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Global Textile & Fashion Market &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Firms

세계 섬유패션시장의 환경변화와 우리 기업의 과제

  • 조경숙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Received : 2012.12.30
  • Accepted : 2013.03.10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global market for Korean textile and fashion firms with regard to recent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business environment to improve the corporative management to the level that the global economy demands. The trade and business environment is moving toward the paradigm of glocalism. As the geographical scope of the market and business environment continues to expand with the ai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demands for global standards as a means to offer universal validity in business settings have been raised. The glocalized society values diversity as a notion beyond global standardization. The world trade orders are subject to free trade; however, protectionism has substantially promoted trade barriers in the name of the environment and safety issues, ethical management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global market, Korean firms should strive to implement global standards related to these issues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their business settings.

Keywords

References

  1. 서문석 (2009), 해방이후 한국 면방직산업의 수출체제 형성, 경영사학, 24(2), p. 159.
  2.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12 a), 통계로 보는 섬유산업, p. 30.
  3.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12 b), 섬유패션산업동향.
  4. 지식경제부 (2009 a), 글로벌패션시장 조사 분석 사업.
  5. 박창수 (2008), 국제경쟁력 평가 방법: CAC 방법을 통한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사례 연구, 경제교육연구, 15(1), pp. 89-110.
  6. 박훈 (2009), 한미FTA와 국내 섬유산업,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13(1), pp. 49-55.
  7. 지식경제부 (2009 b), 여성복산업 경쟁력 조사.
  8. "GATT체제에서 WTO체제로의 이행과 한미FTA", 김광수경제연구소, 자료검색일 2012. 11. 13, http://blog.naver.com/kkseri/70016988206
  9. R. L. Snyder (2009), 블루진, 세계경제를 입다, 최지향 역, 서울: 부키, p. 28.
  10. "세계무역기구출범과 무역구제제도", 무역위원회, 자료검색일 2012. 10. 1, http://www.ktc.go.kr/repage/sub_01_13.jsp?m=m13
  11. "WTO가입," 국가기록원, 자료검색일 2012. 10. 3, http://contents.archives.go.kr/next/content/listSubjectDescription.do?id=005869
  12. R. L. Snyder (2009), 블루진, 세계경제를 입다, 최지향 역, 서울: 부키, pp. 29-31.
  13. R. L. Snyder (2009), 블루진, 세계경제를 입다, 최지향 역, 서울: 부키, p. 29.
  14.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12 a), 통계로 보는 섬유산업, p. 49.
  15. R. L. Snyder (2009), 블루진, 세계경제를 입다, 최지향 역, 서울: 부키, pp. 30-31.
  16. 강인수 (2004. 4), FTA의 추진배경과 지역주의의 확산, 월간소비자, 자료검색일 2012. 12. 9, http://www.consumer.or.kr/magazine/mz_view.html?num=616
  17. 외교통상부 (2012. 3), "세계 FTA 추진현황", 자료검색일 2012. 12. 9, http://www.fta.go.kr/new/ftakorea/fta_world.asp
  18. 외교통상부 (2012. 6), "한국의 FTA 추진현황", 자료검색일 2013. 1. 4, http://www.fta.go.kr/new/ftakorea/ftakorea2010.asp
  19. 조성대 (2012. 4), 최근 통상환경 변화와 기계산업에 대한 영향, Machinery Industry, p. 40.
  20. 이은섭 외 (2012), WTO체제하의 환경과 자유무역간의 조화, 통상정보연구, 14(1), p. 265.
  21. 임종섭, 임준형 (2011), 국제무역 환경규제에 따른 국내 기업의 대응전략, 산업경제연구, 24(2), p. 824.
  22. 박성민 외 (2010), 산업전반에 걸친 환경규제 및 인증 동향, 섬유기술과 산업, 14(3), p. 160.
  23. 임종섭, 임준형 (2011), 국제무역 환경규제에 따른 국내 기업의 대응전략, 산업경제연구, 24(2), pp. 827-828.
  24. "노닐페놀 환경호로몬 검출 섬유수출 비상" (2011. 12. 19), 국제섬유신문, p. 4.
  25. 김홍관, 한상수 (2010), 섬유 및 의류제품의 국내외 강제인증 현황, 섬유기술과 산업, 14(3), pp. 128-131.
  26. 김홍관, 한상수 (2010), 섬유 및 의류제품의 국내외 강제인증 현황, 섬유기술과 산업, 14(3), pp. 129-130.
  27. 이은섭 외 (2012), WTO체제하의 환경과 자유무역간의 조화, 통상정보연구, 14(1), pp. 250-251.
