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ggestion for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rchimedes'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rchimedes의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분석을 통한 과학교육에의 함의 고찰

  • Received : 2012.08.06
  • Accepted : 2013.01.07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odel for analyzing scientists' creative thinking processes, and analyzed Archimedes' thinking process in solving the golden crown problem. As results show, scientists' complex problem solving processes could be represented as a repeating circular model, and the fusion of processes of diverse thinking required for scientists' creativity could be analyzed from the case. Also in this study, we represented the role of experiments in scientists' creative discovery, and investigated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ewpoints of textbooks and historic facts. We found the importance of abductive reasoning and advance knowledge in creative thinking. Archimedes solved the golden crown problem creatively by crossing the scientific thought of dynamics and the daily thought of baths. In this process, abductive reasoning and advance knowledge played an important role. Besides Archimedes' case, if we would reconstruct the creative discovery processes of diverse scientists' in textbooks, students could raise their creative thinking ability by experiencing these processes as educational steps.

이 연구에서는 과학자의 창의성이 발현되는 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사용하여 Archimedes의 왕관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복잡해 보이는 과학자의 문제해결과정을 반복적이며 순환적인 모델로 표현할 수 있으며, Archimedes의 사례를 통해 과학자의 창의성에서 요구되었던 다양한 사고의 융합 과정을 분석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과학자들의 창의적인 발견에서 실험의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과학교과서의 시각이 과학사적인 사실과 다른 이유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창의적 사고과정에서 귀추적 추론과 사전 지식의 중요성도 언급하였다. Archimedes는 역학이라는 사고판과 목욕이라는 일상의 사고판이 교차를 이루면서 왕관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했다. 이 과정에서 귀추적 추론 과정과 사전 지식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Archimedes의 사례 이외에도 우리가 교과서를 통해 다루는 다양한 과학자들의 창의적인 발견 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다면, 이러한 과정을 학생들이 경험하도록 교육의 단계를 제공함으로서 학생들이 창의적 사고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주, 김현주, 이길재, 권영식, 김명희, 김연숙, 김윤화, 신호심, 임희영, 하지희 (2009). R&E 프로 그램에 대한 과학영재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 과학교육학회지, 29 (6), 626-638.
  2. 강순희 (2011). 보통 학생들을 위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과학 교수 기법, 2011년 화학교육 여름 호, 2-9.
  3. 교육인적자원부 (2001).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6-2-.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4. 권용주, 심해숙, 정진수, 박국태 (2003a). 수증기 응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가설 생성에서 귀추의 역할과 과정. 한국지구과학회, 24 (4), 250-257.
  5. 권용주, 양일호, 정원우 (2000). 예비 과학교사들의 가설 창안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 (1), 29-42.
  6.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김영신 (2003b). 과학적 가설 지식 생성 과정에 대한 바탕 이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5), 458-469.
  7. 권용주, 정진수, 박윤복, 강민정 (2003c).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 철학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3), 215-228.
  8. 김미선 역 (2009). 창의성 : 문제해결, 과학, 발명, 예술에서의 혁신. 서울: 시그마프레스, 149-150. [원 저: Weisberg, R. W. (2005). Creativity: Understanding Innovation in Problem Solving, Science, Invetion, and the Arts.].
  9. 김인묵, 박홍이, 엄정인, 정광호 역 (2008). 수학 없는 물리, 제10판. 서울: 교보문고 [원저: Hewitt, P. G. (2007). Conceptual Physics, 10th Edition.].
  10. 노혜숙 역 (2003). 창의성의 즐거움. 서울: 북로드 . [원 저 :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11. 동완 역 (2006). 인간의 역사2. 서울: (주) 신원문화사.[원저: lIl'in, M. (1946). 인간은 어떻게 해서 거 인(巨人)이 되었는가.].
  12. 문만용 (2009). 한국 근현대 과학사의 초등교육 활용 방안. 초등과학교육. 28 (2), 197-212.
  13. 박종원 (2000). 학생의 과학적 설명 가설의 생성 과정 분석: 과학적 가설의 정의와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 (4), 667-679.
  14. 백성혜 (2001). 아르키메데스는 무엇을 발견했을까? 화학교육, 28 (4), 60-67.
  15. 서혜애, 김순남, 조석희, 정현철 (2004). 영재교육기관 평가 편람. 한국교육개발.
  16. 송진웅, 조숙경 역 (2007). 과학적 발견의 패턴. 서울: (주)사이언스북스. [원전: Hanson, N. R.(1958). Patterns of discovery: an inquiry into the conceptual foundations of science.].
  17. 양일호, 정진수, 권용주, 정진우, 허명, 오창호 (2006a). 과학자의 과학지식 생성 과정에 대한 심층면담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1), 88-98.
  18. 양일호, 허명, 오창호, 황신영, 정진수, 권용주 (2006b). Charles Darwin의 자서전에 나타난 사고 과정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 (1), 53-7.
  19. 이경화, 성은현, 최병연, 박춘성, 전경원, 하종덕, 한순미 (2009). 초등학교 중학년의 창의성 교육 혁신 방안 연구. 창의력교육연구, 9 (2), 35-67.
