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ion into Better College Cultural Contents Education for Manifestation of Creativity

대학에서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문화콘텐츠 교육 개선방안 탐색

  • 이병민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3.03.20
  • Accepted : 2013.04.08
  • Published : 2013.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basic research on college cultural contents education in an effort to step up the manifestation of the creativity of cultural contents expert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fast-changing era of creative economy. It's basically mean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tents education in relation to creative idea to seek practical ways of improving that education. What problems there were with cultural contents education and how that education was actually provided were analyze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client-centered cultural contents education. Earlier studie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a survey that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se major was linked to cultural contents were analyzed as well. As a result, current cultural contents education was considered not to be satisfactory due to existing teaching methods, learning process and curriculums that were devoid of creativity. To rectify the situation, interdisciplinary attempts should be made such as multi-major, interdisciplinary programs or convergence education, and plenty of experiments, sufficient practice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aculty members are all required. In terms of education, existing curriculums and courses should urgently be revamped to strengthen field placement and creative discussions. As for educational methods, the lecture method should be avoided, and specialized education should be offered instead, which should strike a balance between discussion, team play and project education. It is expected to produce good results if there are appropriate connection among different major fields of study and the harmonious implementation of diverse internship, convergence and field placement programs.

본 연구는 최근 변화하는 창조경제시대의 발전에 발맞추어, 문화콘텐츠 전문 인력의 창의성 발현을 위하여, 대학에서의 문화콘텐츠 교육 방안을 어떻게 가져가야할 것인가 하는 가능성을 살펴본 기초 연구이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분야 교육의 특성을 분석하고, 실천방안을 마련하고자 했으며, 구체적으로 문화콘텐츠 교육관련 문제점과 현황 분석을 통해 수요지향 문화콘텐츠 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실제 관련 전공 학생들의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현재의 문화콘텐츠 교육에 대한 불만족이 기존의 교수법과 학습과정, 창의성이 결여된 교육과정 등에서 비롯되고 있는 만큼, 학제간 접근을 통한 다전공, 연계전공 및 융합교육의 시도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충분한 실험실습 및 인프라, 교수인력들의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교육 관련해서는 현장실습과 창의적인 토론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재편이 시급하며, 교육방법에서도 일방적인 강의식에서 탈피하여, 토론, 팀플레이, 프로젝트 교육 등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는 특성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한 전공들의 연계에 기초하여, 인턴쉽, 융합연계, 다양한 현장실습 등이 조화를 이룬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R. Florida,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이길태 역, 창조적 변화를 주도하는 사람들, 전자신문사, 2002.
  2. 조소연, 한.중.일 문화콘텐츠 인력양성 정책 및 지원프로그램 비교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3. Ake, E, Andersson and Charlotta Mellander, Handbook of Creative Cities, Edward Elgar Publishing Limited, 2011.
  4. 서지연, 김성국, 변재규, "창의인재육성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영재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pp.357-372, 2011 ; Mihaly, c,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Y: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6.
  5. 강익희 외, 콘텐츠 산업의 창의인력육성과 일자리 창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6. 이지연, 정윤경, 이종범,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7, 2011
  7.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창의인재육성 사업의 전략적 포지셔닝, 2009.
  8. 이지연, 정윤경, 이종범,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9. 서지연, 김성국, 변재규, "창의인재육성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영재교육연구, 제21권제2호, pp.368-369, 2011.
  10. 한국콘텐츠진흥원, 글로벌 문화산업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시범운영, 2010.
  11. 이지연, 정윤경, 이종범,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3, 2011
  12. 최영섭.최혜실외, 문화산업의 인력양성 세부실천방안 연구, 산업연구원, 2001.
  13.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 교육기관 조사 자료집, 2002.
  14.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산업학과 커리큘럼 가이드북, 2003.
  15. 문화관광부, 문화산업 전문인력 수급대책과 투자의 고용창출 효과에 관한 연구, 2000.
  1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문화콘텐츠산업 발전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방안, 2002.
  17.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 인력양성 중장기 종합 정책방안 수립, 2008.
  18. 박기수, "문화콘텐츠 교육의 현황과 전망", 국제어문 제37권, pp.281-307, 2006.
  19. 박상천, "문화콘텐츠학의 학문 영역과 연구 분야 설정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제10호, pp.59-83, 2007.
  20. 이남희, "창의적인 문화콘텐츠 전문 인력 양성과 과제: 인문학과 창의성", 인문콘텐츠, 제10호, pp.85-103, 2007.
  21. 정창권, "문화콘텐츠학, 어떻게 연구하고 가르칠 것인가", 동양한문학연구, 제24호, pp.25-48, 2007.
  22. 김기덕, "문화콘텐츠 연계전공 교육과정의 분석 ", 다문화콘텐츠 연구, 제4호, pp.1-13, 2008.
  23. 박기수, "문화콘텐츠 교육의 미래 전략", 다문화 콘텐츠연구, 제4호, pp.23-32, 2008.
  24. 김동윤, "창조적 문화와 문화콘텐츠의 창발을 위한 인문학적 기반 연구: '융합 학제적'접근의 한방향", 인문콘텐츠, 제9호, pp.417-442, 2010.
  25. 신정아, "통합적 상상력과 디지털 미디어의 만남을 통한 문화콘텐츠 기획", 인문콘텐츠, 제23호, pp.115-137, 2011
  26. 윤홍근, "학위논문의 메타분석을 통한 문화콘텐츠 연구 동향: 한국외대, 한양대, 인하대, 고려대, 동국대 등 5개 학교의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제7호, pp.149-180, 2011.
  27. 정수연, "문화콘텐츠학의 도입타당성에 대한 연구: 대림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제58호, pp.487-515, 2011.
  28. 이병민, "문화콘텐츠산업의 고용 특성에 대한 통계 분석 연구", 인문콘텐츠, 제20호, pp.121-154, 2011.
  29. 이현주, 김한일, 박찬정, "대학에서 문화콘텐츠연계전공 강의와 관리에 대한 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1호, pp.426-437, 2008.
  30. 이미나, 이화선, 최인수, "대학생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전공계열별 인식 비교", 교육과정연구, 제 30권, 제3호, pp.353-376, 2012.
  31. http://contents.hanyang.ac.kr/
  32. http://songsim.catholic.ac.kr/-dct/
  33. http://www.inhacontents.co.kr/
  34. http://vculture.kangwon.ac.kr/
  35. http://culture.sunmoon.ac.kr/new/main.asp
  36. 박종관, "대학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천안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pp.360-37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6.360
  37.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콘텐츠 교육기관 현황조사, 2011.
  38. 배상준, 서성은, 이병민, "문화콘텐츠 인력양성의 현황과 전망", 인문콘텐츠, 제27호, pp.61-85, 2012.
  39. 정헌일, 콘텐츠산업 인력양성 전담기관 설립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40. 김태현, 조하나, 최훈, "문화콘텐츠의 전문인력양성 현황 및 발전에 대한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5권, 제2-2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