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집단상벌점제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Collective Reward and Punishment Marks System on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Focusing on the Primary-school Children in the upper Grades-

  • 이현숙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3.03.04
  • 심사 : 2013.04.23
  • 발행 : 2013.04.28

초록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생활지도 과정에서 체벌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여러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학교 현장에서는 상벌점 제도를 도입하여 적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대체체벌로서의 상벌점제 역시 여러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개인적 상벌점 제도를 개인이 아닌 집단에 적용하여, 새로운 대체체벌인 집단상벌점제에 대한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벌점제는 학교적응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대상자 특성별로 파악하면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4학년의 경우에는 학교적응의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나 5, 6학년의 경우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보다는 하위권인 학생의 경우 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상자별 특성에 따른 집단상벌점제의 효과성을 유의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개입을 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A number of schools have introduced the Reward and Punishment Mark System. It has been applied to children at school in order to minimize the ill effects that are often caused by physical punishment. In this case, teachers have caused problematic issues in the course of student life guidance at school.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personal Reward and Punishment Mark System raises many other questions as well. Accordingly, there is the necessity of making up for its weak points on the systematic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Collective Reward and Punishment Mark System, as a substitute punishment to the physical punishment, applying the reward and punishment mark system not to an individual but to a group. The Collective Reward and Punishment Mark System for the upper grade students of primary schools showed a positive effect which assists their adaptation to school. To put it more concret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s of the study subjects, the system has proved that boy students are more positively affected than girl students. It has been also revealed that those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experience a positive change in all areas of the adaptation to school, while those in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 were negatively affected. Moreover, those who hold a lower rank in respect of grade achievement experienced a more positive change than those standing among a high rank.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the Collective Reward and Punishment Marks System, on the basis of the study, possesses affirmative intervention on the field.

키워드

참고문헌

  1. 박근혜, 폭력가정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2. 모상현, 김희진,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 생존권.보호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3. 유상희, "중등학교 생활지도를 위한 상벌점처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 국가인권위원회, 제3기 인권교육 시범학교 운영보고서(2008년 3월-2010년 2월), 2010.
  5. 안순덕, 중학교 생활지도 상벌점제카드 활용이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6. 김정종, 박정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웹 기반상벌점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2006.
  7. 문창배, 김한일,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개방형상벌점관리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8권, 제12호,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2.465
  8. 최문호, 상벌점제 운영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연구 : 강원도 중.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을 중심 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9. 임광혁, 상벌점제 시행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 연구,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0. 윤점이, 고등학교 생활지도 '상벌점제'와 학생생활태도 및 학생인권존중의식의 변화, 경상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9.
  11. 공양숙, 토큰 강화가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주의집중행동증강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2. W. S. Agras, The token economy. In W. S, Agras (ed). Behavior Modification Principles and Clinical Applicantions (2nd.), Boston: Little, Brown & Co, 1978.
  13. 윤신혁, 행동주의 심리학과 도덕적 사고와 실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4. D. Nunan, Practical English Language Teaching, pp.25-26, Mc Graw Hill, 2003.
  15. 고경은, 빈곤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6. 김옥분, 수업동기와 성격자아개념 및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분석,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7. 김용래, "학교학습동기척도와 학교적응척도의 타당성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분석", 교육연구 논총, 제17권, 2000.
  18. 민영순, 가정환경 및 학급사회의 심리적 환경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19. G. W. Ladd, B. J. Kochenderfer, and C. C. Coleman,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1996.
  20. 차유림,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1. 장호성, 자아개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22. 이경아, 정현희,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교사 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논문지, 1999.
  23. 이상필, 학교생활적응수준에 따른 학업성적 및 행동특성의 차이 분석,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24. 김용래, "학업성취동기에 대한 자아개념과 불안의 효과에 관한 이론적 분석", 교육연구논총, 제3집, 1993.
  25. 이영재, 성격유형과 생활 스트레스간의 관계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26. 유윤희, 학교적응, 불안, 학업 성취간의 관계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