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혼잡상태에 적응적인 UDT 병렬전송 기법

UDT Parallel Transfer Technologies Adaptive to Network Status In High Speed Network

  • 박종선 (전북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 컴퓨터공학과) ;
  • 조기환 (전북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투고 : 2013.09.16
  • 심사 : 2013.12.24
  • 발행 : 2013.12.30

초록

백본망의 지속적인 고속화는 충분한 가용대역폭을 제공하고 있지만 장거리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서 이를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대부분 응용들이 TCP를 사용하는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TCP는 전송메커니즘 특성상 고속네트워크에서 신속한 가용대역폭 확보가 어렵다. UDT는 응용계층 전송프로토콜로써 고속네트워크에서 용을 목표 설계된 잘 알려진 프로토콜이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혼잡상태에 적응적인 UDT 병렬전송기법에 대해 제안하고 다음 두 가지 관점에서 성능을 평가한다. 첫째, UDT Rate 혼잡제어에 따른 전송성능을 측정하고 UDT의 성능과 비교한다. 둘째, 네트워크 상태에 적응적인 UDT 병렬전송기법의 전송성능에 대해 분석한다. 실험결과 UDT Rate 혼잡제어의 경우 jitter를 30ms로 설정한 경우 RTT 100ms 구간에서 UDT에 비해 106%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또한 Rate 혼잡제어를 적용한 병렬전송의 경우 jitter를 20ms로 설정한 경우 RTT 400ms 구간에서 UDT 병렬전송에 비해 107% 성능향상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With increasing transmission speed of backbone networks, it is getting to provide enough available bandwidth. However, the bandwidth is not effectively utilized in volumetric data transfer. This mainly comes from the transmission protocol, TCP, which is used for most applications. TCP is inherently difficult to adapt the available bandwidth because of it's own characteristic of transfer mechanism. UDT is a prominent application level data transfer protocol which is targeting high speed net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UDT parallel transfer technologies which is adaptive to network status and then evaluate their performance in two points of view. Firstly, we measure data transfer rate of UDT with rate congestion control methods, and compare them with basic UDT. Secondly, we apply parallel transfer technologies adapted to network status, and measure their performanc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UDT rate congestion control method outperforms UDT with 106% improvement in RTT 100ms section set with jitter 30ms. In addition, performance of parallel transfer with rate congestion control method showed 107% improvement than that of parallel transfer in RTT 400ms section set with jitter 20m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