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 Kripke's Theory of Truth Avoid the Revenge Problem?

크립케의 진리론은 복수의 문제를피할 수 있는가?

  • 송하석 (아주대학교 기초교육대학)
  • Received : 2013.07.24
  • Accepted : 2013.09.16
  • Published : 2013.10.30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question whether the para-completeness theory of Kripkian style can avoid the revenge problem. According to the para-completeness theory, there are some sentences that are neither true nor false. And the liar sentence is the exemplar of such sentences. But the para-completeness theory has been criticised to give rise to the revenge problem, since Kripke suggested his theory. Maudlin argues that he can construct the para-completeness theory which avoids the problem by appealing to his foundationalist semantics. The aim of this paper shows that the para-completeness theory, including Maudlin's, cannot avoid the problem. Furthermore, it is argued that Maudlin's view is ad hoc suggestion just to avoid the problem.

이 논문은 크립케 스타일의 초완전성 견해가 거짓말쟁이 역설을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는지를 다룬다. 초완전성 견해에 따르면, 참도 거짓도 아닌 문장이 있고, 거짓말쟁이 문장이 바로 그런 문장이다. 크립케의 초완전성 견해는 복수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는데, 최근 모들린은 토대론적 의미론을 통해서 복수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초완전성 견해를 제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글의 목적은 모들린의 견해를 포함해서 초완전성 견해는 복수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진리와 관한 일상적인 직관과 부합되지 않음을 논증하고, 모들린의 견해는 복수의 문제를 피하기 위한 단순한 미봉적 제안일 뿐임을 주장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