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nalysis of location on the traditional rural village forest in South Korea

전통마을 숲의 GIS-DB구축 및 분포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Mee Jeong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Rural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
  • Kim, Sang Bu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Rural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
  • Jang, Choul Soon (Pangaea21 Ltd.) ;
  • Shin, Min Ji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Rural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
  • Kim, Eun J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Rural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 박미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농촌환경자원과) ;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농촌환경자원과) ;
  • 장철순 (펜지아21) ;
  • 신민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농촌환경자원과) ;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농촌환경자원과)
  • Received : 2012.11.05
  • Accepted : 2013.01.21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This article purposes to make a GIS database of South Korea rural village forest. So we first tried to collect data of their geographic coordinates or location from the many references on the rural village forest. As the result, we collected locations of the 634 forests. Boundaries of the 462 forests could be made by using their satellite imagery. Finally we implemented GIS database of the 462 traditional rural village forest in South Korea. Furthermore we surveyed 100 forests out of them. They were analyzed in the view of location, area, wood species, cultural assets and activities of inhabitants. These data can be used in the rural village planning and I look forward this database is helpful to preserve existing traditional rural village groves as a lasting legacy.

Keywords

References

  1. 김종섭, 손요환, 2005, 방풍림의 효용과 조성, 자연자원연구 8, 21-35.
  2. 김학범, 1991, 한국의 마을원림에 관한 연구,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학범, 장동수, 이승제, 2003, 한국 마을 숲 관리 개선방안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1(4), 91-99.
  4. 김학범, 장동수, 2004, 마을숲: 한국전통부락의 당숲과 수구막이, 열화당.
  5. 김학범, 장동수, 200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45-149.
  6. 남연화, 윤영활, 1999, 한국정원학회지 17(1), 17-27.
  7. 농촌진흥청, 2005, 농촌어메니티자원조사 보고서.
  8. 농촌진흥청, 2006, 농촌어메니티자원으로서 마을숲. 당산숲의 활용.
  9. 문화재청, 2004, 마을숲 문화재 자원조사 연구보고서.
  10. 문화재청, 2008, 마을숲 보존관리 매뉴얼.
  11. 박재철, 1998, 전북 농어촌 지역 마을숲과 해안숲의 비교고찰, 한국조경학회지 26(2), 133-142.
  12. 박재철, 정경숙, 장혜화, 2005, 진안 하초 마을숲의 온도 조절 기능 분석, 농촌계획 9(4), 35-41.
  13. (사)생명의숲국민운동, 마을숲이야기 www.maeulsoop.forest.or.kr
  14. (사)생명의숲국민운동, 2005, 마을숲 기초조사 매뉴얼.
  15. (사)생명의숲국민운동, 2006, 전통 마을숲의 보전관리 방향
  16. (사)생명의숲국민운동, 2007, 조선의 임수.
  17. (사)생명의숲국민운동, 2007, 전통마을숲의 역할과 활용.
  18. 신상섭, 2006, 전통마을 문화경관에서 찾아본 온고지신의 미, 국토연구원, 국토 113-122.
  19. 안연희, 박은진, 최창용, 2008, 경기도 평택시 비전동 마을숲의 생태적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8(5), 527-538. https://doi.org/10.5322/JES.2009.18.5.527
  20. 오현경, 김용식, 고명희, 2005, 경상남도 남해군 물건리 미조리 방풍림의 식물상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3), 246-257.
  21. 우장명, 반기민, 2008, 충북지역 마을숲 관리실태와 활용방안, 충북개발연구원.
  22. 이경준, 2006, 한국의 천연기념물(노거수편).
  23. 임의제, 소현수, 이수동, 2012, 경상남도 남해안 마을숲의 문화경관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3), 29-42.
  24. 최재웅, 2011, 스토리가 있는 우리마을 당산숲.
  25. 충북개발연구원, 2008, 충북지역 마을숲 관리실태와 활용방안