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용철, 박종한(1989). 노인용 한국판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의 표준화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28(3), 508-513.
- 김수진(2003). 노인의 낙상과 관련된 보행 능력, 인지기능, 낙상효능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원호, 이충휘, 정보인 등(1998). 노인의 균형유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5(3), 21-33.
- 김은자, 황병용, 김미선(2010). 가상현실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회지, 30(4), 1107-1116.
- 김중휘(2005).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및 뇌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단정와, 이재모(2006). 집단 미술요법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의사소통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지, 33(3), 71-102.
- 박미정(2011). 노인의 인지기능과 균형능력 및 삶의 질.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13(2), 185-192.
- 박용순, 김희영(2010). 수공예프로그램에 의한 시설 노인의 우울 및 인지기능.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4(2), 1-9.
- 배상우, 김재일(2003). 동적자세측정기를 이용한 연령증가에 따른 균형기능에 변화. 한국운동생리학회지, 12(4), 747-756.
- 송창호, 신원섭, 이경진 등(2009). 비디오게임을 이용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 이 노인의 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지, 29(4), 1261-1275.
- 이상헌, 고대식, 정대인(2010). Nintendo Wii Sports를 이용한 가상현실공간 훈련이 만성 요통 클라이언트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2(2), 23-29.
- 이진호(2011). 가상현실 게임이 치매환자의 인지와 균형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영애, 유영렬(2009).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3),15-26.
- 조경희(2012). 가상현실에 기초한 균형 훈련이 정상 노인의 균형과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좌길순(2001). 음악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 기능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통계청(2012). 장래인구추계.
- 하양숙(1991). 집단회상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한경희(2004). 짝 지워 수행한 치료적 원예활동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대인관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Arfken CL, Lach HW, Birgem SJ et al(1994).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falling in elderly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Am J Public Health, 84(4), 565-570. https://doi.org/10.2105/AJPH.84.4.565
- Berg KO, Wood-Dauphinee S, Williams JI et al(1995).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 Rehabil Med, 27(1), 27-36.
- Carr JH, Shepherd RB(2003). Stroke Rehabilitation. Newton, MA: Butterworth-Helenemann.
- Cunningham D(1999). Rehab Technology: Therapy for the New Millennium. Rehab Management, 12(1), 84-85.
- Flynn D, Van Schaik P, Blackman T(2002). The potential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for the cognitive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of dementia. Internal publication, the university of Teeside, Middleburgh, UK.
-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1975). ''Mini-mental state'' -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https://doi.org/10.1016/0022-3956(75)90026-6
- Kizony R, Katz N, Weiss PL(2004). Virtual reality based intervention in rehabilitation: relationship between motor and cognitive abilities and performance within virtual environments for patients with stroke. Int Conference Disabil Virtual Reality Assoc Technol, 19-26.
- MacKinnon CD, Winter DA(1993). Control of whole body balance in the frontal plane during human walking. J Biomech, 26(6), 633-644. https://doi.org/10.1016/0021-9290(93)90027-C
- Rizzo AA, Buckwalter JG(1997). Virtual reality and cognitive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The state of the art. Studies in health technology and informatics, 44, 123-146.
- Stelmach GE, Phillips J, Di Fabio RP(1989). Age, functional postural reflexes, and voluntary sway. J Gerontol, 44(4), 100-106.
- Tibbitts GM(1996). Patient who fall: How it predict of the falls among the elderly. N Engl J Med, 320, 1055-1059.
- Young W, Ferguson S, Brault S et al(2011). Assessing and training standing balance in older adults : A novel approach using the 'Nintendo Wii' Balance Board. Gait Posture, 33(2), 303-305. https://doi.org/10.1016/j.gaitpost.2010.10.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