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rection for Revis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Focus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e U.S. National Standards

가정교과 성취기준의 서술방식 개선 방향 - 미국 국가 기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3.12.29
  • Accepted : 2013.03.26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chievement standards at secondary education level, and comparing with those of U.S. home economics national standard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U.S. achievement standards were examined respectively. Second, the standards of the two countries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grades involved, development areas, specification level, sequence of courses, and format of statements, adopting the analysis framework of Lee, Jang, and Park(2012). Thir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two countries for specific content areas, i.e. 'understanding adolescents' and 'understanding family'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styles and format of statement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 developing the Korean achievement standards, integration with the curriculum and detailed and specific statements are important to facilitate adoption at school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with the U.S. national standards indicates that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academic rationale to home economics as a subject by clearly presenting the concepts, contents, and categories. Also, the standards will need to be stated in specific terms to allow practices and evaluations, rather than in terms that reflect value judg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 중등 가정과교육 성취기준의 서술방식 특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로는 1) 한국과 미국의 성취기준의 특징을 각각 살펴보고, 2) 주어진 분석 준거에 따라 한국과 미국의 성취기준의 특징을 비교하고, 3) '청소년의 발달'과 '가족의 이해'라는 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가정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영역 및 특징을 비교하였고 이를 통해 파악하게 된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성취기준 개발 시 유의해야 할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는데, 첫째, 우리나라의 성취기준은 교육과정과 성취기준 개발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둘째, 학습자가 함양하게 될 역량에 초점을 두어 구체적인 행동 동사로서 개발되어야 하며, 셋째, 성취기준 개발을 통해 가정과교육의 개념, 내용, 범주 등을 분명하게 명시하되 가정과교육의 범주를 '가족' 혹은 '가정'이라는 테두리로 제한하기보다는 이웃과 사회, 공동체, 더 나아가 전지구적인 문제에 관심을 돌릴 수 있는 성취기준 개발이 요구되며 향후 관련 연구가 요청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