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cope and the task of ontology: Quine's ontological commitment

존재론의 범위와 책무: 콰인의 존재론적 개입

  • Park, Joonho (Department of Philosoph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박준호 (전북대학교 철학과, 전북대학교 인문연구원, 전북대학교 비판적사고와논술연구소)
  • Received : 2013.04.22
  • Accepted : 2013.06.05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Quinean "ontology" mislead us because it has been used ambiguously even in his single article. It can mean what there is, ie. ontological states of affairs, on what there is, ie. a study of them, or on on what there is, ie. meta-ontology. So it is natural to be confused when we try to fully understand what does Quine do by talking about ontological commitment and criterion of it. We will discriminate these ontologies, and clarity the scope and the task of ontology as a discipline. Ontology is on what there is, meta-ontology is a study on ontology. Ontological commitment is a kind of ontological assertion within ontology, the criter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is located in meta-ontological level. As a result of this clarification, we can remove some obstacles to get a good grip on Quinean criter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Also, we are able to recognize ontological descent, the way by which Quinean substantive ontology proceed.

본고에서는 콰인의 존재론적 기획의 윤곽을 보이고자 했다. 이 기획의 핵심에는 존재론적 개입의 기준이 있다. 그의 존재론적 개입의 기준에 관한 논의는 20세기 영미 철학계에서 존재론 탐구의 기준과 방법에 방향을 제시할 정도로 큰 영향을 주었으나, 다른 한편으로 더 큰 궁금증을 유발한다. 이 기준을 제시할 때 그는 진정으로 존재론에 종사한 것인가? 이런 의문에 답하기 위해서 본고에서는 존재론이 철학의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여러 층위를 갖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켜, 콰인의 논의가 어떤 성격을 갖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를테면, 존재론적 개입의 적절한 기준을 찾아나가는 일은 상위 존재론에 속하는 작업이며, 실질 존재론인 이런 기준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전자를 위해서는 의미론적 상승이 필요하며, 후자를 위해서는 존재론적 하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런 논의의 결과, 콰인의 존재론 관련 논의에 대한 몇 가지 사소하거나 중요한 오해도 제거될 수 있다. 존재론적 개입이 진리조건을 요구한다는 오해가 가장 심각하지만, 이 오해를 통해 성공한 존재론적 개입의 조건이 분명해질 것이다. 이런 해명이 진행되면서, 더 일반적으로는 존재론의 범위와 책무도 자연스럽게 드러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