  20. 이경화, 최병연 (2006). 초등학생의 발단단계에 따른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및 영역 창의성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5 (2), 119-134.
  21. 이상욱 (2010). 과학자의 창조성은 어디에서 오는가,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 제 5판, 한양대학교 출판부.
  22. 이상욱 (2010). 토마스 쿤과 과학혁명의 구조,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 제 5판, 한양대학교 출판부.
  23. 이상욱, 백성혜 (2012). 보어의 원자모형과 아르키메데스의 금관문제. 2012년 한국과학철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자료.
  24. 이선길 (2006). 고등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 연구 (R&E) 프로젝트 학습모형의 개발과적용.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이우영 역 (2006). 아르키메데스 그가 유레카를 외친 것 이외에 무엇을 했는가? 서울: 경문사. [원저: Stein, S. (1999). Archimedes: What Did He Do Besides Cry Eureka?].
  26. 임웅 역 (2009). 창의성 그 잠재력의 실현을 위하여. 서울: (주) 학지사, pp.16 [원저: Sternberg, lR. J. (2004).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27. 전경원 (2000).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서울: 학문사.
  28. 정현철, 한기순, 김병노, 최승언 (2002). 과학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3 (4), 334-348.
  29. 조윤동 역 (2007). 되살아나는 천재 아르키메데스. 서울: 일출봉.
  30. 조한혜정 (2009). 멋진 신세계와 판도라의 상자: 현대 과학 기술 낯설게 보기. 연세 과학 기술과 사회 연구 포럼. 문학과지성사.
  31. 홍갑주 (2008). 아르키메데스 수학의 교육적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홍성욱 (2003). 과학적 창조성, 천재를 어떻게 이해 할 것인가. 계간과학사상, 2003여름.
  33. 황동주 (2010). 저울의 역사 탐구. 초암네트웍스.
  34. Barron, F. (1988). Putting creativity to work. In Sternberg, R. J. (Ed.), The nature of creativ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76-98.
  35. Dunbar, K. (2000). How Scientists Think in the Real World: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1 (1), 49-58. https://doi.org/10.1016/S0193-3973(99)00050-7
  36. Einstein, A. & Infield, L. (1938). The evolution of physics. NYC: Simon & Schuster, 1938.
  37. Getzels, J. W. & Csikszentmihalyi, M. (1976). The creative vision. New York: Wiley.
  38. Giambattista, D. P. (1589). Magia Naturalis (Natural Magic). http://math.nyu.edu/ -crorres/Archimedes/Crown/magick.html (검색: 2011.3.22.).
  39. Harwood, W. (2004). An activity model for scientific inquiry. The Science Teacher, 71 (1), 44-46.
  40. Hennessey, B. & Amabile, T. (1988). Storytelling as a means of assessing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2 (2), 35-247.
  41. Klahr, D. & Simon, H. (1999). Studies of scientific discovery: Complementary approaches and convergent findings. Psychological Bulletin. 125, 524-543. https://doi.org/10.1037/0033-2909.125.5.524
  42. Koestler, A. (1964). The Act of Creation. London: Hutchinson & Co.
  43. Kuhn, T. S. (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2nd e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td. London.
  44. Fermi, L. & Bernardini, G. (2003). Galileo and the scientific revolution.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원저: Galilei, G. (1586). The little balance.].
  45. Lawson, A. E. (2001). Promoting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in College Biology, Critical Thinking Skills. Vol.27 (1). 13-22.
  46.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47. Mumford, M. D., Mobley, M. I., Uhlman, C. E., Reiter-Pal-mon, R. & Doares, L. M. (1991). Process analytic models of creative capacitie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4 (2), 91-122. https://doi.org/10.1080/10400419109534380
  48. Ochse, R. (1990). Before the gates of excellence: The determinant of creative geniu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Osborn, A. F. (1948). Your Creativity Power: How to use imagination New York: Charles Scribner.
  50. Osborn, A. F. (1953). Applied Imagination. New York: Charles Scribner.
  51. Perkins, D. N. & Salomon, G. (1988). Are cognitive skills context bound? Educational Researcher, 18, 16-25.
  52. Torrance, E. P. (1988) The Nature Of Creativity As Manifest In Its Testing, In Sternberg, R. J.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 Press.
  53. Toynbee, A. (1964). Widening horizons in creativity, New York: Wiley.
  54. Vitruvius, P. (기원전 1세기). The Ten Books On Architecture de Architectura LibriDecem. http://math.nyu.edu/-crorres/Archimedes/Cro wn/itruvius.html (검색2011.3.22).
  55. Wallas, G. (1926). The art of thought. London: Cape.

Cited by

  1. A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07 &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with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in U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vol.35, pp.2,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277
  2. 뜨고 가라앉는 현상에 대한 과정적 관점 설명방식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vol.40, pp.6,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6.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