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Raincoats in Joseon

조선시대 우의(雨衣) 연구

  • Park, Sun 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박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2.12.17
  • Accepted : 2013.03.10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get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raincoats in Joseon by searching through historic records: the Annals of Joseon(朝鮮王朝實錄), personal or official records, paintings, etc. The time range of the research covers the entire period of Joseon. There were two prime types of raincoats: Saui, a cyperus coat, and Yusam(油衫), an oilcloth coat. The study proceeded as follows: 1) Identifying the people who wore the coats as well as the time period, 2) Figuring out the shapes and materials of those raincoats, 3) Postulating the reasons for the upward trend in popularity of a certain type as well as the eventual downward trend. Those research efforts revealed the following: 1) In the early Joseon, from royals to commoners, people wore Saui. But as time passed valuation about Saui might have become degraded. Eventually it became regarded as a farmer's smock in the 19th Century. 2) Yusam might not have been worn in the early Joseon. It was developed and spread after the middle of 17th Century. It was for soldiers and nobles, especially travelers, but by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it was also used by commoners. 3) Saui was made of cyperus, but Yusam was made of oiled paper, cotton or silk. Those shapes were similar to a Western cloak.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findings led to following conclusions: 1) Around the middle of Joseon, people started to wear Yusam after the introduction of a Chinese version of it. 2) Yusam might have become popular in Joseon because of th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At that time, people had pride in their culture and thought that real experiences and travels were important. 3) As people became fond of Yusam more, then Saui's popularity fell.

