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alities and Practices in the UK's Community Archives Movement

영국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전개와 실천적 함의

  • 이경래 (한국국가기록연구원) ;
  • 이광석 (서울과학기술대 IT정책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학과)
  • Received : 2013.06.05
  • Accepted : 2013.07.25
  • Published : 2013.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tage of community archives movement in the UK. By doing so, it draws some implications of the UK case for the community archives movement in Korea. The UK's 'Independent' community archives as a part of grassroots movement are characterized by participation, autonomy, and self-help of community members.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the concept of 'community', the UK has experienced the revitalization period of community archives in the social context of community-bas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Recently, the UK's community archives have transformed themselves into building a 'governance model' relying on the partnership with mainstream archives. In particular, the UK model of community archives is based 'on their own ways' with their autonomy as a product of intrinsic development initiated by communities themselves. The character of the model of this type is very analogous to the nature of maul' community archives movement in Korea. Since the early 2000s, however, the UK model of community archives has been evolving into a way of building governance through their appropriation of the skills and methodologies from mainstream archives without endangering the autonomous essences of community archives themselves. We need to note the point of local researchers' view in archival science who have tried to seek out the methodology for building maul community archives with regard to openness and collaboration. In this respect, a shift in archival principle in the UK would giv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regenerating the locally based community model.

이 논문은 공동체 아카이브가 가장 활발하게 구축되고 있는 영국의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현 단계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국내 공동체 아카이브 발전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국의 '독립' 공동체 아카이브는 풀뿌리운동의 일환으로서 공동체 구성원의 아래로부터의 참여, 자율적 통제, 내적 소유권이 요체라 볼 수 있다. 영국은 역사적으로 1960년대에 등장한 공동체 개념으로 시작해 최근 도시재생프로젝트를 거치며 공동체 아카이브가 활성화되는 시기들을 지났다. 최근에는 주류 아카이브 등 공적 영역과의 파트너십에 의해 공동체 아카이브가 거버넌스(협치) 단계에 이르고 있다. 무엇보다 영국형 공동체 아카이브는, 공동체의 내재적 발전의 산물이며 자율적 통제에 기반하여 '그들만의 방식'으로 아카이브를 구축해왔다. 이러한 영국형 공동체 아카이브의 성격은 최근 국내 '마을'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과 그 기본적 성격 면에서 많이 닮아 있다. 하지만 영국형 아카이브 모델은, 주류 아카이브에 포획되거나 주도되는 방식이 아니라 공동체 아카이브의 자율성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공적 영역의 노하우를 끌어들이며 거버넌스(협치)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개방과 협업의 공동체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방법론 모색이 절실한 국내 기록학계에 영국의 최근 변화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Keywords

Cited by

  1.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vol.51,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17.51.175
  2. 1970년대 여성 노동자 아카이빙 방법론 연구 전시 <Women & Work : A Document on the Division of Labour in Industry>를 중심으로 vol.63, pp.None, 2020, https://doi.org/10.20923/kjas.2020.63.145
  3. 모두를 위한 플랫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소셜미디어 플랫폼 기반 일상 아카이브 설계 vol.66,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20.66.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