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 and Cooking Methods for Suksilkwa during the Joseon Dynasty, with a focus on Euigwe and old literature

조선시대 숙실과(熟實果)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 의궤와 고문헌을 중심으로 -

  • Oh, Soon-Duk (Ohsoonduk of Food Industry Institute Co., Ltd.)
  • 오순덕 ((주)오순덕식품외식산업연구소)
  • Received : 2012.08.13
  • Accepted : 2013.03.07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and cooking methods of Suksilkwa as recorded in 14 royal palace studies and 10 old literature text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types of Suksilkwa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Joran (棗卵), Yulran (栗卵), and Gangran (薑卵). The frequency of the Suksilkwa type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order were: Gangran (35.4%), Joran (32.3%), and Yulran (32.3%). Prior to 185 years ago, "Junghae-Jungraeeuigwe (丁亥整禮儀軌)" (1827), Joran (棗卵), Yulran (栗卵), and Gangran (薑卵) were called Samsaegran (三色卵). Nearly 144 years ago, "Mujin-Jinchaneuigwe (戊辰進饌儀軌)" (1868) recalled sulsilgwa (熟實果). "Imjin-Jinchaneuigwe (壬辰進饌儀軌)" (1892) first recalled assorted-sulsilgwa (各色熟實果), in which sansabyeong were added in the sulsilgwa. "Sinchuk-Jinyeoneuigwe (辛丑進宴儀軌)" (July 1901), "Imin-Jinchaneuigwe (壬寅進饌儀軌)" (April 1902), "Imin-Jinyeoneuigwe (壬寅進宴儀軌)" (November 1902) described assorted-sulsilgwa (各色熟實果) in which ohmijabyeong were added to the sulsilgwa. Further study will be conducted on recipes and ingredients recorded in these Euigwe and old books in order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to make Suksilkwa appealing to a global palate.

Keywords

References

  1. 강인희. 1987. 한국의 맛.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서울
  2. 계유 진작의궤(癸酉 進爵儀軌), 고종 10년(1873),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3. 기축 진찬의궤(己丑 進饌儀軌), 순조 29년(1829),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4. 농촌진흥청, 2007, 농정회요(農政會要) (崔漢綺 원저, 1830년대), 농촌진흥청, 경기도
  5. 농촌진흥청, 2010, 규곤요람.음식방문.酒方文.술빚는 법.甘藷耕藏說.月餘農歌 (저자미상, 1896년), 농촌진흥청, 경기도
  6. 농촌진흥청, 2010, 규곤요람.음식방문.酒方文.술빚는법.甘藷耕藏說.月餘農歌 (저자미상, 1800년대 말엽), 농촌진흥청, 경기도
  7. 농촌진흥청, 2010, 규곤요람.음식방문.酒方文.술빚는법.甘藷耕藏說.月餘農歌 (저자미상, 1800년대 말엽), 농촌진흥청, 경기도
  8. 무신 진찬의궤(戊申 進饌儀軌), 헌종 14년(1848),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9. 무자 진작의궤(戊子 進爵儀軌), 순조 28년(1828),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0. 무진 진찬의궤(戊辰 進饌儀軌), 고종 5년(1868),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1. 민중서림편집국. 1983. 활용옥편. 민중서림. 서울
  12. 송방송.박정련. 2001. 국역 肅宗朝己亥進宴儀軌(숙종조기해진연의궤). 민속원. 서울
  13. 신축 진연의궤(辛丑 進宴儀軌), 대한제국 고종 5년(1901년 7월),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4. 신축 진찬의궤(辛丑 進饌儀軌), 대한제국 고종 5년(1901년 5월),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5.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정조 20년(1795), 서울대학교 규장각
  16. 이강자.김을상.김성미.이영남.한복려.이영근.박혜원.이춘자.한복진.허채옥.김귀영.이미숙.김복남.안빈, 2003, 증보산림경제 (류중림(柳重臨) 원저, 1767년), 신광출판사, 서울
  17. 이성우,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 II-술만드는 법 (저자미상, 1700년대), 수학사, 서울
  18. 이효지.조신호.정낙원.김현숙.유애령.최영진.김은미.백숙은.원선임.김상연.차경희.백현남, 2004, 시의전서 (작자미상, 1800년대 말엽), 신광출판사, 서울
  19. 이효지.조신호.정낙원.차경희 편역, 2007, 임원십육지 (정조지) (서유구 원저, 1827년), 교문사, 경기도
  20. 임인 진찬의궤(壬寅 進饌儀軌), 대한제국 고종 6년(1902년 4월),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1. 임인 진연의궤(壬寅 進宴儀軌), 대한제국 고종 6년(1902년 11월),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2. 임진 진찬의궤(壬辰 進饌儀軌), 고종 29년(1892),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3. 윤서석. 1991. 한국의 음식용어. 민음사. 서울
  24. 윤서석.조후종. 1993. 조선시대 후기의 조리서인 음식법의 해설 I. Korean J. Dietary Culture. 8(1):79-84
  25. 윤서석.조후종. 1993. 조선시대 후기의 조리서인 음식법의 해설 II. Korean J. Dietary Culture. 8(2):159-165
  26. 장지현. 1996. 한국전래 造果(과줄)類 製造史 硏究(上). 성동문화. 서울
  27. 정량완 편역, 1975, 규합총서 (빙허각이씨 원저, 1815년경), 보진재, 서울
  28. 정축 진찬의궤(丁丑 進饌儀軌), 고종 14년(1877),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9. 정해 정례의궤(丁亥 整禮儀軌), 순조 27년(1827),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30. 정해 진찬의궤)(丁亥 進饌儀軌), 고종 24년(1887),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31. 조신호.이효지. 1992. 전과류(煎果.正果類)의 문헌적 연구-1100-1990년 문헌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연구 10. pp. 29-36
  32. 황혜성. 1986. 한국음식. 인서출판사. 서울
  33. 황혜성.한복려.한복진.서혜경. 1997. 한국음식대관(궁중의 과자와 생과). 한림출판사
  34. Lee HG, Yoon SS. 1986. An Analysis of Korean Desserts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Korean J. Dietary Culture. 1(3):197-210

Cited by

  1. A Study on the Recipe of Byung-Kwa-Ryu (Korean rice cake and cookie) in the Old Cookbooks of Jong-Ga (Head & Noble Family) vol.29, pp.1, 2014, https://doi.org/10.7318/KJFC/2014.29.1.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