Keywords

References

  1. 한글학회 (1992), 우리말 큰사전 2권, 서울: 어문각, p. 2079, p. 3239.
  2. 박춘순 (2004), 중국 고대 우의에 대한 사적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pp. 617-623.
  3.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84-190.
  4.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85.
  5. 中宗實錄, 16년(1521) 6월 19일
  6. 仁祖實錄, 5년(1627) 2월 12일.
  7. 典客司日記, 第5, 효종 2년(1651) 8월 16일.
  8. 박춘순 (2004), 중국 고대 우의에 대한 사적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pp. 620-621.
  9. 金昌業, 老稼齋燕行日記, 卷之一, 숙종 38년(1712) 11월 17일,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10. 金正中, 燕行錄, 燕行日記, 上伯氏書,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11. 申維翰, 海游錄, 附聞見雜錄,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12. 曹命采, 奉使日本時聞見錄, 영조 24년(1748) 5월 8일, 6월 1일,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13. 徐榮輔, 沈象奎(1808), 萬機要覽, 財用編五, 信使, 盤纏; 金健瑞, 增正交隣志, 卷之五, 志, 京外路需.
  14. 承政院日記, 숙종 36년(1710) 윤7월 25일.
  15. 備邊司謄錄, 숙종 45년(1719) 12월 22일.
  16. 日省錄, 정조 2년(1778) 윤6월 6일.
  17. 日省錄, 정조 17년(1793) 11월 20일.
  18. 徐榮輔, 沈象奎(1808), 軍政編二, 附龍虎營, 軍兵器械; 軍政編二, 附龍虎營, 軍器; 軍政編二, 訓鍊都監, 軍器; 軍政編三, 禁衛營, 軍器; 軍政編三, 摠戎廳, 軍器.
  19. 日省錄, 정조 8년(1784) 3월 25일.
  20. 正祖實錄, 19년(1795) 윤2월 22일.
  21. 高宗實錄, 19년(1882) 6월 10일.
  22. 지규식 (2007), 荷齋日記二, 이종덕 역,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p. 73.
  23. 本間九介(1894), 조선잡기, 최혜주 역, 파주: 김영사, p. 88.
  24. 신병주 (2011), 조선평전, 파주: 글항아리, p. 433.
  25. 민승기 (2004), 조선의 무기와 갑옷, 서울: 가람기획, pp. 415-416.
  26. 李德懋, 靑莊館全書, 卷之六十一, 盎葉記八, 笠弊.,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27. 正祖實錄, 19년(1795) 윤2월 22일.
  28. 井筒雅風(1983), 原色日本服飾史, 東京: 光琳社, pp. 230-231.
  29.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86.
  30. 景宗實錄, 2년(1722) 4월 20일.
  31. 洪大容, 湛軒書, 外集卷八, 燕記, 沿路記略,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32. 농촌진흥청 (2004), 고농서국역총서6 증보산림경제, 수원: 농촌진흥청, pp. 310-311.
  33. 온양민속박물관 (2005), 우리 민속 오백년의 모습, 아산: 온양민속박물관, p. 102.
  34. 송희경 (2001), 조선시대 기려도의 유형과 자연관, 미술사학보, 15, pp. 15-23.
  35. 顧炳(1603), 顧氏歷代名人畵譜; 顧氏畵譜第4冊.
  36. 한정희 (1999), 한국과 중국의 회화, 서울: 학고재, p. 230.
  37. 호암미술관 (1998), 조선후기국보전, 서울: 삼성문화재단, p. 35.
  38. 송희경 (2001), 조선시대 기려도의 유형과 자연관, 미술사학보, 15, pp. 21-22.
  39. 최완수 (2007), 우암(尤庵) 당시의 그림과 글씨, 澗松文華, 72, p. 118.
  40.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4), 澗松文華, 66, p. 41.
  41.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4), 澗松文華, 66, p. 143
  42.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5), 澗松文華, 68, p. 111.
  43.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89.
  44. 世宗實錄, 29년(1447) 윤4월20일
  45. 世祖實錄, 11년(1465) 2월21일
  46. 光海君日記, 5년(1613) 6월 13일
  47. 英祖實錄, 36년(1760) 7월 19일.
  48. 世宗實錄, 4년(1422) 3월 1일
  49. 世祖實錄, 3년(1457) 5월 10일
  50. 睿宗實錄, 1년(1469) 4월 14일
  51. 成宗實錄, 4년(1473) 6월 13일, 6년(1475) 8월 6일, 10년(1479) 12월 24일, 20년(1489) 9월 21일, 21년(1490) 9월 9일, 22년(1491) 8월 18일/24일/28일, 9월 4일/6일
  52. 燕山君 日記9년(1503) 7월 13일
  53. 中宗實錄, 4년(1509) 4월 29일/6월 9일, 7년(1512) 6월 17일.
  54. 世祖實錄, 3년(1457) 4월 23일, 5년(1459) 6월 28일, 11년(1465) 6월 1일
  55. 中宗實錄, 33년(1538) 4월 20일. 48) 世祖實錄, 10년(1464) 6월 6일.
  56. 世祖實錄, 2년(1456) 5월 21일, 3년(1457) 5월 11일/6 월 15일, 5년(1459) 3월 15일, 10년(1464) 6월 10일, 13년(1467) 9월 14일/10월 9일, 14년(1468) 4월 12일 /7월 13일
  57. 成宗實錄, 1년(1470) 5월 25일, 7월 7일 /18일, 7년(1476) 2월 10일, 10년(1479) 윤10월 2일 /12일, 12년(1481) 8월 3일/11일, 14년(1483) 8월 11 일/27일, 10월 2일, 25년(1494) 12월 7일.
  58. 世祖實錄, 9년(1463) 9월 26일.
  59. 世宗實錄, 2년(1420) 3월 3일
  60. 燕山君日記, 9년(1503) 7월 13일.
  61. 太宗實錄, 13년(1413) 6월 28일.
  62. 宣祖實錄, 36년(1603) 5월 25일/27일.
  63. 中宗實錄, 37년(1542) 5월 12일.
  64. 宣祖實錄, 36년(1603) 5월 27일.
  65. 世宗實錄, 14년(1432) 7월 5일
  66. 文宗實錄, 1년(1451) 11월 24일/25일.
  67. 世祖實錄, 10년(1464) 5월 17일.
  68. 成宗實錄, 2년(1471) 4월 27일.
  69. 中宗實錄, 7년(1512) 5월 10일, 37년(1542) 5월 12일.
  70. 世宗實錄, 27년(1445) 7월 11일
  71. 世祖實錄, 3년(1457) 6월 22일.
  72. 卞季良, 春亭集, 卷一詩, 十三- 十四, 자료검색일 2012. 9. 1, http://db.itkc.or.kr.
  73. 英祖實錄, 30년(1754) 8월 24일
  74. 高宗實錄, 31년(1894) 9월 15일.
  75. 備邊司謄錄, 헌종 10년 2월 17일.
  76. 英祖實錄, 41년(1765) 3월 25일, 43년(1767) 2월 29일 /5월 2일.
  77. 聶崇義, 三禮圖集注卷十八九.
  78. 王圻(1607), 三才圖會, 衣服三卷卅二.
  79. 박춘순 (2004), 중국 고대 우의에 대한 사적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pp. 618-619.
  80. 인병선 (1991), 풀문화, 서울: 대원사, p. 40.
  81.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4), 澗松文華, 66, pp. 139-140.
  82. 자료검색일 2012. 9. 1, http://www.museum.go.kr/program/relic/relicDetail.jsp?menuID=001005002001&relicID=1107&relicDetailID=4425
  83. 삼성미술관Leeum (2008), 삼성미술관 Leeum소장 고서화 제발 해설집(II), 서울: 삼성문화재단, p. 101.

Cited by

  1. A Study on the Traditional Korean Special Costumes in Accordance with Climatic Factors of the Korean Peninsula - Focusing on Costumes of the Commoner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 vol.66, pp.3, 2016, https://doi.org/10.7233/jksc.2016.66.3.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