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Placeness and Authenticity of an Aging Urban Residential Area from the Perspective of Ordinary Culture

일상문화 관점을 적용한 도시노후주거지역의 장소성과 진정성 분석 -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동 와우산 일대를 사례로 -

  • Kim, Sang-Cheol (Graduate School of 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Mu-Yong (Graduate School of 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상철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
  • 이무용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3.01.24
  • Accepted : 2013.02.19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A city is an ordinary space and a place of living that is directly related to our lives. An ordinary space is the total products of culture and the target of cultural representation. An aging residential area of a city reflects the ordinary lives of ordinary people along with its unique history; therefore, this place should not be seen only from an economic and political perspective. The Wausan area is a place that best maintains the characteristics and scenery of an aging urban residential area with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rough research into this area, it is possible to discover the meaning and true value of an aging urban residential area such a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ordinary culture and placeness, the creation factors and process of placeness of an aging urban residential area, and the authenticity of a particular place. This area is a modern residential area of today's ordinary people, created on a topography of hills and hilly areas along with a historical value of 400 years. It is based on the Gyeongyangyeok of the Joseon period. This place may be described as a space where the dailiness of ordinary people is alive based on its alleys and the unique scenery formed by its alleys and vegetable gardens. The authenticity deduced from such placeness is that an aging urban residential area is a place where communicative and considerate human life and a cultural diversity of an atypical nature are alive, a place where an environment and humans coexist in harmony, and a place where the communal dailiness of residents still exists.

도시는 우리의 삶과 직결된 일상공간이며 삶터다. 일상공간은 문화의 총체적 산물이자 재현의 대상이다. 도시의 노후주거지역은 고유의 역사와 함께 서민들의 일상의 삶이 담겨있기 때문에 경제적, 정치적 시각으로만 바라보아서는 안되는 장소다.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동의 와우산 일대는 도시노후주거지역의 특성과 경관을 잘 유지하고 있는 곳으로서, 본 논문은 이 지역의 사례 연구를 통해 일상문화와 장소성 간의 밀접한 관계, 장소성 형성요소와 과정 그리고 장소가 가지고 있는 진정성 등 도시노후주거지역이 갖고 있는 의미와 가치를 도출해내고자 한다. 와우산 일대는 조선시대 경양역(景陽驛)을 기반으로 400여년의 역사적 가치와 구릉지 지형의 주거지역 환경, 근현대 서민들의 주거지역으로서 골목과 텃밭이 만들어내는 독특한 경관보유, 골목을 기반으로 한 서민들의 일상성이 살아있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출해낸 장소의 진정성은 도시노후주거지역은 소통하고 배려하는 인간적 삶과 비정형성의 문화적 다양성이 살아있는 장소, 환경과 인간이 공존과 조화를 이루는 장소, 거주민의 공동체적 일상성이 살아있는 장소라는 점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