  28. 김유겸, 지원하 (2011), 지속성장 가능한 패션 섬유산업의 대응방안 연구-Green 산업화, 지속가능성, 사회적 책임에 대한 실태조사-, 한국의류학회 학술발표논 문집, pp. 94-95.
  29. 김찬주, 노미경 (2009), 아메리칸 트렌디 캐주얼 스타일의 국내 확산과 모방현상, 복식, 59(2), p. 141.
  30. 송금옥, 전종찬 (2007), Comparative Study on Street Fashion Styles in Seoul and Lond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1), p. 115.
  31. 전명숙 (2009), 의류산업의 국제생산시스템 변화와 새로운 글로벌 앹티비즘, 패션정보와기술, 6, p. 17.
  32. 전명숙 (2006), 의류산업의 국제생산시스템: 거버넌스 구조 및 생산의 공간적 패턴을 중심으로, 국제노동브리프, 4(2), pp. 73-74.
  33. "경방90년사", 경방, 자료검색일 2012. 10. 30, http:// www.kyungbang.co.kr/UploadFile/5.%20부록(자료편).pdf
  34.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12 a), 통계로 보는 섬유산업, p. 56.
  35. 홍경희 외 (2010), 국내 의류업체의 해외소싱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4), p. 713.
  36. R. L. Snyder (2009), 블루진, 세계경제를 입다, 최지향 역, 서울: 부키, p. 305.
  37. 이원재 (2009), 왜 글로벌 패션의류기업은 인권경영에 나서게 되었나, 패션정보와 기술, 6, pp. 22-24.
  38. 김영신, 고혁진 (2011), 글로벌 시대 윤리경영과 기업 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 윤리교육연구, 26, pp. 234-235.
  39. 이진량 (2012), ISO 26000선정 과정의 의사소통적 타당성 분석: 국제 커뮤니케이션 관찰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학연구, 20(2), p. 48.
  40. 김창호 (2006), ISO26000 시행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 구축방안, 인적자원관리연구, 13(2), p. 59.
  41. 장세길 (2011), 노동집약적 한국기업의 초국경적 활동, 한국문화인류학, 44(1), p. 121.
  42. 홍경희 외 (2010), 해외 생산업체에 대한 국내 의류업체의 생산환경 및 근로기준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3), p. 299.
  43. 최혜선, 이은영, 김지은 (2012), 의류무역회사의 해외 생산공장 현황과 소싱지역의 한류 영향에 대한 연구, 복식, 62(4), p. 162.
  44. 장세길 (2011), 노동집약적 한국기업의 초국경적 활동, 한국문화인류학, 44(1), pp. 153-154.
  45. 전명숙 (2009), 의류산업의 국제생산시스템 변화와 새로운 글로벌 앹티비즘, 패션정보와기술, 6, p. 21.
  46. Kelly, E., & Leyden, P. (2005), What's Next? 2015, 이주형 역, 서울: 청년정신, p. 301.
  47. 이승렬 (2009), 글로컬리제이션, 세계화의 지역적 구현인가 세계화의 대안인가, 인문연구, 57, p. 54.
  48. 서갑성, 김종성 (2008),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기술무역 활성화 방안, 통상정보연구, 10(2), p. 166.
  49. 양희진 (2008), "자유무역협정과 지적재산권 강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자료검색일 2012. 12. 31, http://www.ipleft.or.kr/bbs/view.php?board=ipleft_5&id =467
  50. 서갑성, 김종성 (2008),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기술무역 활성화 방안, 통상정보연구, 10(2), pp. 166-172.
  51. Interbrands, "Best Global Brands 2012", 자료검색일 2012. 10. 31, http://www.interbrand.com/en/best-glo bal-brands/2012/Best-Global-Brands-2012.aspx
  52. 김홍기 (2008), 샤넬, 미술관에 가다, 서울: 미술문화, pp. 38-39.
  53. "푸우 90살, 생일 맞아... 현재 '6조6천억원'규모의 캐릭터" (2011. 6. 12.), 스타N news, 자료검색일 2012. 11. 16, http://star.fnnews.com/news/index.html?no= 9192
  54.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2 a), 미국 제2순회항소법원, Christian Louboutin사와 YLS사의 빨간색 구두 외부 밑창 상표권 분쟁판결, Issue & Focus on IP, 2012-39, pp. 1-2.
  55.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2 b), 미국 법무부 등, 영업 비밀 침해 협의로 Kolon사 기소 발표, Issue & Focus on IP, 2012-44, pp. 1-2.
  56. 판례번호 2007허3219.
  57. 판례번호 2007허5581.
  58. 판례번호 2007허3660.
  59. 판례번호 2009허2951.
  60. N. Klein (2010), 슈퍼 브랜드의 불편한 진실, 이은진 역, 파주: 살림Biz, pp. 55-84.

Cited by

  1. A Study of Measures for Sustainability of Ethical Fashion Social Enterprises - Focusing on Seoul - vol.66, pp.7, 2016, https://doi.org/10.7233/jksc.2016.66.7.192
  2. A decision model development for crowdsourcing in the fashion industry vol.24, pp.4, 2013, https://doi.org/10.1080/21639159.2014.949366
  3. 한국 어패럴 산업의 가치 제고를 위한 변수 요인의 통시적 연결구조 분석 -패션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vol.21, pp.2, 2013, https://doi.org/10.5762/kais.2020.21.2.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