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gnosis and Treatment of Chronic Medial Ankle Instability

만성 내측 족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진단 및 치료

  • Kim, Jin-Su (Surgery of Foot and Ankle, Eulji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Eulji University) ;
  • Young, Ki-Won (Surgery of Foot and Ankle, Eulji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Eulji University) ;
  • Lee, Han-Sang (Surgery of Foot and Ankle, Eulji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Eulji University)
  • 김진수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노원을지병원 족부정형외과) ;
  • 양기원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노원을지병원 족부정형외과) ;
  • 이한상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노원을지병원 족부정형외과)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Purpose: We investigated the short term results of medial deltoid ligament repair after diagnosis of chronic medial ankle in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262 military patients with ankle instability symptom were evaluated between May 2007 and December 2009. We diagnosed 29 chronic medial ankle instability cases with medial drive through sign under arthroscopy, radiologic findings and physical exam, treated with deltoid talo-navicular band repair using anchor suture. We used the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nkle-hindfoot score (AOFAS), visual analog scale (VAS) and ankle functional satisfactory scores were carried out. Results: 29 patients (11.1%) has chronic medial ankle instability, mean AFOAS score, VAS was improved from 65.4(range; 43-83), 6.0(range; 4-10) to 82.0(range; 60-100), 3.2(range; 1-7). Patients satisfaction were excellent 13(44.8%), good 11(37.9%) and poor 5(17.2%). Two cases was recurred and revised with allo-tendinous reconstruction. Conclusion: We underwent surgery to repair the talo-navicular ligament for chronic medial ankle instability, and about 83% of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목적: 만성 내측 족관절 불안전성을 진단하고, 내측 삼각인대 봉합술로 치료한 단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 5부터 2009. 11까지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을 호소하였던 262명의 남자 군인 중 만성 내측 족관절 불안정성으로 진단한 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은 진찰소견과 방사선 소견 및 관절경적 소견에서 족관절 내측 이완 소견이 관찰된 경우로 하였으며, 수술은 손상된 삼각인대의 거골-주상골 인대를 봉합 나사를 이용하여 단축, 봉합하는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수술 전후의 미국 족부 족관절 학회 족관절-후족부 점수(AOFAS), 시각 동통 점수(VAS) 및 수술후 족관절 기능 만족도를 측정하여 임상적인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족관절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 중 11.1%에서 만성 내측 족관절 불안정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측 거골-주상골 인대 봉합술을 시행한 후 AOFAS는 수술전 평균 64.5점(범위: 43~83점)에서 수술후 평균 82.0(범위: 60~100)점으로 증가하였으며, VAS는 수술전 평균 6.0점(범위: 4~10점)에서 수술후 평균 3.2점(범위: 1~7점)으로 감소하였다. 만족도는 우수가 13명 (44.8%), 만족이 11명(37.9%), 불만족이 5명(17.2%)이었다. 재발한 경우가 2례 있었으며, 타가인대(allo-tendinous graft)를 이용한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만성 내측 족관절 불안정성에 대하여 거골-주상골 인대를 봉합하는 수술을 시행한 후 약 83%에서 만족한 성적을 얻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