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dentity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Involved in Teacher Communities: Based on the Theory of "Community of Practice"

과학교사들의 교사모임에의 참여 경험과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탐색 -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3.01.01
  • Accepted : 2013.03.28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e premise of the study is that teacher communities or teacher interest groups are one of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Communities of Practice (CoP) formed by teachers who engage in the process of collective learning regarding science teaching. Based on the theory of CoP, we investigated and interpreted the process of identity development of six science teachers who have been actively involved in teacher communities. We conducted 2-3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in order to explore their narratives and personal experiences of being involved in the communities over the years. Results indicated that a teacher community is a place where the teachers not only generated and shared repertories of ideas, documents on teaching and learning, or routines (i.e. practices), but also formulated a set of relationships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Teacher communities actively provide the teachers a sense of joint enterprise and identity, and where the teachers have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mselves personally and professionally as science teachers playing major roles in their communities.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사모임을 실천공동체의 한 형태로 보고, 과학교사모임에서 주요 활동을 하고 있는 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교사모임 참여 경험과 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참여 교사들의 내러티브를 탐색하기 위해 참여 교사들과 2-3회에 걸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그들의 참여 경험을 Lave와 Wenger의 실천공동체 이론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교사들은 교사모임이라는 실천공동체에 참여함으로 인해 동료들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같은 목적을 공유하고 실천을 구성해나갔다. 이런 과정에서 그들은 공동체 속에의 몰입을 경험하며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본인의 잠재된 능력을 발휘하고 지식을 구축해 나갔다. 참여 교사들은 교사모임에서 자신이 체득한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해 단순히 이야기 하는 것을 넘어, 자료집을 개발하거나 연수를 실시하는 등 지식과 경험을 객체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교사모임의 정체성을 더욱 뚜렷하게 할 뿐만 아니라 모임에 참여하는 교사들이 다양한 형태의 궤적을 그리면서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도록 도왔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교육에 대한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 김주훈 (2003).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중등 과학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144-154.
  2. 김도헌 (2003). 웹기반형 교수설계자 전문성 개발을위한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형성방안. 한국교육공학회, 19(3), 199-229.
  3. 김도헌 (2008). 교사들의 지식공유 및 전문성 향상을위한 네트워크 기반 실천공동체의 발달과정: 인디스쿨 사례연구. 교육공학연구, 24(2), 1-30.
  4. 박인옥 (2007). 연구논문 : 중등의 단위학교 사회교과모임 운영에 관한 실태 조사. 시민교육연구, 39(1), 47-78.
  5. 서경혜 (2009).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6. 송경오, 최진영 (2010). 초∙중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측정모형 및 수준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1),179-201.
  7. 심재호 (2006) 과학교사 전문성과 실험 연수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1), 27-37.
  8. 한송희, 백성혜 (2005). 과학교사모임의 형성과정, 활동목적, 연계 형태의 특징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801-810
  9. Danielson, C. (2006). Teacher leadership that strengthens professional practice.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0. DuFour, R. (2005). What is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R. DuFour, R. Eaker, & R. DuFour (Eds.), On common ground (pp. 31 43). Bloomington, IN: Solution Tree.
  11.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Lumpe, A. T. (2007). Research-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s engaged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8, 125-128. https://doi.org/10.1007/s10972-006-9018-3
  13. Reeves, D. B. (2006). The learning leader: How to focus on school improvement for better results.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4.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Wenger, E., & Snyder, W. (2000). Communities of practice: The organizational frontier. Harvard Business Review, 78, 139-145.
  16. Wenger, E., McDermott, R. A., Snyder, W., & NetLibrary, I. (2002). Cultiv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Boston, Mas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7. Westheimer, J. (2008). Learning among colleagues: Teacher community and the shared enterprise of education. In S. F.-N. Marilyn Cochran-Smith, D. John McIntyre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Enduring questions in changing contexts (3rd Ed) (pp. 756-783). New York, NY: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and the Association of Teacher Educators.
  18. Witz, K. (2006). The participant as ally and essentialist portraiture. Qualitative Inquiry, 12, 246-268. https://doi.org/10.1177/1077800405284365
  19. Witz, K. (2007)." Awakening to"an aspect in the other: On developing insights and concepts in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Inquiry, 13, 235-258. https://doi.org/10.1177/1077800406295634

Cited by

  1. Analysis on the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Community of Practice' in Korea - Focused on Implications for Stud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vol.33, pp.3,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3.464
  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Analysis of Science Classroom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of Practice' vol.35, pp.1,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1.0131
  3. 교사들의 아이디어 융합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역지대의 진화과정 탐색: 자율적 학습공동체'STEAM 교사 연구회' 사례연구 vol.33, pp.5,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1055
  4. 초등 과학 교사들의 교사 공동체 내에서의 학습의 특징과 인식적 믿음의 변화 vol.33, pp.4,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4.683
  5. A Study of Teacher Identity Formation of Preliminary Christian Religion Teacher vol.46, pp.None, 2013, https://doi.org/10.35271/cticen.2015..46.333
  6. 초등 4학년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포부와 과학 정체성 관계의 변화 vol.35, pp.5,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5.0841
  7. '모두를 위한 과학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과학 학습 정체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 연구 동향 분석 vol.38, pp.2,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2.187
  8. SSI 교사모임의 특성과 교사 전문성 발달과의 관련성에 관한 사례연구 vol.38, pp.3,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3.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