재의 특성을 이해하며,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교육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 소재의 대학영재교육원, 교육청 영재교육원, 초등학교 영재학급의 초등수학영재 237명(5학년 98명, 6학년 139명)과 D광역시 소재의 영재교육 대상학생, 특수아를 제외한 일반학생 221명(5학년 92명, 6학년 129명)이다. 연구 결과 초등수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초등수학영재가 자기 자신에 대한 자신감이 크고, 스스로에 대한 신념이 강하며, 그로 인해 자기 관리 및 과제의 난이도를 적절히 배려하여 비교적 높은 수준의 과제를 선호하는 등의 습관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초등수학영재의 전체적인 진로태도성숙이 일반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하위요인 중 결정성, 준비성에서는 p< .01 수준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확신성에서는 p< .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 모두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태도성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수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은 물론 일반교육과정에서도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광선(2004). 진로인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태도와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곽준규․구만호(2000).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자아개념 및 내외통제성의 관계.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37-152.
  3. 김미숙․윤초희․조석희(2005). 우리나라 중학생 영재의 지적 정의적 특성. 아시아교육연구지, 6(3), 25-58.
  4. 김민정․류성림(2007). 수학영재의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0(1), 41-56.
  5. 김아영․차정은(1996). 자기효능감의 측정. 산업 및 조직 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6. 김은영(2010). 초등 수학영재의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은영(2010). 경기도 일반계 고등학교 지역공동 영재학급의 운영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재호(2006). 초등학생의 가족체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재호․정철영(2006). 초등학생의 가족체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9(4), 119-137.
  10. 김충기(2000).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서울: 동문사.
  11. 김현옥(1989). 청소년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2. 김홍원․김명숙․송상헌(1996).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 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3. 김희진(2001).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기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평택대학교 사회과학연구, 5, 369-393.
  14. 노성환(2003).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문승태(2003).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과 심리적 변인간의 인과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백남근(2002).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손지희(2009). 몰입경험의 교육적 가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송상헌(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안범진(2011). 초등 영재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양정숙(2004).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윤영수(2006). 중학교 영재교육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성숙도 비교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기학(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 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이목화(2003).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의 경력유용성과 집단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유리(2010). 수학과학 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상위인지전략 및 몰입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비교.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은주(2001).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5(3), 199-216.
  26. 이창호․주영아․권해수․안현의(2002). 청소년 수월성 촉진 프로그램 기초 연구: 플로우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7. 이태정(2003). 몰입 경험이 진로 태도 성숙 및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8. 이희영(2003). 진로성숙과 상담: 이론 연구 및 적용. 서울: 학지사.
  29. 정자영(2009).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지용근(2004). 성역할정체감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진로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71-88.
  31. 최은희(2007).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정은(2011). 중학교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효능감 비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형윤주(2005).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황용석(1998). 웹 이용과정에서 플로우(flow) 형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 연구-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델의 구축.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6. Delisle, J., & Squires, S. (1989). Career development for gifted and talented youth: Position statement Division on Career Development(DCD) and The Association for Gifted(TAG).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3(1), 97-104. https://doi.org/10.1177/016235328901300108
  37. House, P. A. (1987).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K-1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8. Kerr, B. A., & Erb, C. (1991). Career counseling with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Effects of a value-based interven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 309-314. https://doi.org/10.1037/0022-0167.38.3.309
  39.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The Univ. of Chicago Press.
  40. Schunk, D. H. (1982). Effect of effort attributional feedback on children's perceived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3(1).
  41. Super, D. E. (1955). The dimension and measurements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57.

Cited by

  1.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진로 선택 시기와 특성 분석 vol.26, pp.4, 2013, https://doi.org/10.9722/jgte.2016.26.4.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