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prioceptive Function of Rotator Cuff Tear Patients: Preliminary Report of Pre-operative Function

회전근개 파열 환자의 고유 수용성 감각 기능: 수술전 기능의 예비 보고

  • Lee, Hyunil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eo, Jaew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Yoo, Jae Chul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이현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
  • 허재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
  • 유재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Purpose: Proprioceptive function has been known to be important to shoulder stability. However, the function in rotator cuff tear patients is rare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report the proprioceptive function in rotator cuff tear patients and to analyze the proprioceptive function regarding the tear size and the presence of subscapularis tea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11 and 2012, total 76 patients (male 28 and female 48) were recruited and average age was 61.7 years old (range, 38~76). Preoperatively, joint position senses in internal and external rotation were measured for proprioceptive function testing by method of active re-positioning technique. The absolute difference from set point was measured. Proprioceptive function was further analyzed according to tear size of rotator cuff, the presence of subscapularis tear, visual analogue scale of pain, shoulder functional score (American society of elbow and shoulder score), and ranges of motion in shoulder. Results: The absolute difference for external rotation was $4.9^{\circ}{\pm}2.9^{\circ}$, in normal joint and $4.9^{\circ}{\pm}3.0^{\circ}$for involved joint in rotator cuff tear patients.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p=0.87). The absolute difference for internal rotation was $4.0^{\circ}{\pm}2.7^{\circ}$in normal joint whereas $4.8^{\circ}{\pm}3.7^{\circ}$ for involved joint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43). There was some trend that the proprioceptive function of internal rotation was more impaired in the bigger tear size group (more than medium tear) compared to the smaller tear size group (partial thickness and small tear, 5.0 vs. 4.0, p=0.061). The impairment of internal rotation proprioception was also accentuated in patients with subscapularis tear (4.8 vs. 4.0, p=0.065). The proprioceptive function of internal rotation was decreased when the pain visual analogue scale was increased (5.2 vs. 4.0 p=0.04), shoulder functional score was decreased (6.1 vs. 4.2, p=0.005), or range of motion in shoulder joint was restricted (5.3 vs. 3.7, p=0.041). Conclusion: The deficit of proprioceptive function was observed in rotator cuff tear patients. Proprioception for internal rotation was impaired in patients with the bigger tear size and subscapularis tear. Pain, shoulder function score, and range of motion were also shown to be related with the deficit in proprioceptive function.

목적: 고유 수용성 감각 기능은 견관절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 대하여는 크게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전근개 파열 환자의 고유 수용성 감각 기능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고 특히 파열크기, 견갑하근의 파열 유무 등에 따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7월부터 2012년 2월까지 회전근개의 파열로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가 시행된 76예(남자 28명, 여자 48명)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나이는 61.7세(범위, 38세~76세)였다. 수술전 고유 수용성 감각 기능 평가를 위하여 외회전 및 내회전에 대한 위치 감각(joint position sense)를 측정하였고 방식은 능동적 재위치법(active re-positioning)을 사용하였다. 정해진 회전 각도와의 편차의 절대값을 측정하였다. 회전근개의 파열 크기, 견갑하근의 파열 유무, 통증(pain visual analogue scale), 견관절 기능 점수(American society of elbow and shoulder score), 견관절 운동 범위를 조사하였으며 이들 변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외회전의 경우 정상 관절은 $4.9^{\circ}{\pm}2.9^{\circ}$, 이환된 관절은 $4.9^{\circ}{\pm}3.0^{\circ}$의 절대 편차를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p=0.87). 내회전의 경우 정상관절은 $4.0^{\circ}{\pm}2.7^{\circ}$인데 비하여 이환된 관절은 $4.8^{\circ}{\pm}3.7^{\circ}$로 편차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43). 회전근개의 파열 크기에 따라 파열이 더 큰 경우(중파열 이상)가 파열이 더 작은 경우(부분파열 및 소파열)에 비하여 내회전의 고유감각기능 감소가 더 뚜렷한 경향을 보였으며(5.0 vs. 4.0, p=0.061), 견갑하근의 파열이 있는 환자군에서 내회전의 고유감각 기능 감소가 더 뚜렷한 경향을 보였다(4.8 vs. 4.0, p=0.065). 통증이 클수록, 견관절 기능 검사 점수가 낮을수록 내회전에 대한 고유감각기능이 감소하였으며(각각 p=0.04 및 p=0.005) 견관절 운동 범위의 제한이 있는 환자군에서 내회전 고유감각기능이 더욱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5.3 vs. 3.7, p=0.041). 결론: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서 내회전에 대한 고유감각기능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이는 회전근개의 파열 정도가 심하고 견갑하근의 파열이 동반된 경우 뚜렷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통증이 심하거나 견관절 기능 점수가 낮으며 운동 범위의 제한이 있는 경우 내회전에 대한 고유감각기능이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