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온라인 거래 환경에서의 상품 만족에 관한 이해

Understanding Product Satisfaction in the Context of Online Trading

  • 투고 : 2013.03.19
  • 심사 : 2013.04.10
  • 발행 : 2013.05.28

초록

최근 온라인 구매 환경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가운데 지속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구매자들의 만족에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거래 환경 사용자들의 만족을 설명하고,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성공요인을 검증한다. 기술수용모형에 근거하여 기초적인 변수들을 선별하고, 구매자의 성향을 대표할 수 있는 변수들을 선택하였다. 연구 변수로 상품 만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후회, 효용 극대 성향을 도입하였다. 온라인 구매 정보기술을 사용해 본 150명의 데이터가 PLS 연구 모형에 의해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후회는 상품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효용 극대 성향 역시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후회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Recently, online environment is actively used so it will be need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for continuous success.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users' satisfaction of online purchasing IT and verify them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We select basic variables from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add specific variables from former research about user's trait. We chose satisfaction, perceived easiness, perceived usefulness, regret and maximizing tendency. Data collected from 150 user who had prior experiences with online purchasing IT were empirically tested against the research model using partial least square (PLS). The results show that perceived easiness, perceived usefulness and regret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atisfaction and maximizing tendency has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easiness, perceived usefulness and regret significantly.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장석, 조중환, 정석원, "인터넷쇼핑몰 PB 상품이 온라인 소비자의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제12권, 제3호, pp.49-68, 2011.
  2. 최철재, "인터넷쇼핑몰 사이트 환경과 재구매의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357-36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357
  3. 이진원, "전자상거래 1000조 시대 B2C, B2B, B2G 지속적 성장세", 한국경제매거진, 제849호, 2012.
  4. 강유리, 박철, "온라인 Social Shopping 사이트 이 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20, 2011.
  5. 박윤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요인간 구조적 관계: 기술수용모델(TAM)과 플로우(Flow)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1권, 제1호, pp.247-272, 2012.
  6. 전상택, 이형주, "인터넷쇼핑몰에서 서비스품질 및 쇼핑흥미도와 충동구매 간에 소비감정의 매개 역할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2권, 제2호, pp.205-230, 2012.
  7. 서건수, "인터넷 쇼핑 사이트의 사용성 및 신뢰성과 고객 충성도간의 관계에서 인터넷 쇼핑 관여도의 조절효과",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7권, 제3호, pp.1-29, 2008.
  8. 황윤용, 최수아, "소비자 구매충성도에 대한 불평 행도의 구조와 결정요인", 한국비즈니스리뷰, 제1권, 제2호, pp.135-156, 2008.
  9.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10. F. D. Davis,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 characteristics, user perceptions and behavioral impacts," International Journal of Man-Machine Studies, Vol.38, No.3, pp.475-487, 1993. https://doi.org/10.1006/imms.1993.1022
  11. B. Schwartz, A. Ward, J. Monterosso, S. Lyubomirsky, K. White, and D. R. Lehman, "Maximizing versus satisficing: happiness is a matter of choi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3, No.5, pp.1178-1197, 2002. https://doi.org/10.1037/0022-3514.83.5.1178
  12. 조현, "SNS에 대한 인지요인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1권, 제3호, pp.227-240, 2012. https://doi.org/10.9716/KITS.2012.11.3.227
  13. 조현, 김성희, 이석기, "EDI 정보 시스템의 성공모형 도출: 의료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2권, 제2호, pp.323-333, 2011.
  14. 조현, 남달우, 김성희,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 연구, 제12권, 제3호, pp.251-268, 2011.
  15. 조현, 이석기, "기술 수용 및 시스템 성공 모형 관점에서의 스마트폰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5호, pp.169-175, 2012년.
  16. D. W. Rook and R. J. Fisher, "Normative Influences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2, No.3, pp.305-313, 1995. https://doi.org/10.1086/209452
  17. C. Huffman and B. E. Kahn, "Variety for sale: mass customization or mass confusion?," Journal of Retailing, Vol.74, No.4, pp.491-513, 1998. https://doi.org/10.1016/S0022-4359(99)80105-5
  18. W. W. Chin,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London, Lawrence Erlbaum, pp.295-336, 1998.
  19. C. M. Ringle, S. Wende, and A. Will, "SmartPLS 2.0 (M3)," Hamburg, Germany, University of Hamburg, 2005.
  20. W. W. Chin, A. Gopal, and W. D. Salisbury, "Advancing the theory of adaptive structuration: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faithfulness of appropria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8, No.4, pp.342-367, 1997. https://doi.org/10.1287/isre.8.4.342
  21. J. Hair, R. Anderson, and B. R.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06.
  22.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https://doi.org/10.2307/3151312
  23. D. Gefen and D. Straub, "A practical guide to factorial validity using PLS-graph: Tutorial and annotated exampl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16, No.16, pp.91-109, 2005.
  24. 김국선, 이종호, "소셜 커머스의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품질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311-321, 2012.
  25. 최현식, 박진우, "모바일관광정보서비스의 특성이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411-422, 2009.

피인용 문헌

  1. Factors Influencing Internet Consumer's Purchase Delay Behaviors : Focusing on Situational Factors and Perceived Uncertainty vol.14, pp.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407
  2. The Application Method of Machine Learning for Analyzing User Transaction Tendency in Big Data environments vol.19, pp.10, 2015, https://doi.org/10.6109/jkiice.2015.19.10.2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