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Design Service Traffic Volume for 2+1 Roads Based on Korean Two-Lane Highway Conditions

국내 2+1차로 도로의 적정 교통량 및 계획기준 개발

  • Lee, Dong Min (Dept. of Transportation Eng., University of Seoul) ;
  • Chae, Chan Dle (Dept. of Planning and Administration,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
  • Cho, Hanseon (Dept. of Transport Safety and Highway,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
  • Lee, Suk Ki (Highway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이동민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채찬들 (한국교통연구원 기획경영본부) ;
  • 조한선 (한국교통연구원 도로정책기술연구실) ;
  • 이석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 Received : 2012.01.19
  • Accepted : 2013.01.30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wo-lane roads that occupy more than a half of rural highways in Korea have operational problems such as traffic congestion problems due to relatively high traffic volume and safety problems due to overtaking risks in two-lane highways. To solve these problems, a 2+1 road pattern that enables to improve traffic safe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of two-lane highways has been applied in Europe. In this study, in-depth applicability of 2+1 roads to Korean rural highways was investigated based on review results of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European 2+1 roads. Then, given the Korean two-lane highway conditions, the service traffic volumes for Korean 2+1 roads was estimat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17,000 veh./day might be the maximum traffic volumes for Korean 2+1 roads.

현재 지방부 도로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양방향 2차로 도로는 4차로 도로로 확장하기에는 장래 교통량이 부족하지만 양방향 2차로 도로로 계속 운영하기에는 교통량이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양방향 2차로도로의 추월행태에 따른 교통사고 위험과 사고 심각도가 높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2+1차로 도로의 도입을 검토하게 되었는데,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는 양방향 2차로 도로를 2+1차로 도로로 신설 또는 확장함으로써 예산 투자 효율화와 안전성 향상의 효과를 거둔 사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국, 독일, 스웨덴, 아일랜드, 핀란드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2+1차로 도로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국내 양방향 2차로 도로 개선방안의 하나로 도입하기 위한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도로에 2+1차로 도로를 도입하는 경우 적정 교통량 수준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2+1차로 도로의 계획기준을 개발하였다. 2+1차로 도로가 감당할 수 있는 교통량 수준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VISSIM(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국내 양방향 2차로 도로의 도로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보정한 결과 중차량 비율에 따라 7,300대/일에서 17,000대/일 정도로 분석되었다. 이는 독일 등 유럽의 2+1차로 도로에서 관측된 최대교통량에 비해 약간 작은 값이고, 아일랜드의 관측 최대교통량(17,250대/일)과 유사한 값이다.

Keywords

References

  1. Jim Brewer, John German, Ray Krammes, Kam Movassaghi, John Okamoto, Sandra Otto (2001), Geometric Design Practices for European Roads,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 Lene Herrstedt (2001), 2+1 road: Danish experiences.
  3.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8), 2008 Highway Traffic Volume.
  4.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 A Study of Developing 2+1 Road Design Guide.
  5.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 Highway Planning Guide.
  6.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 Highway Buessiness Handbook.
  7. National Roads Authority (2006), Interim Advice Note on Road Link Design for 2+1 Roads.
  8. NCHRP 275 (2003), Research Results Digest: Application of European 2+1 Roadway Design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Cited by

  1. 2 + 1 Highways: Overview and Future Directions vol.2018, pp.1687-8094, 2018, https://doi.org/10.1155/2018/2705716
  2. Driver Behavior Analyses of 2+1 Roads based on a Driving Simulation Experiment vol.23, pp.3, 2019, https://doi.org/10.1007/s12205-019-05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