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한글학회 (1992), 우리말 큰사전 2권, 서울: 어문각, p. 2079, p. 3239.
- 박춘순 (2004), 중국 고대 우의에 대한 사적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pp. 617-623.
-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84-190.
-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85.
- 中宗實錄, 16년(1521) 6월 19일
- 仁祖實錄, 5년(1627) 2월 12일.
- 典客司日記, 第5, 효종 2년(1651) 8월 16일.
- 박춘순 (2004), 중국 고대 우의에 대한 사적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pp. 620-621.
- 金昌業, 老稼齋燕行日記, 卷之一, 숙종 38년(1712) 11월 17일,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 金正中, 燕行錄, 燕行日記, 上伯氏書,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 申維翰, 海游錄, 附聞見雜錄,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 曹命采, 奉使日本時聞見錄, 영조 24년(1748) 5월 8일, 6월 1일,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 徐榮輔, 沈象奎(1808), 萬機要覽, 財用編五, 信使, 盤纏; 金健瑞, 增正交隣志, 卷之五, 志, 京外路需.
- 承政院日記, 숙종 36년(1710) 윤7월 25일.
- 備邊司謄錄, 숙종 45년(1719) 12월 22일.
- 日省錄, 정조 2년(1778) 윤6월 6일.
- 日省錄, 정조 17년(1793) 11월 20일.
- 徐榮輔, 沈象奎(1808), 軍政編二, 附龍虎營, 軍兵器械; 軍政編二, 附龍虎營, 軍器; 軍政編二, 訓鍊都監, 軍器; 軍政編三, 禁衛營, 軍器; 軍政編三, 摠戎廳, 軍器.
- 日省錄, 정조 8년(1784) 3월 25일.
- 正祖實錄, 19년(1795) 윤2월 22일.
- 高宗實錄, 19년(1882) 6월 10일.
- 지규식 (2007), 荷齋日記二, 이종덕 역,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p. 73.
- 本間九介(1894), 조선잡기, 최혜주 역, 파주: 김영사, p. 88.
- 신병주 (2011), 조선평전, 파주: 글항아리, p. 433.
- 민승기 (2004), 조선의 무기와 갑옷, 서울: 가람기획, pp. 415-416.
- 李德懋, 靑莊館全書, 卷之六十一, 盎葉記八, 笠弊.,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 正祖實錄, 19년(1795) 윤2월 22일.
- 井筒雅風(1983), 原色日本服飾史, 東京: 光琳社, pp. 230-231.
-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86.
- 景宗實錄, 2년(1722) 4월 20일.
- 洪大容, 湛軒書, 外集卷八, 燕記, 沿路記略,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 농촌진흥청 (2004), 고농서국역총서6 증보산림경제, 수원: 농촌진흥청, pp. 310-311.
- 온양민속박물관 (2005), 우리 민속 오백년의 모습, 아산: 온양민속박물관, p. 102.
- 송희경 (2001), 조선시대 기려도의 유형과 자연관, 미술사학보, 15, pp. 15-23.
- 顧炳(1603), 顧氏歷代名人畵譜; 顧氏畵譜第4冊.
- 한정희 (1999), 한국과 중국의 회화, 서울: 학고재, p. 230.
- 호암미술관 (1998), 조선후기국보전, 서울: 삼성문화재단, p. 35.
- 송희경 (2001), 조선시대 기려도의 유형과 자연관, 미술사학보, 15, pp. 21-22.
- 최완수 (2007), 우암(尤庵) 당시의 그림과 글씨, 澗松文華, 72, p. 118.
-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4), 澗松文華, 66, p. 41.
-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4), 澗松文華, 66, p. 143
-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5), 澗松文華, 68, p. 111.
-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89.
- 世宗實錄, 29년(1447) 윤4월20일
- 世祖實錄, 11년(1465) 2월21일
- 光海君日記, 5년(1613) 6월 13일
- 英祖實錄, 36년(1760) 7월 19일.
- 世宗實錄, 4년(1422) 3월 1일
- 世祖實錄, 3년(1457) 5월 10일
- 睿宗實錄, 1년(1469) 4월 14일
- 成宗實錄, 4년(1473) 6월 13일, 6년(1475) 8월 6일, 10년(1479) 12월 24일, 20년(1489) 9월 21일, 21년(1490) 9월 9일, 22년(1491) 8월 18일/24일/28일, 9월 4일/6일
- 燕山君 日記9년(1503) 7월 13일
- 中宗實錄, 4년(1509) 4월 29일/6월 9일, 7년(1512) 6월 17일.
- 世祖實錄, 3년(1457) 4월 23일, 5년(1459) 6월 28일, 11년(1465) 6월 1일
- 中宗實錄, 33년(1538) 4월 20일. 48) 世祖實錄, 10년(1464) 6월 6일.
- 世祖實錄, 2년(1456) 5월 21일, 3년(1457) 5월 11일/6 월 15일, 5년(1459) 3월 15일, 10년(1464) 6월 10일, 13년(1467) 9월 14일/10월 9일, 14년(1468) 4월 12일 /7월 13일
- 成宗實錄, 1년(1470) 5월 25일, 7월 7일 /18일, 7년(1476) 2월 10일, 10년(1479) 윤10월 2일 /12일, 12년(1481) 8월 3일/11일, 14년(1483) 8월 11 일/27일, 10월 2일, 25년(1494) 12월 7일.
- 世祖實錄, 9년(1463) 9월 26일.
- 世宗實錄, 2년(1420) 3월 3일
- 燕山君日記, 9년(1503) 7월 13일.
- 太宗實錄, 13년(1413) 6월 28일.
- 宣祖實錄, 36년(1603) 5월 25일/27일.
- 中宗實錄, 37년(1542) 5월 12일.
- 宣祖實錄, 36년(1603) 5월 27일.
- 世宗實錄, 14년(1432) 7월 5일
- 文宗實錄, 1년(1451) 11월 24일/25일.
- 世祖實錄, 10년(1464) 5월 17일.
- 成宗實錄, 2년(1471) 4월 27일.
- 中宗實錄, 7년(1512) 5월 10일, 37년(1542) 5월 12일.
- 世宗實錄, 27년(1445) 7월 11일
- 世祖實錄, 3년(1457) 6월 22일.
- 卞季良, 春亭集, 卷一詩, 十三- 十四, 자료검색일 2012. 9. 1, http://db.itkc.or.kr.
- 英祖實錄, 30년(1754) 8월 24일
- 高宗實錄, 31년(1894) 9월 15일.
- 備邊司謄錄, 헌종 10년 2월 17일.
- 英祖實錄, 41년(1765) 3월 25일, 43년(1767) 2월 29일 /5월 2일.
- 聶崇義, 三禮圖集注卷十八九.
- 王圻(1607), 三才圖會, 衣服三卷卅二.
- 박춘순 (2004), 중국 고대 우의에 대한 사적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pp. 618-619.
- 인병선 (1991), 풀문화, 서울: 대원사, p. 40.
-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4), 澗松文華, 66, pp. 139-140.
- 자료검색일 2012. 9. 1, http://www.museum.go.kr/program/relic/relicDetail.jsp?menuID=001005002001&relicID=1107&relicDetailID=4425
- 삼성미술관Leeum (2008), 삼성미술관 Leeum소장 고서화 제발 해설집(II), 서울: 삼성문화재단, p. 101.
Cited by
- A Study on the Traditional Korean Special Costumes in Accordance with Climatic Factors of the Korean Peninsula - Focusing on Costumes of the Commoner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 vol.66, pp.3, 2016, https://doi.org/10.7233/jksc.2016.66.3.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