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Engineering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of Engineering Department

공학계열 예비 교사의 공학 태도와 공학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3.02.19
  • Accepted : 2013.03.23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Attitude toward Engineering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of engineering department,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difference and inquire into correlation between the Attitude toward Engineering and Teacher Efficac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ttitude toward Engineering of pre-service teachers of engineering department turned out to be 2.94, which is below average(3.00), and a bit lower figure than that of Teacher Efficacy(M=3.34).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ttitude toward Engineering and Teacher Efficacy in a gender factor. In case of a major factor and grade variabl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titude toward Engineering and teaching efficacy of Teacher Efficacy.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 Engineering and Teacher Efficacy,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 sub-area a few, which leads to conclusion that the attitude toward engineering and Teacher Efficacy will be gradually improved if educational institutes training pre-service teachers of engineering department operate teacher education courses considering major characteristics and learners' levels and give successful guidance to pre-service teachers. In addition, since the gender factor didn'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ttitude toward engineering and Teacher Efficacy, there is no need to develop and operate separate educational programs only for female or male pre-service teachers.

이 연구는 공학계열 예비 교사들이 가지는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을 파악하고 그 차이의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공학계열 예비 교사교육의 질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학계열 예비 교사들의 공학 태도는 보통(3.00)이하, 교사효능감은 보통 이상(3.00)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과 학년은 공학 태도 및 교사효능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요인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는 특정한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에 공학계열 예비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에서는 공학적 특성인 실천 및 행동적 특성과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현장 중심의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예비 교사들이 그 교육과정을 성실하게 이수할 수 있도록 교육적 지원을 한다면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은 졸업 시까지 점차적으로 향상 될 것이다. 또한 성별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여성 또는 남성 예비 교사들만을 위한 별도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소향(2004). 수학 게임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지식, 수학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에 대한 평가 도구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판욱, 김기수, 이창훈(2005). 한국의 공업기술계열 교사 교육의 문제와 대안 탐색.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동계 학술 세미나 자료집.
  3. 김효남, 명전옥(2009).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교수효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의 상관관계. 교육과학연구, 40(2), 29-50.
  4. 문대영(2009). 초등학생의 공학 태도 및 공학 문제 해결에 대한 사례연구: STEM 통합 접근 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4), 51-66.
  5. 박희숙, 이현경(2008). 유아교사의 개인적 요인, 환경교육 인식, 환경친화적 태도에 따른 환경교수효능감 연구. 유아교육연구, 28(2), 51-68.
  6. 배선아(2011). 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중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47-64.
  7. 이규녀, 김소연, 박기문(2011).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수효능감과의 상관 관계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181-199.
  8. 이명훈, 나승일(2006). 기술과 교사의 직무수행과 관련 변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1), 111-136.
  9. 이병욱, 최동선(2005). 산업현장과 교육 현장 연계를 통한 교원 역량 강화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이은영, 우민정(2010)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 및 수학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0(4), 213-229.
  11. 이춘식(1999). 중학생의 기술에 대한 태도와 관련 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춘식(2008). 학생들의 기술에 대한 태도 척도 개발. 실과교육연구, 14(2), 157-174.
  13. 임청환, 이성호(2008). 초등 예비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탐구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80-185.
  14. 정진현(2011). 초등학생 공학기술 학습의 배경요인 조사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3), 25-54.
  15. 조정수(2002).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과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 조사. 수학교육논문집, 14, 371-394.
  16. 최유현, 박기문, 류승민, 이정균(2009). 공학 태도 측정 도구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2), 161-178.
  17. Ashton, P. T. & Webb, R. B. (1986). Making a difference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Y: Longman.
  18.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9.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0.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21. Enochs, L. G., & Riggs, I. M. (1990). Fu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 694-706.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0.tb12048.x
  22. Katz, L. G. (1984). The professional early childhood teacher. Young Children, 39(5), 3-10.
  23. Ratt, J. H., Coenen-van den Berg, R., de Klerk Wolrers, F., & de Vries, M. (1987). Basic principles of school technology-Report PATT-3 conference: Framework for technology education. The Netherlands: University of Technology.
  24. Spodek, B. & Saracho, O. (1999). Early childhood curriculum construction and classroom practic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61, 1-10.
  25. Tschannen-Moran, M., Woolfolk Hoy, A., & Hoy, W. K. (1998).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2), 202-248. https://doi.org/10.3102/00346543068002202
  26. Wenner, G. (2001). Science and Mathematics Self-efficacy beliefs Held By Practising and Prospective Teachers: A 5-Year Perspectiv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0(2), 181-187. https://doi.org/10.1023/A:100942533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